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tic acid

검색결과 2,973건 처리시간 0.038초

n-Propanol+acetic acid 및 n-propanol+n-propionic acid 계의 하부 인하점 측정 및 예측 (The Measurement and Estimation of Lower Flash Points for n-Propanol+Acetic acid and n-Propanol+n-Propionic Systems)

  • 하동명;이성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7-42
    • /
    • 2007
  • Flash points for the flammable binary systems, n-propanol+acetic acid and n-propanol+n-propionic acid, were measured by Cleveland open cup tester. The Raoult's law, the van Laar equation and the UNIQUAC equation were used for predicting flash points and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ly-derived data. The calculated values based on the van Laar and UNIQUAC equations were found to be better than those based on the Raoult's law. And the predictive curve of the flash point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UNIQUAC equation described the experimentally-derived data more effectively than was the case when the prediction model was based upon the the van Laar equation.

고간류(藁稈類)의 부숙과정중(腐熟過程中) 가수분해물중(加水分解物中)의 유기산(有機酸) 함량(含量) 변화(變化) (Changes in the Contents of Some Organic Acids in The Hydrolysates of Decomposing Straws of Rice, Barley, Wheat and Rye)

  • 김정제;김강순;신영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2-305
    • /
    • 1991
  • 저분자량(低分子量)을 가진 6개(個)의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하기 위하여 볏짚, 보릿짚, 밀짚과 호밀짚을 부숙(腐熟)시키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시료(試料)를 채취(採取)하여 가수분해(加水分解)시킨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저분자량(低分子量)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은 부숙기간(腐熟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변화(變化)한다. 2. Formic acid와 Acetic acid가 전시료중(全試料中)에서 가장 많은 량(量)으로 검출(檢出)되었다. 3. Malic acid는 볏짚과 보리짚에서 극(極)히 미량(微量)으로 검출(檢出)되었다. 4. Monocarboxylic acid의 molarity가 Dicarboxylic과 Tricarboxylic acid의 molarity를 합(合)한 것보다 훨씬 많았다. 부숙기간(腐熟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이런 경향이 더욱 뚜렷하였다 5. Formic acid와 Acetic acid는 서로 보상관계가 있었으며 토양(土壤)에 잔유하는 기간도 상당히 오래일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연부현상이 발생한 감귤로부터 분리한 효모에 대한 유기산의 생육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Organic Acids against Pectinolytic Yeasts Isolated from Decayed Citrus)

  • 박은진;김소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
    • /
    • 2015
  • Organic acids are known as natural sanitizers. We examined the sanitizing effects of five organic acids (acetic acid, propion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and lactic acid) and their persistence on three pectinolytic yeast strains isolated from decayed citrus, and the persistence of their sanitizing effects was determined during storage at $4^{\circ}C$ and $16^{\circ}C$. The 7~8 log CFU/mL of the mixed three yeast mixture was exposed to various concentrations of each organic acid for 1 min. The yeast mixtures decreased under detection limit(1 log CFU/mL) in 1% of acetic acid, followed by in 3% of propionic acid with the reduction of 5 log CFU/mL. The citric acid, malic acid, and lactic acid decreased the number of yeasts under detection limit at 7.5%. When treated with deionized water and 1~5% of organic acids were treated on the surfaces of citrus contaminated by yeasts, total numbers of the yeasts decreased under detection limit(3 log CFU) at 5% of acetic acid and 4 log CFU/piece at 5% propionic acid compared with deionized water. When treated with acetic acid and propionic acid on the stem ends of the contaminated citrus, total numbers of the yeasts significantly decreased 0.5 log CFU/piece at 3% of both organic acids. During storage at $4^{\circ}C$ and $16^{\circ}C$ for 20 days, total number of yeasts significantly decreased at 2% acetic acid compared with deionized water. This study suggested that organic acids could be used to sanitize microbial contaminants from citrus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유기인산계 추출제를 이용한 에멀젼형 액막법에 의해 푸란유도체를 함유하는 모사 바이오매스 가수분해액으로부터 초산의 분리 (Separation of Acetic Acid from Simulated Biomass Hydrolysates Containing Furans by Emulsion Liquid Membranes with an Organophosphorous Extractant)

  • 이상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5호
    • /
    • pp.687-693
    • /
    • 2018
  • 바이오매스 가수분해액으로부터 당을 정제하는 동안 발효 저해물질들의 선택적인 제거 및 회수는 목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 알코올을 생성하는 전체 공정의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에멀젼형 액막계에서 페놀화합물이 없는 모사 바이오매스 가수분해액에 있는 푸란유도체가 초산 추출에 미치는 영향이 조사되었다. 특별한 조작 조건하에서 5분내에 99%이상의 초산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이 때 푸르푸랄과 5-hydroxymethylfurfural의 추출율은 각각 10%와 4% 내외의 값을 가졌다. 또한, 원료상에 있는 푸란유도체들의 초기 농도가 높을수록 초산의 추출속도는 낮았는데, 푸르푸랄이 5-hydroxymethylfurfural 보다 그 영향이 더 컸다. 따라서, 초산 추출 전에 가수분해액으로부터 푸르푸랄을 우선적으로 제거한다면 에멀젼형 액막법이 보다 경제성이 있는 초산 제거법이 될 것으로 보인다.

클로버꽃 식초(食醋)에서 분리(分離)한 초산균(醋酸菌)의 생리학적(生理學的) 연구(硏究)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ce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Clover from Clover Flower Vinegar)

  • 양희천;최동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3호
    • /
    • pp.150-159
    • /
    • 1979
  • 클로버꽃 식초(食醋)게서 분리(分離)한 초산균에 대한 생리학적(生理學的) 연구(硏究)를수행하여 다음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공시균주(供試菌株)는 No. 1, 3, 5균주(菌株)로 그 생화학적(生化學的) 제성질(諸性質)로 보아 Acetobacter aceti에 속하는 균(菌)으로 볼 수 있으며, 특히 No. 3균(菌)이 초관생성능(生成能)이 우수하였다. 2. $3^{\circ}Bx$ Koji extract 에 yeast extract. 0.15%를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에다 $7^{\circ}Bx$ Koji extract에서 전배양(前培養)한 균(菌)을 접종 배양(培養)했을때 산생성(酸生成) 및 과산화(過酸化) 현상(現象)이 현저하였다. 3. $3^{\circ}Bx$ Koji extract 에 $MgSO_4{\cdot}7H_2O$를 0.005-0.01% 첨가(添加)하였을때 산도(酸度)가 높은 수준으로 유지 되었다. 4. 배지(培地)의 초발최적 pH는 6.0이었다. 5. 단기간(短期間)에 초산의 생성(生成) 및 과산화를 일으키는 ethanol 농도(濃度)로서 는 2-4%가 적합(適合)하였다.

  • PDF

간접탄산염화를 위한 전기로제강슬래그 중 Ca, Fe 및 Si 성분의 초산수용액 침출 (Leaching of Ca, Fe and Si in Electric Arc Furnace Steel Slag by Aqueous Acetic acid Solution for Indirect Carbonation)

  • 윤기병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6권1호
    • /
    • pp.37-42
    • /
    • 2017
  •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유효한 방법 중의 하나로 칼슘규산염 광물의 간접탄산염화 공정이 보고되고 있다. 이 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에 의하여 칼슘규산염으로부터 칼슘성분을 침출하는 단계와 이산화탄소에 의한 침출용액의 탄산염화 단계의 두 과정으로 구성된다. 침출용매로 초산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침출용액을 이산화탄소로 탄산염화 하는 과정에서 초산이 재생성 되어 침출단계로 순환되어 침출용매로 재사용될 수 있다. 제철 및 제강슬래그와 같은 산업부산물은 칼슘규산염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간접탄산염화공정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산수용액에 의한 국내 전기로제강슬래그의 침출효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초산수용액 농도, 침출온도 및 침출시간 등의 침출조건 변화에 따른 침출실험을 수행하였다.

고온 및 고압조건에서 아세트산과 아세토나이트릴의 성분비에 따른 부식저항성 금속의 부식특성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Corrosion-Resistant Metal with Different Composition Ratios of Acetic Acid and Acetonitrile at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 황현규;신동호;이승준;김성종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2호
    • /
    • pp.154-165
    • /
    • 2024
  • Acetic acid and acetonitrile produced in the chemical process of petrochemical plants are used at high temperatures and pressures. They are exposed to harsh corrosive environments. The present investigation aimed to evaluate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metals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by performing immersion and electrochemical experiments with different composition ratios of acetic acid and acetonitrile in a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environment. Results of immersion experiment revealed that as acetic acid concentration increased, surface damage and corrosion also increased. In immersion experiments under all conditions, super austenitic stainless steel (UNS N08367) had the best corrosion resistance among various metals. The maximum damage depth under the most severe immersion conditions was observed to be 4.19 ㎛, which was approximately 25.25 ㎛ smaller than that of highly damaged stainless steel (UNS S31804). As a result of electrochemical experiments,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metals presented some differences with different composition ratios of acetic acid and acetonitrile. However, super austenitic stainless steel (UNS N08367) had the best corrosion resistance at a high pressure condition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acetic acid.

Bacillus cereus 1-1 균주의 5-Aminolevulinic Acid (ALA) 생산 (Production of 5-Aminolevulinic Acid (ALA) by Bacillus cereus 1-1)

  • 안경준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04-310
    • /
    • 2007
  • Bacillus cereus 1-1 균주는 광이 없는 호기적 환경에서 levulinic acid와 같은 저해제 처리 없이도 5-aminolevulinic acid (ALA)를2 mM까지 생산하였다. B. cereus 1-1 균주는 TCY 배지에서 전 배양과 본 배양을 18시간 동안 지속하고, 배지의 pH가 6.8에 도달하는 대수기 후기에 acetic acid를 비롯한 유기산들을 16 mM 첨가하였을 때 많은 ALA를 생산하였으며, 본 배양 시작시 0.3% glucose를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Acetic acid 대신 glutamic acid를 첨가하였을 때 ALA 생산이 8시간 이상 지속되었고, $40\;{\mu}M$의 gabaculine을 첨가하면 생산이 현저히 저해되는 것으로 보아 B. cereus 1-1 균의 ALA 생산은 C-5 경로에 의함을 알 수 있었다.

초산균 Acetobacter pasteurianus CK-1의 분리 및 발효 특성 (Isolation of an Acetic Acid Bacterium Acetobacter pasteurianus CK-1 and It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 방규호;김채원;김철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9-124
    • /
    • 2022
  • 막걸리 식초 생산에 효과적인 초산균을 분리하기 위해 다양한 시료에서 초산균을 검색하였고, 그 중 초산 생산이 우수한 균주인 Acetobacter pasteurianus CK-1을 최종 분리하였다. 분리균주의 최적 생육온도는 30.0℃로 확인되었고, pH 6.0에서 가장 왕성하게 생장하였으며, pH 5.5~6.5 범위에서 잘 생장하였다. A. pasteurianus CK-1은 배지의 초기 에탄올 농도가 4%일 때 가장 왕성하게 생장하였고, 7%의 에탄올 농도에서도 생장이 가능하였다. 분리균주를 막걸리에 접종하여 초산 발효를 유도하였을 때, 발효 초기 pH 3.54였던 것이 발효가 진행되면서 점차 낮아져서 발효 18일 후에는 pH 2.77이 되었다. 산도는 발효 초기에 0.75%였던 것이 발효 4일경부터 점차 증가하여 최종 산도는 5.54%로 증가하였다. A. pasteurianus CK-1 발효 식초에서는 acetic acid가 3,575.7±48.6 mg%로 높게 검출되었고, malic acid와 citric acid는 각각 2,150.8±27.6 mg%와 55.8±3.7 mg%로 검출되었다. 접종한 균주의 종류에 따라 생성되는 유기산의 함량과 비율이 유의하게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산 발효 동안 발효액 내의 효모와 A. pasteurianus CK-1의 개체군은 반비례적으로 변화하였다. 발효 초기에는 효모가 우점하였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A. pasteurianus CK-1이 서서히 증식하여 10일 후에는 정체기에 이르렀다.

시판 과일 주스와 식초의 유기산 함량과 Xanthin Oxidase 저해 활성 비교 (Comparison of Organic Acid Contents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Commercial Fruit Juices and Vinegars)

  • 황지영;표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685-1690
    • /
    • 2016
  • 시판 과일 주스와 발효식초의 총 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함량, 유기산 함량, 그리고 xanthine oxidase(XO) 저해 활성을 비교하였다. 과일 주스와 식초에 함유된 총 페놀(mg gallic acid equivalent/100 mL)과 플라보노이드(mg catechin equivalent/100 mL) 함량은 각각 82.8~157.6 mg과 15.7~85.8 mg으로 측정되었다. 주스류에서는 사과 주스, 식초류에서는 흑초가 각각 가장 높은 총 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였다. 유기산의 함량 중 citric acid, malic acid, ascorbic acid는 주로 과일 주스에서 검출되었다. Acetic acid가 주성분인(688.3~4,413.7 mg/100 mL) 식초류 중에서 흑초는 acetic acid뿐 아니라 citr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를 함유하여 유기산의 분포가 가장 다양하였다. XO 저해 활성은 과일 주스보다 식초가 평균 34.2% 더 높게 측정되었으며, 흑초는 64.9%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유기산의 종류 중에서 아세트산의 함량과 XO 저해 활성 간에 높은 정의 상관성이 존재하여($R^2=0.7192$) 식초류의 XO 저해 활성의 주요 지표물질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