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gas

검색결과 2,059건 처리시간 0.033초

Fast Determination of Multiple-Reaction Intermediates for Long-Chain Dicarboxylic Acid Biotransformation by Gas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or

  • Cho, Yong-Han;Lee, Hye-Jin;Lee, Jung-Eun;Kim, Soo-Jung;Park, Kyungmoon;Lee, Do Yup;Park, Yong-Cheo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5호
    • /
    • pp.704-708
    • /
    • 2015
  • For the analysis of multiple-reaction intermediates for long-chain dicarboxylic acid biotransformation, simple and reproducible methods of extraction and derivatization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gas chromatography with flame ionization detector (GC-FID) instead of mass spectrometry. In the derivatization step, change of the ratio of pyridine to MSTFA from 1:3 to 9:1 resulted in higher peak intensity (p = 0.021) and reproducibility (0.6%CV) when analyzing 32 g/l ricinoleic acid (RA). Extraction of RA and ω-hydroxyundec-9-enoic acid with water containing 100 mM Tween 80 showed 90.4-99.9% relative extraction efficiency and 2-7%CV compared with those with hydrophobic ethyl acetate. In conclusion, reduction of the pyridine content and change of the extraction solvent to water with Tween 80 provided compatible derivatization and extraction methods to GC-FID-based analysis of longchain carboxylic acids.

A Modifie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Carboxyl Groups in Fibers by Headspace Gas Chromatography

  • Hou, Qingxi;Chai, Xin-Sheng;Zhu, Junyong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6년도 PAN PACIFIC CONFERENCE vol.2
    • /
    • pp.265-270
    • /
    • 2006
  • This paper reports an improved headspace gas chromatograph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carboxyl group content in wood fibers. Pretreatment of wood fibers was applied using dilute HCl to convert carboxyl groups to carboxylic acid groups and then using deionized water to wash fiber samples thoroughly. The samples were finally air dried. Sodium bicarbonate solution was used to react with carboxylic acid groups of the pretreated fibers in a closed testing vial to release carbon dioxide. The content of carboxyl groups in fibers was accurately quantified by determining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released by a headspace gas chromatograph equipped with a thermal conductivity detector. The modified process for fiber sample pretreatment increased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in measuring carboxylic acid groups. The present method is simple, accurate.

  • PDF

플라즈마 및 직접 기상 불소화에 따른 활성탄소섬유의 초산가스 흡착 특성 (Acetic Acid Gas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Carbon Fiber by Plasma and Direct Gas Fluorination)

  • 이란은;임채훈;김민지;이영석
    • 공업화학
    • /
    • 제32권1호
    • /
    • pp.55-60
    • /
    • 2021
  • 실내 환경 오염물질인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인 초산에 대한 핏치계 활성탄소섬유의 흡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불소화를 진행하였다. 불소화에는 플라즈마 불소화와 직접 기상 불소화법을 사용하였으며, 두 가지 방식으로 불소화한 활성탄소섬유의 초산가스 흡착 성능을 고찰하였다. 불소가 도입된 활성탄소섬유의 표면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X선 광전자 분광법(XPS)을 분석하였고 그 기공특성은 77K 질소 흡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초산가스의 흡착 성능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플라즈마 불소화 된 활성탄소섬유의 파과시간이 790 min으로 650 min인 미처리 활성탄소섬유에 비해 파과시간이 지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나, 직접 기상 불소화 표면처리한 활성탄소섬유의 파과시간은 390 min으로 오히려 흡착성능이 저해되었다. 이는 플라즈마 불소화 된 활성탄소섬유는 그 비표면적의 변화 없이, 표면에 도입된 불소 관능기가 초산가스(CH3COOH)와 정전기적 인력으로 흡착성능이 증가하였다. 반면, 직접 기상 불소화 된 활성탄소섬유는 그 비표면적이 55%까지 크게 감소하여 초산가스에 대한 물리적 흡착 효과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단상 혐기성 소화공정에서의 동력학적 연구 (A Study on Kinetics in One-Phase Anaerobic Digestion)

  • 조관형;조영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5-80
    • /
    • 2000
  • Kinetic data for the acid phase anaerobic digestion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e constants were determined with acid production rate and gas production rate. Process models based on continuous culture theory were use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id forming microorganisms and to enable further development toward utilization of the process in a more rational manner. Acid phase digestion can be separated with appropriate manipulation of hydraulic retention time in anaerobic digestion. Kinetic analysis of data from the various hydraulic retention times using a phase specific model obtained form the acid phase indicated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of 0.40/h, saturation constant of 2,000mgCOD.$\ell$, yield coefficient of 0.35 mgVSS/msCOD utilized and decay constant of 0.04/h for the acid production rate. Similar analysis of data for the gas production rate indicated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of 0.003/h, saturation constant of 2,200mgCOD/$\ell$, yield coefficient of 0.035 mgVSS/mgCOD utilized and decay constant of 0.06/h.

  • PDF

최적화 기법을 활용한 n-pentanol+n-propionic acid 및 n-pentanol+n-butyric acid계의 하부 인화점 추산 (The Estimation of Lower Flash Point for n-Pentanol+n-Propionic Acid and n-Pentanol+n-Butyric Acid Systems Using Optimization Method)

  • 하동명;이성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73-78
    • /
    • 2007
  • 가연성 이성분계 혼합물인 n-pentanol+n-propicnic acid 및 n-pentanol+n-butyric acid 계의 하년 인화점이 상압 조건 하에서 Pensky-Martens 밀폐식 장치에 의해 측성되었다. 실험값을 라울의 법칙과 최적화 기법을 활용한 예측간과 비교하였다. A.A.D.(average absolute deviation)에서 알 수 있듯이, 최적화 기법을 활용한 예측값이 Raoult의 법칙에 의한 예측값 보다 실험값에 더욱 근사하였다.

  • PDF

전분질원료(澱粉質原料)를 달리한 고추장의 유기산정량(有機酸定量) (Determination of Organic acids of Kochuzang prepared from various Starch Sources)

  • 이택수;박성오;이명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2호
    • /
    • pp.120-125
    • /
    • 1981
  • 전분질원(澱粉質原料)의 종류를 달리하여 양조(釀造)한 3개월 숙성의 찹쌀, 보리쌀, 밀가루, 고구마의 각고추장을 시료로하여 gas chramatography에 의하여 유기산을 분석한 결과 고추장중의 유기산으로 lactic acid, glycolic acid, pyruvic acid, succinic and fumaric acid, malic acid, pyroglutamic acid, citric acid가 모든 시험고추장에서 분리되었고 oxalic acid는 고구마 고추장에서만 검출 되었다. 시험고추장 모두 pyroglutamic acid, pyruvic acid, citric acid가 양적으로 가장 많았으나 밀가루 고추장에서는 이들 함량이 타 고추장에 비하여 다소 적게 나타났다. succinic과 fumaric acid의 함량은 고구마 고추장에서 가장 많았고 보리쌀 고추장이 가장 적었다.

  • PDF

Amines를 이용한 Gas Sweetening 공정의 모델링 및 모사 (Modelling and Simulation of Gas Sweetening Process Using Amines)

  • 고민수;박찬익;김화용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7-12
    • /
    • 2003
  • [ $CO_2$ ]와 $H_2S$ 각각 1.37, 1.70 몰$\%$를 포함하고 있는 산성의 천연가스를 sweetening하고자한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가스 하부에서 100 MMSCFD 안에 산 가스의 농도가 5 ppm이 되도록 amine 처리능력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천연가스에 포함된 $CO_2,\;H_2S,\;H_2O$와 amino 성분들의 K-값은 Kent-Eisenberg model를 사용하였다. Ball과 Veldman이 새롭게 디자인한 gas sweetening 공정을 상응 정상상태 모사기를 이용하여 모델링한 후 최적화하였다. 모사 결과는 현재 운전하고 있는 공정보다 더 많은 경제적인 개선을 이끌 것이다.

  • PDF

막가스센서에 의한 에탄올 농도의 온라인 측정 (An On-Line Measurement of Ethanol Concentration by Membrane Gas Sensor)

  • 김형찬;박민선
    • KSBB Journal
    • /
    • 제10권2호
    • /
    • pp.126-130
    • /
    • 1995
  • 초산발효 중 에탄올 농도를 On-line으로 측정하기 위해 막가스 센서를 개발하였다. 에탄올이 함유된 발효액은 실리콘막을 통해 투과되고 Carrier gas로 사용된 Synthetic air에 의해 운반되어 반도체형 가 스센서에 감지되도록 설계하였다. 이 때 실리콘막의 두께가 O.5mm이고 Carrier gas의 유속이 20ml/mim이었을 때 막가스 센서의 감도가 가장 높았다. 막가스센셔의 저항치는 측정하고자 하는 에탄올 농 도에 따라 변하였고 이 저항치는 전위차로 변환되어 출력되었다. 제작된 막가스센서의 Calibration CUf ve를 작성하였고 실제로 조업 중인 초산 발효조의 발효액 중 에단올 농도의 On-line 측정이 가능하였 으며 이를 Gas chromatography에 의한 분석치와 비교한 결과 에단올 농도가 $0∼70g/\ell$의 범위에서 서로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이러한 막가스센서가 초산발효와 같은 여러 생물공정의 모니터링과 제어에 이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Pilot 규모 산성가스 제거공정 운전 특성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Pilot-scale Acid Gas Removal Process)

  • 이승종;류상오;정석우;윤용승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33-536
    • /
    • 2009
  • The gasification technology is a very flexible and versatile technology to produce a wide variety products such as electricity, steam, hydrogen, Fisher-Tropsch(FT) diesels, Dimethyl Ether(DME), methanol and SNG(Synthetic Natural Gas) with near-zero pollutant emissions. Gasification converts coal and other low-grade feedstocks such as biomass, wastes, residual oil, petroleum coke, etc. to a very clean and usable syngas. Syngas is produced from gasifier including CO, $H_2$, $CO_2$, $N_2$, particulates and smaller quantities of $CH_4$, $NH_3$, $H_2S$, COS and etc. After removing pollutants, syngas can be variously used in energy and environment fields. The pilot-scale coal gasification system has been operated since 1994 at Ajou University in Suwon, Korea. The pilot-scale gasification facility consists of the coal gasifier, the hot gas filtering system, and the acid gas removal (AGR) system. The acid gas such as $H_2S$ and COS is removed in the AGR system before generating electricity by gas engine and producing chemicals like Di-methyl Ether(DME) in the catalytic reactor. The designed operation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H_2S$ removal system are below $50^{\circ}C$ and 8 kg/$cm^2$. The iron chelate solution is used as an absorbent. $H_2S$ is removed below 0.1 ppm in the H2S removal system.

  • PDF

Acetobacter sp.와 그 변이주를 이용한 식초산 발효에 관한 연구 -사과식초의 유기산 조성에 대하여- (Studies on the Induction of Available Mutant of Acetic Acid Bacteria by UV light Irradiation and NTG Treatmeat. -On the Organic Acids Composition of Apple Wine Vinegar-)

  • 김찬조;박윤중;이석건;오만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39-143
    • /
    • 1981
  • 사과 식초 제조 과정 중 유기산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사과즙을 알콜발효시킨 후 Acetobacter aceti와 이 균에 NTG와 UV의 처리로 하여 얻은 변이주를 접종하여 식초산 발효를 시켰을 때 제조과정별로 유기산의 조성과 함량을 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사과 원료 중 유기산의 함량은 malic acid 0.73 %, citric acid 0.038%, acetic acid 0.067%이었다. 2. 사과즙을 알콜발효시켰을 때 유기산의 함량은 malic acid 0.114%, lactic acid 0.1%, acetic acid 0.08%이었다. 3. 모균주와 변이주를 이용하여 얻어진 발효식초의 유기산 조성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고 함량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4. 변이주의 초기산 생성능은 모균주에 비하여 약간 빨랐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