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ievement levels

검색결과 442건 처리시간 0.026초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분석 - 2011년 초등학교 3학년 기초학습 진단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3rd graders' achiev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 focused on the result of the Grade 3 Diagnostic Assessment of Basic Competency in 2011 -)

  • 권점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6권2호
    • /
    • pp.163-182
    • /
    • 2013
  • 최근 몇 년간 국가수준에서 학생들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수행되었다. 2011년 초등학교 3학년 기초학습 진단평가는 학생들의 학습부진을 조기에 확인하고 그에 따른 보정 교육을 실시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기초학습 진단평가 기초수학의 평가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성취수준을 분석하였고, 성취수준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분석하였으며, 3) 학생들의 반응이 특이한 문항 분석을 실시하였다.

The Effect of Factors such as Changes in the Degree of Difficulty of Concepts Presented in the Chemistry I Textbook, Changes in Class Types, etc. on Academic Achievement by Level

  • Min Ju Koo;Dong-Seon Shin;Jong Keun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210-220
    • /
    • 2023
  • We analyzed and compared factors such as changes in the degree of difficulty of concepts presented in Chemistry I textbook, changes in class types (non-face-to-face, face-to-face), etc. on academic achievement by level (upper, middle, and lower). Students from A high school in Gyeongsangnam-do were selected for the subjects of the stud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in the degree of difficulty of concepts, the total score of chemistry I combined by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classes during the second semester wa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semest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factors such as changes in conceptual difficulty, changes in class types, etc. on academic achievement by level, students' grades at the 'lower level' by non-face-to-face classes were lower than those by face-to-face classes. In particular, at the lower level of the second semester,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in grades between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classes. I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was found that instructors' active feedback is important to identify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learning contents for students with low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improve them at the same time.

2000년도 국가수준의 중.고등학교 수학과 교육성취도 평가 연구 (A Second Year Study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Mathematics Subject)

  • 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161-182
    • /
    • 2000
  • This study is to develop assessment framework, test items and questionnaire for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which administered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cross the country in this year(2000). According to the first year study result of the NAEA, the test was administered in two core subjects,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In this study, test items and sets of questionnaire and administered pretest were developed in the last year. In this year, the NAEA was administered with the adjusted test items and questionnaires and the results was analyzed and would be reported to the public. NAEA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national curriculum, especially of the nature and objectives of subject curriculum in Mathematics (and also Social Studies). In the framework of assessment, we set up four differentiated levels of student achievement: 'under basic', 'basic', 'intermediary', and 'advanced'. Here 'the intermediary level' means the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which students can understand average content of subject curriculum. 'Advanced level' indicates the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which students master all the content of subject curriculum and apply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to a variety of situations. 'The basic level' means the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which students do not achieve the intermediary level. Students who do not understand average content of subject curriculum are classified as belonging to the basic level. Finally, this study would explain how to administer and analyze the test in the future. The test result was analyzed to report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according to regions, content area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etc. This study would show how to report test result\ulcorner and how to set up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 PDF

국가수준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성취도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5권1호
    • /
    • pp.21-39
    • /
    • 2001
  • This study is to develop assessment framework, test items and questionnaire for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which administered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cross the country in this year(2000). According to the first year study result of the NAEA, the test was administered in two core subjects,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In this study, test items and sets of questionnaire and administered pretest were developed in the last year. In this year, the NAEA was administered with the adjusted test items and questionnaires and the results was analyzed and would be reported to the public. NAEA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national curriculum, especially of the nature and objectives of subject curriculum in Mathematics (and also Social Studies). In the framework of assessment, we set up four differentiated levels of student achievement:‘under basic’,‘basic’,‘intermediary’, and ‘advanced’. Here ‘the intermediary level’means the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which students can understand average content of subject curriculum. ‘Advanced level ’indicates the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which students master all the content of subject curriculum and apply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to a variety of situations. ‘The basic level’means the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which students do not achieve the intermediary level. Students who do not understand average content of subject curriculum are classified as belonging to the basic level. Finally, this study would explain how to administer and analyze the test int he future. The test result was analyzed to report students’s educational achievement according to regions, content area,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etc. This study would show how to report test results and how to set up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 PDF

2005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과목별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개발 - 식품과 영양 과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of Vocational Inquiry Section for 2005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Focus on Food and Nutrition Subject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Order -)

  • 나현주;민경희;이화영;표점순;하미옥;장명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7-219
    • /
    • 2005
  • 본 연구는 실업계열 전문 과목 중에서 범계열적으로 선택 이수되고 있는 식품과 영양 과목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을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하고, 활용 가능한 예시 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식품과 영양 과목 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와 평가 기반 구축에 목적 두고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먼저 문헌 및 자료 분석을 통해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의 개념과 필요성, 식품과 영양 과목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예시 평가도구 개발에 적용될 개발 절차와 제시 모형 등을 고찰하였다. 두 번째로는 식품과 영양 과목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체계를 분석하여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을 위한 내용 요소를 6개 대영역, 32개 중영역, 70개의 내용 요소로 선정 구성하였다. 성취기준은 이 내용 요소에 기초를 두고 내용 특성과 학습자의 도달점 행동을 고려하여 총 89개로 세분화하여 개발하였다. 또한 평가기준은 각 성취기준을 기초로 성취수준과 활동 수준에 차이를 두어 상${\cdot}$${\cdot}$하 3단계로 제시하였다. 셋째, 예시 평가도구는 개발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구체적인 예로서 단위학교의 실정에 맞게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참고 자료임을 전제로 개발하였으며 서술형, 보고서법, 실험${\cdot}$실습법, 포트폴리오, 단답형 등의 유형을 적용하여 총 100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끝으로 개발한 식품과 영양 과목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예시평가 도구를 단위학교 수준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공통과학 평가 기준 및 평가 도구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National Curriculum-Based Assessment Standards and Instruments for High School Common Science)

  • 이양락;이선경;홍미영;홍재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9-172
    • /
    • 1999
  • 본 연구는 '97년에 수행된 "공통과학 국가공통 절대평가 기준 개발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국가 교육 과정에 근거한 고등학교 공통과학의 평가 기준 및 도구를 개발하였다. 기준 개발의 각 과정에서 과학교육 전공 교수, 고등학교 교사 교육부 관계관들과 협의회, 워크샵, 집중작업 등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합의된 안을 도출하였으며,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성취기준 검토 및 수정: 선행 연구에서 개발된 성취기준을 현장 교사 대학 교수, 교육부 관계관 등의 검토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하였다. -평가기준 개발: 공통과학의 37개 중영역에 대하여 학생들의 성취 정도를 상/중/하로 판단할 수 있는 준거를 개발하였다. 평가도구 개발, 각 중단원의 성취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중단원별로 2조 이상 개발하였다. 선택형이나 단답형 평가도구 보다는 타당도를 중시한 수행평가(서술형, 관찰, 보고서, 포트폴리오 평가 등) 위주로 개발하였다.

  • PDF

수학 이해력 증진을 위한 교구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Using Educational Aids for Improving Mathematical Understanding)

  • 남승인;권민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0권2호
    • /
    • pp.125-139
    • /
    • 2007
  • 본 연구는 교구활용을 강화한 수업이 학업 성취와 수학적 성향 및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교구활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실험반과 비교반에 적용한 변수는 교구활용 빈도를 제외하고 기타 수업 환경은 동일에게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 성취도를 t-검정한 결과 사전검사 점수는 두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10점 정도(t=0.519, p<0.01) 평균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실험 집단 내에서 교구활용이 학습 수준별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는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한 결과 5% 유의수준에서 수준별 차이를 보였으며 (F=4.885, p<0.05), 중 상위 수준의 학생보다 하위 수준의 학생들에게 더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NCS 의사소통능력과 연계된 부사관과의 자료통합적 문서 교육 연구 (The Study of Integrated Document Training Materials Related to NCS Communication Ability for Petty Officer Majors)

  • 유용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37-146
    • /
    • 2019
  • 본 연구는 NCS 의사소통능력과 부사관과 의사소통 교육의 연관성을 규명하여 교육목표와 성취 수준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에 적합한 자료통합적 문서 교육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부사관과 의사소통 교육의 목표는 실질적인 부사관의 의사소통 상황과 연관성을 지닌 문서이해능력과 문서작성능력을 함양하는 것이며 이에 대한 '중' 이상의 성취 수준을 달성하는 것이다. 교육구성은 부사관과의 특성을 고려하여 하위능력 요소에 따른 주차별 세부사항으로 설계하여 교육목표와 수준을 달성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적합한 부사관과 자료통합적 문서 교육은 문서의 주제제시-팀 활동-최종활동보고서 제출이라는 3단계로 이루어지며 지속적인 평가지를 작성하여 성취 수준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자료통합적 문서 교육은 NCS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NCS와 연계된 부사관과의 의사소통 교육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앞으로 부사관과 학생들의 문서작성 역량 향상을 모색할 수 있는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COVID-19으로 인한 보건계열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만족도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classes of health science students due to COVID-19 pandemic)

  • 윤해수;이현정;문수진;이경희;임제혁;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05-812
    • /
    • 2021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perceived quality of classes, academic emotions, and learning achievement levels associated with the non-face-to-face classes of health science students, and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class satisfaction. Methods: Using a questionnaire, 238 health science students were surveyed regarding the quality of classes, academic emotions, and learning achievement levels. Factors related to calss satisfaction were analyzed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Lecture types that the students were most satisfied with were 'video lectures using PPT' and 'recorded lectures provided by LMS', while 'real-time video lectures' were scored the lowest (p=0.005). Factors affecting non-face-to-face class satisfaction were perceived achievement (β=0.425, p<0.001), learning content (β=0.265, p<0.001), learning emotion (β=0.171, p<0.001), and learning environment (β=0.137, p=0.012). The adjusted explanatory power for this model was 63.9%. Conclusion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health science students with non-face-to-face class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increase perceived achievement.

NAEP 문항 반응에 기초한 미국 학생들의 지리 성취수준 분석 (An Analysis on the Level of Achievement in Geography Based on NAEP in the United States)

  • 박선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74-487
    • /
    • 2005
  • 본 연구 목적은 2001년에 시행된 미국 NAEP 지리 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문항반응경향성을 분석하여 귀납적으로 성취수준을 기술하는데 있다. NAEP 지리 평가는 4 8 1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는데, 평가영역은 내용영역과 행동영역으로 구분된다. 내용영역은 공간과 장소 환경과 사회 공간직 역동성과 연계성이고, 행동영역은 지식 이해 적용이다. 성취수준은 기초 숙달 수월수준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 수준과 대표 문항을 연계하는 방법(item mapping method)을 사용하여 성취수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NAEP 지리 성취수준 설정위원회에서 제시한 성취수준과 대표 문항 분석에 기초한 성취수준은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 문항 분석을 기초로 도출된 성취수준은 실제 학생들의 문항반응에 기초하여 도출되었기 때문에 지리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송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