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uracy of survey

검색결과 1,064건 처리시간 0.029초

인터넷 여론조사의 정확도 관련요인 (Factors Affecting the Accuracy of Internet Survey)

  • 조성겸;주영수;조은희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6권2호
    • /
    • pp.51-74
    • /
    • 2005
  • 인터넷을 이용한 여론조사가 늘고 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인터넷 조사의 편리성과 실용성 등은 공감하면서도, 인터넷 샘플이 일반 모집단 샘플과는 차이가 있으며 그로 인해 조사의 정확성을 해친다고 보고 있다. 이에 대한 의결방안으로 서로 다른 조사방법을 결합하여 분석하거나 가중치를 두어 표본 편향을 제거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연구 성과를 얻지는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응답패널을 미리 구성하여 실시하는 여론조사의 경우로 한정하여 이러한 인터넷 여론조사가 갖는 정확성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인터넷 여론조사의 정확도 수준을 결정짓는 주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인터넷 여론조사가 다른 조사방법에 비해 부정확하다면 그 요인은 무엇인지도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7대 총선기간의 인터넷 조사, 유선조사, 모바일 조사 간의 결과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고, 이들 결과를 실제 총선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터넷 조사의 정확도는 유선조사와는 비슷한 수준이나 모바일 조사보다는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패널의 정확도에 관련된 요인으로는 첫째 패널이 자발적 참여자로 구성된다는 점이었다. 인터넷 패널은 전화조사보다 자발성이 높은 응답자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자발성 편향은 조사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로 인터넷 조사 패널은 재택시간에 관계없이 조사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이 전화조사보다 더 정확해 질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셋째로 인터넷 패널은 교육수준에서 편향을 보이고 있다. 패널을 이용한 인터넷 조사는 무응답률이 낮고 응답의 신뢰성이 높다. 인터넷 패널 특성에 대한 이러한 연구는 인터넷 여론조사의 정확성과 유용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 PDF

위성영상별 경지면적 분류 정확도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Classification Accuracy for Calculating Cropland Areas by using Satellite Images)

  • 조명희;김성재;김동영;최경숙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2호
    • /
    • pp.47-53
    • /
    • 2012
  • Recently many developed countries have used satellite images for classifying cropland areas to reduce time and efforts put into field survey. Korea also has used satellite images for the same purpose since KOMPSAT-2 was successfully launched and operated in 2006, but still far way to go in order to achieve the required accuracy from the products. This study evaluated the accuracy of the calculated croplands by using the objected classification method with various satellite images including ASTER, Spot-5, Rapid eye, Quickbird-2, Geo eye-1. Also, their usability and effectiveness for the cropland survey were verified by comparing with field survey data. As results. Geo eye-1 and Rapid eye showed higher accuracy to calculate the paddy field areas while Geo eye-1 and Quickbird-2 showed higher accuracy to calculate the upland field areas.

지역투입계수의 정확성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n of the Accuracy for Regional Input Coefficients Estimated by Non-survey Methods)

  • 고석남;곽철홍
    • 지역연구
    • /
    • 제12권2호
    • /
    • pp.1-19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input coefficients which are usually estimated by various non-survey methods. The resulting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employed. One of the interesting findings was that the simple LQ method was shown to be better then the other non-survey methods with respect to the degree of accuracy. And from a sensitivity analysis which was to show the effect of changes in input coefficients on the level of production by industry, an increase of 10% in the value of input coefficient (machinary and equipment setor) resulted up to 500billion Won in GRP for the case region. Therfore one of the implications which we can derive from the resulting analysis is that it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key coefficients first to save out time and money, while retaining a certain level of accuracy. One thing to be noted, however, is that the key coefficients but the total effects which are calculated through the Leontief inverse matrices. Therfore to enhance the accuracty of input coefficients estimated by nonsurvey methods it is required to handle the relevant setoral data more carefully or to employ semi-survey method in part.

  • PDF

GPS기반의 효율적인 지적측량성과를 위한 측량기준 및 방안에 대한 연구 (The Effective Means to Promote GPS-Based Survey for Cadastral Surveying of GPS Performance Standards and Measures)

  • 안종순;강준묵;윤희천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5-7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지적재조사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한 기술적 기반을 조성하고, 정확한 지적정보 제공을 위해 정밀측량기술을 도입하여 지적측량 성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GNSS 기술기반의 GPS, RTK-GPS, 네트워크 RTK 및 GPS_토털스테이션을 도입하여 지적도근점과 필지경계점에 대한 측량성과의 목표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지적재조사 사업을 위한 통일된 정확도 기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인 연구로써 현행 지적측량 작업과정과 성과를 비교 분석하고, 방법별로 작업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적재조사 사업의 수행 시 다양한 최신 측량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높은 지적측량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측량규정을 제시하고, 지적기준점과 측지기준점을 일원화하여 지적기준점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사례 조사 및 정확도 분석에 의한 무인항공사진측량의 유효성 평가 (Validation of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by Research Case Study and Accuracy Analysis)

  • 이근왕;박준규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55-161
    • /
    • 2018
  • Recently, the development of sensor technology has led to an increase in research on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in various fields such as digital mapping, monitoring, cadastral survey, coastal survey, and topographic survey. However, existing studies are mainly limited experiments and analysis of specific application field, which is insufficient to demonstrate the validity of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for geo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In this study, the studies related to the accuracy of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were investigated. The flight altitude and accuracy of horizontal direction is proportional to the GS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individual studies conducted on the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within the last 5 years. In addition, the accuracy of the evaluation results varied widely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nd the problems of the previous studies that lacked the number of samples to evaluate the results were identified. A total accuracy analysis of 322 checkpoints yielded an accuracy of 0.028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0.044m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validity of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using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A Satisfaction Survey on the Human Translation Outcomes and Machine Translation Post-Editing Outcomes

  • Hong, Junghee;Lee, Il J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2호
    • /
    • pp.86-96
    • /
    • 2021
  • This cross-sectional survey research carried out with the inquisitive agenda on satisfaction of the translation outcomes as performed by human translation and (machine translation) post-editing. The survey group consisted of 166 Korean translators primarily working with the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languages. They were asked to rate the satisfactory level with accuracy, fluency, idiomatic expression, and terminology in the Richter's scale of four. The result reveals that human translation is more satisfactory than post-editing with respect to accuracy, but it is uneasy to assert that accuracy is unsatisfactory in post-editing.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translators are less satisfied with fluency, idiomatic expression, and terminology than accuracy. It can be assumed that although human translation is more satisfactory than post-editing, the accuracy of post-editing seems to be more acknowledged than fluency, idiomatic expression, and terminology, which lead the translators to take the accuracy of raw machine-translation products and to go on to improve the fluency, idiomatic expression, and terminology. Nevertheless, Korean translators believe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cannot be satisfactorily produced in post-editing, while fluency and terminology can be improved in post-editing.

Network RTK-GPS/GLONASS에 의한 지적측량 활용성 평가 (Availability Analysis of Network RTK-GPS/GLONASS)

  • 이종민;이인수;차득기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7-180
    • /
    • 2010
  • In cadastral field GPS mainly applies to fundamental survey, while there are numerous research about cadastral detail survey using GPS application in order to increase surveying efficiency as survey technology improve.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analyze the accuracy of position and estimate the efficiency of GPS/GLONASS combination surveying with control points. As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Network RTK-GPS/GLONASS combination survey is superior to Newtork RTK-GPS with respect to position accuracy and work efficiency.

  • PDF

항공비디오와 Landsat-TM 자료를 이용한 지피의 분류와 평가 - 태안 해안국립공원을 사례로 - (Land Cover Classification and Accuracy Assessment Using Aerial Videography and Landsat-TM Satellite Image -A Case Study of Taean Seashore National Park-)

  • 서동조;박종화;조용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31-136
    • /
    • 1999
  • Aerial videography techniques have been used to inventory conditions associated with grassland, forests, and agricultural crop production. Most recently, aerial videography has been used to verity satellite image classifications as part of the natural ecosystem surve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use aerial video images of the study area, one part of Taean Seashore National Park, for the accuracy assessment, and (2)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aerial videography as an accuracy assessment, of the land cover classification with Landsat-TM data. Video images were collected twice, summer and winter seasons, and divided into two kinds of images, wide angle and narrow angle images. Accuracy assessment methods include the calculation of the error matrix, the overall accuracy and kappa coefficient of agreement. This study indicates that aerial videography is an effective tool for accuracy assessment of the satellite image classifications of which features are relatively large and continuous. And it would be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present natural ecosystem survey method.

  • PDF

소규모 지역에서 수치지도의 위치정확도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The Improvement Method of Position Accuracy of Digital-Map in Small Area)

  • 이근상;장영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263-275
    • /
    • 2001
  • NGIS 사업으로 구축된 1/1,000 수치지도의 활용이 급증하면서 이를 활용하기에 앞서 수치지도의 위치정확도 검증이라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시설물관리시스템 구축에 기반이 되는 소규모 지역에 대한 1/1,000 수치지도의 위치 정확도를 평가하고, 위치오차가 발생한 지역에 대한 수치지도 수정/갱신 방안을 제시하였다. RTK방법으로 교내 주요건물에 대한 위치오차를 평가해 볼 때, 측량관계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0.5mm 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위치정확도 확보방안으로 먼저, 교내에 Static 측량을 실시하여 측량기준점을 선정한 후 기준점으로부터 주요건물에 대한 좌표값을 평가하여 RTK 방법으로 측량한 좌표값과 비교하였다. 두 번째로는 지도를 변환하였으며 그 결과를 RTK 측량성과와 비교하였다. 첫 번째 방법과 두 번째 방법을 검토하여 소규모 적합한 수치지도 위치정확도 확보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경계측량의 정확도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arison of Accuracy Degree in Boundary Survey)

  • 오창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7-116
    • /
    • 1997
  • 본 연구는 경계측량에서 평판측량과 트랜싯측량의 정확도 비교에 관한 연구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계 측량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평판측량은 인위적, 기계적 위치오차가 발생되어 민원의 여지가 있다 연구의 실행을 위하여 대상지역과 측점 및 측정점이 같은 곳에 위치하도록 실습장을 설치하고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트랜싯측량과 평판측량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측량하였다. 그 결과 평판측량에서 $\pm2~\pm20cm$, 트랜싯측량에서 $\pm0~\pm2cm$, 의 위치 오차가 발생되었다. 이와 같이 평판측량보다 트랜싯측량으로 경계측량을 실시하는 것이 훨씬 더 정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