• 제목/요약/키워드: acorn extract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3초

도토리 추출 염액에 의한 모직물 염색 (Dyeing Properties of Acorn Extract on Wool Fabric)

  • 이전숙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9-127
    • /
    • 2002
  • Dyeing properties of the colorants extracted from acorn on wool fabric were investigated. Effects of dyeing temperature, dyeing time, repeating, and pH on dye uptake and colorfastness were explored. Acorn colorants showed very good affinity to wool fiber and produced bright to dark brown color ranged 4.81-8.97YR, 4.46-7.47/1.79-3.35. ,Higher temperature increased dye adsorption, so did longer time and more repeating. Washfastness was fairly good. The Dyed wool fabric had deeper color after irradiation to light. pH had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color, also. Dye uptake and washfastness were higher in acidic and alkaline pH than in neutral pH solution.

  • PDF

도토리 추출물의 경구 투여가 마우스 면역 세포 활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ater Extract Acorn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Ex Vivo)

  • 류혜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5-140
    • /
    • 2010
  • Acorns have been used as a traditional remed as well as food source. However, few studies on their immunomodulating effects have been reported. In this study, the combined immunomodulative effect of a water extract of acorns was tested on seven to eight weeks old mice(balb/c). The mice were fed ad libitum on a chow diet, and a water extract of the plant mixture was orally administered every other day for four weeks at two different concentrations(50 and 500 mg/kg B.W.). The production of cytokine(IL-$1{\beta}$, IL-6, IL-2, IL-10, IFN-$\gamma$), secreted by macrophages stimulated with LPS or not, detected by ELISA assay using cytokine kit. After 48 h of incubation with mitogen(ConA or LPS) ex vivo study showed that cytokine (IL-$1{\beta}$, IL-6, IL-2, IL-10, IFN-$\gamma$) was detected in both of the 50 and 500 mg/kg B.W. supplementation groups with LPS stim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with acorn water extract increase immune function by regulating cytokine production capacity by activated macrophages.

도토리박 추출물과 푸마르산 및 중온 열 병합처리에 의한 적근대의 미생물 제어 효과 (Combined Treatment of Acorn Pomace Extract, Fumaric Acid, and Mild Heat for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on Red Chard)

  • 박신민;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696-170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차아염소산 나트륨 같은 염소계 살균세척제를 대체하기 위한 천연 살균세척제로서 도토리박 추출물(APE)을 개발하기 위해 적근대에 Listeria monocytogenes를 접종한 후 APE의 항균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최적 세척처리 조건을 수립하고자 APE, FA, $50^{\circ}C$에서의 mild heat를 병합처리하였다. 모든 처리구 중 0.5% APE/$50^{\circ}C$ mild heat/0.5% fumaric acid(FA) 병합 세척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는데, L. monocytogenes 수를 대조구에 비해 3.36 log CFU/g 감소시켰다. 병합처리된 적근대 시료의 저장 8일 후 총 호기성균은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2.89 log CFU/g 감소하였고, 색도 측정 결과 처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APE/mild heat/FA 병합처리 방법은 수확 후 적근대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이라고 판단된다.

도토리 가루의 성분분석과 항산화능 평가 (Studies for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tive Evaluation in Acorn Powders)

  • 심태흠;김영선;사재훈;신인철;허성일;왕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800-803
    • /
    • 2004
  • 도토리 가루를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개발을 목적으로 도토리 가루의 화학성분,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탄수화물이 87.29%, 수분 10.57%, 조지방 1.18%, 조단백 0.84%, 회분 0.12% 순으로 나타났다. 도토리 가루에 가장 많은 무기성분으로는 K이 40.68mg/100g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P(8.95mg/100g), Ca(8.64mg/100g), Mg(4.67mg/100g), Na(3.94mg/100g), Fe(1.41mg/100g) 순으로 나타났다. 구성당은 총 7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그 중 glucose가 대부분으로 나타났고 rhamnose, galactose, arabinose, mannose, fucose, xylose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주요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C18:1)가 31.87%로 가장 높았고, linoleic acid(C18:2)는 18.72%, linolenic acid(C18:3)는 16.67% 그리고 palmitic acid(C16:0)가 11.32% 순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효과는 물 추출물에서 $IC_{50}$$19.0{\mu}g/mL$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75% 에탄올 추출물$(IC_{50}:\;21.4{\mu}g/mL)$ 및 메탄올 추출물$(IC_{50}:\;45.2{\mu}g/mL)$순으로 항산화 효과가 측정되었다.

도토리 화분 추출물의 폴리페놀 고함유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 (Anti-oxidation and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Polyphenol-enriched Fraction of Acorn Pollen Extract)

  • 이윤진;강덕경;표수진;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501-509
    • /
    • 2022
  • 도토리 화분은 국내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단일 화분으로, 민간에서는 지혈, 빈혈방지, 전립선염 치료 등에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 화분을 이용한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도토리 화분의 에탄올 추출물의 극성별 유기용매 분획물을 제조하고 이의 성분 분석, 항산화, 항응고, 혈소판 응집 저해활성 및 활성 분획물의 적혈구 용혈 활성을 평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도토리 화분 에탄올 추출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225.0 mg/g을 나타내었다.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DPPH, ABTS 및 nitrite에 대한 RC50값이 각각 72.2, 27.7 및 62.6 ㎍/ml를 나타내어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한편 도토리 화분의 항혈전 활성 평가를 위해 혈액응고저해 활성 평가 결과, 모든 분획물에서 5 mg/ml 농도까지 특이한 항응고 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혈소판 응집저해활성 평가 결과, 도토리 화분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잔류물에서 우수한 응집저해가 나타났으나, 헥산 분획물에서는 오히려 응집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및 혈소판 응집 저해활성이 우수한 도토리 화분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 mg/ml 농도까지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이 없었으며, UPLC/MS/MS 분석결과 rutin, isoquercitrin 및 astragalin이 주요 활성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도토리 화분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이용한 새로운 항산화 및 항혈전제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Protective Effects of Acorn (Quercus acutissima CARR.) against IgE-mediated Allergic and Ovalbumin (OVA)-Induced Asthmatic Responses via Inhibition of Oxidative Stress

  • Chung, Mi-Ja;Jo, Hang-Soo;Choi, Ha-Na;Cho, Soo-Muk;Park, Yong-Il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41권6호
    • /
    • pp.355-362
    • /
    • 2011
  • This work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 (AEx) from acorn (Quercus acutissima CARR.) against allergic mediated responses in asthma model cells and mice. The AEx inhibited antigen-stimulated cytokine production such as interleukin (IL)-4, IL-13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AEx also inhibit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against IgE-mediated allergic response in rat basophilic leukaemia RBL-2H3 cells. The ovalbumin (OVA)-sensitized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AEx (100 or 300 mg/kg) and authentic tannic acid (75 mg/kg) every day for 15 days. Increased TNF-${\alpha}$ production by OVA-sensitization/challeng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administration of AEx. The serum triglyceride levels of asthma mice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feeding for 15 days with tannic acid or AEx. The mice fed with tannic acid or AEx also exhibit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body weights compared to those of asthma control group. The AEx increased the heme oxygenase (HO)-1 mRNA expression in the asthma model mice and show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Ex protects against IgEmediated allergic and OVA-induced asthmatic responses via direct and indirect antioxidant activities. Reduced triglyceride and body weights may provide additional protective benefits of AEx on allergic asthma.

도토리 추출물의 3T3-L1 세포 분화억제 효과 (Suppressive Effect of Acorn (Quercus acutissima Carr.) Extracts in 3T3-L1 Preadipocytes)

  • 김지연;이진;이창원;김애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50-65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인자인 비만을 예방하기 위한 식품소재로서 3T3-L1세포를 이용하여 탈피한 도토리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3T3-L1 세포에서 생존율(MTT assay)을 측정한 결과, AE와 AW 시료 모두 $500{\mu}g/mL$ 농도에서는 다소 생존율의 감소를 보여, $300{\mu}g/mL$를 최종 농도로 정하였다. 3T3-L1 세포의 지질축적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 $100{\mu}g/mL$로 처리하였을 때 두 시료 모두 지질축적량의 증가를 보였으나, $200{\mu}g/mL$ 처리농도에서 AE 시료는 82%로, AW 시료는 74%로 감소되다가 $300 {\mu}g/mL$ 농도에서는 두 시료 모두 약 53% 수준까지 지질축적이 억제되었다. 3T3-L1 세포에서 중성지방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AE 시료의 경우 $200{\mu}g/mL$ 농도에서 11%의 감소율, $300{\mu}g/mL$ 농도에서 42% 수준의 감소율을 보였다. AW 시료도 $200{\mu}g/mL$ 농도에서 5%의 감소율과 $300{\mu}g/mL$에서 41%의 감소율을 보였다. 3T3-L1 세포의 ROS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시료 농도 $200{\mu}g/mL$에서 AE는 42%, AW는 33%로 $300{\mu}g/mL$에서는 AE는 58%, AW는 52%로 ROS 생성량의 억제를 보였다. 3T3-L1 세포에서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두 시료(AE와 AW) 모두 $300{\mu}g/mL$ 농도에서 $PPAR-{\gamma}$은 54%와 38%, aP2는 40%와 18% 수준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탈피한 도토리는 3T3-L1 세포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새로운 항비만 소재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묵제조용 전분에서 분리한 열수추출물의 이화학적성질과 추출물겔의 특성 (Properties of Hot-water Extracts and Extract-gels of Starches for Mook)

  • 송영미;정구민;이원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25-630
    • /
    • 1995
  • 전분의 열수추출물 성분이 전분의 겔형성이나 성질과 어떤 관계가 있는 가를 연구하기 위해 묵제조용전분(도토리, 메밀, 녹두)과 비묵제조용전분(옥수수, 쌀, 밀)의 현탁액을 $85^{\circ}C$에서 가열하여 추출물을 얻고 이들의 이 화학적 성질과 분자량 분포를 조사하였다. 또한 추출물로 겔을 만들어 전분겔과 함께 산가수분해하여 가수분해정도, 가수분해잔유물의 평균중합도, 분자량분포 등도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추출율은 아밀로오스 함량이 적고 지질의 함량이 많은 곡류전분이 적어 $4.0{\sim}6.6%$를 나타냈으며 아밀로오스함량이 많고 지질의 함량이 적은 도토리, 녹두전분은 각각 11.7%와 13.5%로 추출율이 컸다. 이화학적 성질과 분자량 분포결과를 보면 묵제조용전분의 추출물은 대부분이 아밀로오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묵제조용전분의 추출물에는 약간의 아밀로펙틴물질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겔을 산가수분해(1 N HCl, $35^{\circ}C$, 60일)한 결과 추출물겔의 가수분해도는 $22{\sim}35%$이었으며 전분겔의 가수분해도는 아밀로펙틴의 분해로 추출물겔보다 높은 $70{\sim}84%$를 나타냈다. 추출물겔의 가수분해에서는 아밀로오스가 많은 묵제조용전분의 추출물겔의 가수분해도가 $22{\sim}29%$이었으며 아밀로오스가 적은 비묵제조용전분의 추출물겔의 분해도는 $30{\sim}35%$이었다. 가수분해 잔유물은 겔크로마토그래피 결과 한 개의 피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물겔의 잔유물의 평균중합도가 전분겔의 평균중합도보다 더 컸다.

  • PDF

반응표면 분석에 의한 도토리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적 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Acorn Hot-Water Extrac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진만;김성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1-11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도토리를 이용한 기능 식품개발을 목적으로 한 연구의 일환으로 도토리의 항산화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추출온도 $30{\sim}70^{\circ}C$, 추출시간 $1{\sim}5$ 시간, 용매비 $5{\sim}25$ mL/g을 중심합성계획법으로 16개의 구간으로 하여 총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전자공여능, 항산화능 및 아질산 염소거작용 등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여 최적추출조건을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추출온도 $57.91^{\circ}C$, 추출시 간 4.08 시간 및 시료에 대한 용매비 22.39 mL/g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용매비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추출시간 및 추출온도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에 대해서는 추출온도 $60.37^{\circ}C$, 추출시간 2.85 시간 및 용매비 6.47mL/g일 때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항산화능에서는 최대값이 2.09 AI로 예측되었고, 이때 추출조건은 추출온도 $37.11^{\circ}C$, 추출시간 1.67시간 및 용매비 18.84 mL/g이었으며 추출온도, 추출시간 및 용매비 모두에 대해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소거능은 추출온도 $47.07^{\circ}C$, 추출시간 1.24시간 및 용매비 19.55 mL/g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추출 후 아질산염소거능의 변화는 용매비에 영향을 가장 크게 받으며, 다음으로 추출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설정 범위내에서 추출시간에 대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Tannic acid의 혈압강하작용(血壓降下作用) (Depressor Responses to Intravenously Administered Tannic Acid in Rabbits)

  • 문충배;신홍기;김기순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3권1_2호
    • /
    • pp.29-34
    • /
    • 1979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depressor action of tannic acid and the mechanism underlies it in the rabbit. The changes in arterial blood pressure were studied after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tannic acid in normal rabbits and the animals pretreated with atropine, propranolol, dibenamine, and hexamethonium.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Following administration of 1.5 mg/kg, 3.0 mg/kg, and 5.0 mg/kg of tannic acid into rabbits the maximum depressor responses observed were $12.0{\pm}0.9\;mmHg$, $23.4{\pm}1.0\;mmHg$, and $34.0{\pm}1.8\;mmHg$ respectively and generally depressor responses increased in proportion to dosage of tannic acid. 2) Since there were no changes in depressor responses to tannic acid in animals pretreated. separately with atropine, propranolol, dibenamine, and hexamethonium, the depressor responses appeared to be resulting from direct vasodilator action of tannic acid on the vascular smooth muscle. Comparing tannic acid and acorn extract in their mechanisms of depressor responses, it is strongly indicated that in acorn there might exist another depressor substance. 3) After administration of large doses of tannic acid, in addition to respiratory changes, the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decreased markedly and was never recovered throughout the experiment. comma Therefore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lethal action of tannic acid resides in a drastic decline of arterial blood pressure and in respiratory changes as we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