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hydrolysis

검색결과 1,329건 처리시간 0.032초

저염산(低鹽酸)으로 저온분해(低溫分解)한 아미노산(酸)간장 제조중(製造中) 질소이용률(窒素利用率), 단백분해율(蛋白分解率) 및 유리당(遊離糖)의 동향(動向) (Changes of Nitrogen Utilization Ratio , Protein Solution Ratio , free Sugars in Defatted Soybeans During the Manufacturing of Amino Acid Soysauce by a Low Hydrochloric Acid, Temperature)

  • 박창희;박세호;이석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42-446
    • /
    • 1985
  • 저염산(低鹽酸), 저온(低溫)으로 분해(分解)한 아미노산(酸)간장 제조중(製造中) 질소이용률(窒素利用率), 단백분해율(蛋白分解率) 및 유리당(遊離糖)의 동향(動向) 등(等)을 검토(檢討)해 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탈지대두(脫脂大豆) 3배량(倍量)의 6%염산(鹽酸)으로 $85^{\circ}C$에서 가수분해시(加水分解時) 65시간후(時間後) 질소이용률(窒素利用率)은 74.51%, 단백분해율(蛋白分解率)은 56.49%이고 유리당(遊離糖) glucose, galactose, arabinose, fructose, xylose 등(等)이 검색(檢索)되었다. $95^{\circ}C$에서 가수분해시(加水分解時) 50시간후(時間後) 질소이용률(窒素利用率)은 77.72%, 단백분해율(蛋白分解率) 64.04%이고 유리당(遊離糖)은 분해(分解) 5시간후(時間後)에는 상기(上記) 5 종(種) 유리당(遊離糖)이 동정(同定)되었으나 80시간후(時間後)에는 glucose만 검색(檢索)되었다. 탈지대두(脫脂大豆) 3배량(倍量)의 12% 염산(鹽酸)으로 $95^{\circ}C$에서 가수분해시(加水分解時) 50시간후(時間後) 질소이용률(窒素利用率)은 88.41%, 단백분해율(蛋白分解率) 69.47%이고 유리당(遊離糖)은 $20{\sim}35$시간후(時間後) 거의 전량(全量) 소실(消失)되었다. 가수분해중(加水分解中) galactose가 glucose에 비해 소실속도(消失速度)가 빨랐다.

  • PDF

소다배소 처리된 탈질 폐촉매로부터 황산침출과 가수분해 침전반응에 의한 TiO2의 회수 (Titanium Dioxide Recovery from Soda-roasted Spent SCR Catalysts through Sulphuric Acid Leaching and Hydrolysis Precipitation)

  • 김승현;친빅하;이재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9권5호
    • /
    • pp.48-54
    • /
    • 2020
  • 소다배소 처리한 탈질폐촉매의 수침출 잔사로부터 TiO2 회수를 위하여 황산침출과 가수분해 반응을 실시하였다. Ti 성분의 황산침출은 70 ℃, 3 시간, 교반속도 500 rpm, 슬러리 농도 100 g/L로 고정하여 실시하였고, 황산농도는 4~8 M로 변화시키며 진행하였다. 침출액으로부터 Ti 성분의 침전회수는 가수분해반응을 이용하였으며, 실험조건은 100 ℃, 반응시간 2 시간으로 고정하였고, Ti 성분의 침전율은 침출액과 증류수의 혼합비와 침전반응 Seed 혼입유무에 따라 비교하였다. Ti의 침출율은 6 M에서 최대 95.2 %까지 도달 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Si의 침출율은 황산농도 증가에 반비례하여 급격히 감소하여 91.7 %에서 8 M 조건에서는 3.0 %까지 억제되었다. 침출액을 이용한 가수분해는 부성분인 Si의 함량이 가장 낮은 8 M 침출액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침출액의 혼합비에 의한 Ti의 침전회수율은 반응시간에 비례하였고 혼합비에 반비례하였다. 또한, 침전반응의 가속화를 위해 TiO2(#325~#400 mesh, 0.2 g) seed를 첨가하였을 경우에 모든 혼합조건에서 침전회수율이 상승하였으며, 혼합비(침출액:증류수) 1:9~3:7 구간에서 98.8~99.8 %의 침전율이 달성되었다. 회수된 TiO2의 순도는 침출액 혼합비 1:9~3:7 구간에서 혼합비가 낮을수록 증가하여 최대 99.46 %까지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산성 수용액 조건에서 포도당과 자일로스 반응 산물의 1H-NMR 분광분석을 이용한 정량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Reaction Products from Glucose and Xylose in Acidic Aqueous Medium by 1H-NMR Spectroscopic Method)

  • 신수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287-292
    • /
    • 2013
  • 진한 산 가수분해 반응 중 2차 가수분해 조건에서 포도당과 자일로스의 반응을 수소 핵자기 공명 분광분석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정량분석은 아노머성 수소, 퓨란과 개미산의 특징적인 피크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진한 산 가수분해의 2차 가수분해 조건에서 포도당의 일부가 5-hydroxymethylfufural (5-HMF) 중간 구조를 거쳐 levulinic acid와 개미산으로 분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자일로스는 furfural 중간 구조를 거쳐 개미산으로 분해가 되었으며, 포도당은 자일로스보다 2차 가수분해 조건에서 산에 의한 퓨란계 화합물의 전이가 느리게 전환되어 단당의 안정성이 높았다. 퓨란계 화합물로 전환된 이후, 산에 민감한 5-HMF는 쉽게 formic acid와 levulinic acid로 전환되었지만, furfural은 formic acid로의 분해 반응이 더디게 진행되어 furfural의 농도가 5-HMF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MO 理論에 依한 反應性의 決定 (第15報). 아세트아미드류의 형태와 산촉매반응에 관한 이론적 연구 (Determination of Reactivities by MO Theory (XV). Theoretical Studies on Conformations and Acid Catalysis of Acetamides)

  • 이익춘;박동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358-367
    • /
    • 1979
  • 아세트아미드, 디아세트아미드 및 그들의 양성자 부가물들에 대한 형태 결정을 목적으로 EHT 및 CNDO/2계산을 실시하였다. 계산 결과에 따르면 $H^+$와 N간의 인력으로 인하여 양성자는 항상 N에 대하여 cis위치에 첨가되는 것이 유리하며, 양성자 부가가 안되었을 때는 cis-trans형이 가장 안정하지만 양성자 부가물은 오히려 trans-trans 형이 가장 안정하였다. 양성자 첨가는 첨가된 카르보닐기의 탄소의 陽하전을 증가시키고 또 ${\pi}$-LUMO의 AO 계수를 증대시키므로 charge controlled 및 orbital controlled 친핵 반응을 모두 촉진시킬 것이 예상되었다. 그러므로 디아세트아마이드의 酸촉매 가수분해 반응에서는 친핵체인 물 分子가 양성자和된 카르보닐탄소를 공격할 것이며 그 탄소와 질소간의 결합이 끊어지게 될 것이다. 이 메카니즘은 묽은 酸속에서의 아미드류의 가수분해 메카니즘으로 알려진 것과 일치하며 N-아세틸 락탐의 산촉매 가수분해 메카니즘으로 제안된 $Laurent^3$등의 것과는 다르다.

  • PDF

바이오에탄올 원료로서 활용평가를 위한 낙엽의 전처리 비교 (Comparison of pretreatment of fallen leaves for application evaluation by Bio-ethanol raw material)

  • 최효연;김재형;박대원
    • 에너지공학
    • /
    • 제23권3호
    • /
    • pp.241-246
    • /
    • 2014
  • 본 연구는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고자 대표적인 임업부산물인 낙엽을 바이오매스로 하여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효소가수분해 공정을 적용하여 당화반응 특성을 비교 하였다. 전처리 방법은 화학적으로 산(HCl), 알칼리(NaOH, $NH_3$)처리하였고 각각 침지법, 교반법, 고압멸균법을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처리 효율은 효소가수분해 진행 후 포도당 생산량으로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알칼리 전처리에서는 산 전처리 대비 18% 높은 글루코즈 생산량을 보여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임업폐기물 화학적 전처리 방법으로는 알칼리처리가 효율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화학적 처리방법 중 각 방법을 적용하여 비교한 결과, 모든 방법이 알칼리-수산화나트륨 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게 나왔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목질계 바이오매스 중 하나인 낙엽을 기질로 전처리 및 효소가수분해 공정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차후 바이오에탄올 생산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의 산촉매 가수분해 반응 (Acid-Catalyzed Hydrolysis Reaction of Poly(vinyl acetate))

  • 박상수;윤희숙
    • 폴리머
    • /
    • 제29권3호
    • /
    • pp.304-307
    • /
    • 2005
  • 산을 촉매로 한 물/초산용액에서의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가수분해반응을 $35^{circ}C$에서, 물과 초산치 비율을 달리한 두 용액 조성에서 연구하였다. 반응시간에 따른 비닐 아세테이트(VAc)와 비닐 알코올(VA) 단량체 몰분율을 NMR로 측정하였고, 반응이 평형에 도달한 후의 화학평형상수($K_{eq}$)를 화학평형상태에서의 VAc와 VA의 몰분율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화학평형에서의 VAc 몰분율이 0.78(${\pm}0.01$)이었을 때 $K_{ef}$는 0.76(${\pm}0.01$)이었고, VAc 몰분율이 0.57(${\pm}0.02$)일 때 0.69($\{pm}0.01$)이었다. 가수분해반응은 가성 1차 반응을 따랐으며, 반응속도상수는 $3.4{\times}10^{-6}/sec$이었다.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Korean Soy Sauce Produced by Alkali Treatment Following Acidic Hydrolysis

  • Cho, Woo-Jin;Kim, Hun;Jeong, Eun-Jeong;Lee, Young-Mi;Kim, Hyoun-Jin;Lee, Jung-Suck;Cha, Woung-J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4호
    • /
    • pp.427-431
    • /
    • 2002
  • Alkali treatment following acidic hydrolysis (ATAH) is a commonly used practice for reducing the levels of monochloropropanediol in commercial Korean soy sau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unds produced in commercial Korean soy sauce made by ATAB. The levels of amino-N, total acidity, pH, salinity and Brix of the soy sauce were 6.66%, 2.52%, 19.81%, 4.57 and 35.01, respectively. The major fatty acids were C18:2n-6, C16:0, Cl8:ln-9 and C18:3n-6. The concentra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ere especially high, with of C18:2n-6 (49.8%) being the highest followed by C18:3n-6 (3.8%) and C18:3n-3 (2.4%) in that order. Among the non-volatile organic acids, the concentration of levulinic acid (1,206.28 mg/100 g) was the highest, while the taste value of citric acid was the highest. Among the ATP related compounds, IMP concentration (31.19 mg/100 g) was highest followed by AMP, hypoxanthine and GMP in that order. The concentrations of free and total amino acids in soy sauce were 6,136.94 mg/100 g and 8,702.76 mg/100 g,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taste value of glutamic acid, a major amino acid flavor determinant in soy sauce, was highest of all the amino acids, which is desirable since most free amino acids such as methionine, histidine and phenylalanine have a bitter taste that detracts from the flavor of soy sauce.

구연산과 구아검 첨가 냉면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aengmyeon Noodle Containing Citric Acid and Guar Gum)

  • 박재희;류복미;김창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26-432
    • /
    • 2016
  • Purpose: The consumption of noodles has increased domestically. However, noodles with high carbohydrate content can cause an increase in blood glucose compared with other foods. Therefore, in this study, Naengmyeon with high resistant starch was prepared for decreasing blood glucose by the addition of 0.5% citric acid (CN), 1% guar gum (GN) or 0.5% citric acid and 1% guar gum (CGN), and then it was incubated in a refrigerator for 3 days, and stored in a freezer for 1 month. Method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se Naengmyeon noodles was evaluated based on total starch, resistant starch, water absorption, cooking loss, turbidity, in vitro starch hydrolysis, and in vivo glucose respons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starch, cooking loss, and turbidity. The resistant starch of GN (1.70%) and CGN (1.84%)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that in Naengmyeon with no additives (N) and CN. In terms of water absorption, CN (86.01%) was the lowest in samples, followed by GN (92.17%), N (94.20%), and CGN (99.16%). CGN with high resistant starch was the lowest in in vitro starch hydrolysis in samples. However, it had no effect on the in vivo glucose response. In vitro starch hydrolysis exhibi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0.533; p<0.01) with in vivo glucose response. Conclusion: Therefore,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the standard for resistant starch contents in processed carbohydrate foods for delaying the increase in blood glucose. If this standard is established, it might help to develop processed foods for diabetic patients.

산가수분해시 산의 농도가 탈지대두박의 isoflavone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id Hydrolysis on Isoflavone of Defatted Soybean Flour)

  • 여경은;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916-918
    • /
    • 2002
  • 산가수분해시 산의 농도가 탈지대두박의 isoflavone 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측정한 isoflavone은 daidzin, genistin 등 glucosides와 daidzein, genistein 등 aglycons이었다. 산가수분해는 탈지대두박 분말에 0.25 N-3.00 N HCl을 가하고 $95^{\circ}C$에서 4시간 가열하였다. 그 결과 총 isoflavone은 0.25 N-1.0 N HCl의 범위에서 가열이 진행되면서 증가하여 2시간 후에는 약 40% 증가함을 보였다. 그러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현저한 감소가 있어 4시간 후에는 52%의 감소가 있었다. 이 결과는 낮은 HCl 농도에서의 증가는 isoflavone isomer가 isoflavone으로 전환되었음을 보여주고 높은 농도에서의 감소는 isoflavone이 분해됨을 보여주고 있다. 가열 중 각각의 isoflavone의 변화는 전체적으로 glucosides는 감소하고 aglycons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특히 2 N HCl에서의 60분 반응시 daidzin과 genistin, glycitin 등 glucosides는 검출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