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umulated strains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7초

당발효에 미치는 Lactobacillus helveticus YM-1 과 Streptococcus lactis ${ML}_3$의 상호작용 (Interaction of Lactobacillus helveticus YM-1 and Streptococcus lactis ${ML}_3$ on the Sugar Fermentation in Skim Milk)

  • 박정길;류인덕;윤성식;유주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2-49
    • /
    • 1987
  • L.helveticus YM-1 과 Str.lactis ${ML}_3$를 탈지유, 배양여액및 함성배지에 단독및 혼합배양 하였을때 산생성량과 당이용성 그리고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자기자신의 배양여액보다 상대편의 배양여액에서, 단독배양보다 혼합배양의 경우가 산생성 촉진효과가 컸었다. 유당의 이용성은 12시간 배양했을때 Str. lactis ${ML}_3$ 의 경우 0.4%, L.helveticus YM-1은 0.85%. 혼합배양시는 1.05%였다. L.helveticus YM -1의 단독배양과 두균의 혼합배양의 경우 8시간후 배지에 생성된 포도당은 0.22%와 0.10%를 나타낸 다음 점차 감소하였다. L.helveticus YM-1에 의해서 생성된 포도당은 Str.lactis ${ML}_3$의 산생성을 촉진한다고 생각된다.

  • PDF

Regulation of Glycogen Concentration by the Histidine-Containing Phosphocarrier Protein HPr in Escherichia coli

  • Koo, Byung-Mo;Seok, Yeong-Jae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9권1호
    • /
    • pp.24-30
    • /
    • 2001
  • In addition to effecting the catalysis of sugar uptake, the bacterial phosphoenolpyruvate::sugar phosphotransferase system regulates a variety of physiological processes. In a previous paper [Seok et al.,(1997) J. Biol. Chem. 272, 26511-26521], we reported the interaction with and allosteric regulation of Esiherichia coli glycogen phosphorylase activity by the histidine-containing phosphocarrier protein HPr in vitro. Here, we show that the specific interaction between HPr and glycogen phosphorylase occurs in vivo. To address the physiological role of the HPr-glycogen phosphorylase complex, intracellular glycogen levels were measured in E. coli strains transformed with various plasmids. While glycogen accumulated during the transition between exponential and stationary growth phases in wildtype cells, it did not accumulate in cells overproducing HPr or its inactive mutant regardless of the growth stage.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HPr mediates crosstalk between sugar uptake through the phosphoenolpyruvate:sugar phosphotransferase system and glycogen breakdown. The evolutionary significance of the HPr-glycogen phosphorylase complex is suggested.

  • PDF

하수처리 방류 소하천내 퇴적물로부터의 박테리아 유출 플럭스모델 비교 (A Test of Two Models for the Bacteria Flux across the Sediment/Water Interface in an Effluent-dominated Stream)

  • 안종호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5-172
    • /
    • 2010
  • Treated sewage could enable growth by providing key nutrients or seeding the sediments with enterococci strains that can grow in the environment. This study i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flux of bacteria into the water column is rate-limited by the transfer of bacteria across the sediment/water interface. Two conceptual models are derived for the transfer of bacteria to the water column from the sediment/water interface: convective diffusion of isolated bacteria and resuspension of particle-associated bacteria. The model predictions are directly tested together with field measurements of bacteria and sediment in an effluent-dominated stream where high concentrations of enterococci in this stream originate primarily from growth of the bacteria in stream sediments. The results reveal that high concentrations of enterococci in this stream are transported primarily by resuspension of particle-associated bacteria accumulated at the sediment/water interface, either in the form of bacterial aggregates or in the form of inorganic particles.

벼 유전자 집적에 따른 지질함량 특성 (Lipid Contents Characteristics of Gene Accumulate in Rice)

  • 윤경민;홍순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7-187
    • /
    • 2002
  • 특정한 현미의 표현형을 보이며, 지질함량이 원품종인 Kinmaze 보다는 높은 거대배(EM 40)와 두꺼운 호분층(LO 1050)과 현미의 립형이 작은립(TAL 214)에 표현형을 나타내는 돌연변이 계통들을 이용하였다. 이것들 간에 특정한 유전자의 집적을 유도하고 상호 정역교배(Reciprocal cross)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에 따라 지질함량이 높아지는 계통을 선발하고 이용할 목적으로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일부 영양적인 측면에 대한 특성도 조사하여 보고자 지방산 조성에 대해서도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거대배 돌연변이와 두꺼운 호분층 돌연변이 계통간의 교배조합에서는 거대배의 발현은 호분층의 두께와는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대배.두꺼운 호분층 F$_2$개체의 지질함량은 4.15 %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높은 지질함량 수치는 Kinmaze을 포함 각각의 교배모본들에 지질함량과 본 실험에서 사용된 다른 어느 교배조합 보다도 높은 함량수치를 나타내었다. 높은 지질함량을 보이는 원인으로는 지질의 경우 현미의 배부분에 많이 축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거대배.두꺼운호분층 F$_2$개체는 배의 크기를 크게하는 유전자와 호분층을 두껍게 하는 유전자의 집적에 의한 결과로 그 조건을 충분히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 2. 거대배 돌연변이와 작은립의 교배조합에서는 거대배.작은립 F$_2$개체의 지질함량이 3.80 %으로 작은립 교배모본의 2.92 %보다 0.88 %가 높게 나타났지만, 지질함량 증가의 정도는 다른2개의 교배조합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로는 작은 립의 표현형을 보이는 유전자의 영향으로 인하여 거대배가 원래의 배의 크기에 비해 조금 작아진 것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3. 두꺼운 호분층.작은립 F$_2$개체의 호분층에 두께는 작은립의 교배모본에 비하여 12 $\mu\textrm{m}$가 두껍게 나타났으나, 두꺼운 호분층의 교배모본에 비해서는 6 $\mu\textrm{m}$가 얇게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호분층의 두께는 현미의 크기에 일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두꺼운 호분층.작은립 F$_2$ 개체에 현미의 표현형은 TAL 214과 같은 작은립의 표현형을 보인 것으로 여겨진다. 4. 지질함량의 경우는 3.85 %로 각각의 교배모본 TAL 214 2.92 %, LO 1050 3.01 %에 비하여 0.93 %, 0.84 %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LO 1050의 호분층에 의한 영향으로 여겨지며, 현미의 배의 크기는 LO 1050 만큼 크지는 않아도 두꺼운 호분층의 유전자 집적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질함량이 상승시키는데도 이와 같은 유전자 집적의 효과가 유효할 것으로 여겨진다. 5. 지방산 조성은 있어서는 품종인 Kinmaze와 각각의 교배모본의 계통과 이 들 F$_2$ 개체에는 그 차이가 유의성을 보일 정도는 아니였다. 그러나, oleic acid의 일부 증가와 linoleic acid의 미미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Linolenic acid도 감소는 본 실험의 최종적 결과인 지질함량 증가와 더불어 현미의 지질이용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지방산 조성에도 특정한 표현형의 형질은 유전자 집적에 따른 품질의 변화를 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6. 현재, 거대배 1형(ge-1, 3.68 %), 거대배 2형(ge-2,2.91 %), 두꺼운 호분층(4.63 %), 전분층에 지질함량이 많은 것(3.44 %)등 다양한 표현형을 보이는 여러 가지 계통에 대하여 유전자 집적을 효과를 조사하고 있으므로 벼의 지질함량이 많은 폭으로 증대되는 것에 기대를 하고 있다.

콘크리트구조물의 반복적 동결융해에 대한 수치 해석적 열화 예측 및 신뢰성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Deterioration Prediction Model and Reliability Model for the Cyclic Freeze-Thaw of Concrete Structures)

  • 조태준;김이현;조효남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3-22
    • /
    • 2008
  • 다공성 시스템 내부 동결체의 생성과 성장은 온도경사와 화학적 에너지뿐만 아니라 열 물리학적 영향과 이동 물질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더욱이 융해 화학물질의 확산율은 반복적인 동경융해 환경 하에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콘크리트구조물의 열화는 해양환경과, 높은 고도 및 북쪽 지방에서 특히 크게 발생된다. 그러나 균열 성장과 누적된 손상에 의한 열화를 동반한 동결융해의 특성은 실험을 통해서 추정하기가 곤란하다. 이러한 손상을 예측하기 위해서 응답면기법 (RSM)을 이용한 회귀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콘크리트구조물에서 반복되는 동결융해로 인한 열화의 주요 변수인 물-시멘트비, 연행공기, 동결융해의 반복 횟수 등은 응답면기법의 한계상태방정식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입력 변수로 사용되었다. 누적변형률, 상대동탄성계수, 또는 등가 소성변형과 같은 주요한 열화 변수에 대한 회귀방정식은 열화된 구조물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300번의 동결융해 반복 후의 상대동탄성계수와 잔류변형의 결과는 실험 결과와 매우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응답면기법의 결과는 설계 시 한계값에 대한 초과 확률을 예측하는데 사용되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개발된 예측 기법을 활용하여 반복적인 동결융해에 의해서 누적 손상을 받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생애주기 관리에 사용될 수 있다.

Bacillus thuringiensis의 CryI과 CytA 단백질의 형태와 용해도에 대한 숙주의 영향 (Effects of Host Cell on the Morphology and Solubility of CryI and CytA Protein of Bacillus thuringiensis)

  • 김무기;안병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23-30
    • /
    • 1998
  • B. thuringiensis에서 분리된 cryIB, truncated cryIB$[cryIB({\alpha})]$, cryIA(b), 및 cytA 유전자를 E. coli-Bacillus의 shuttle vector인 pBES에 cloning하여 이 유전자의 동종 혹은 이종발현과 이들 형질전환된 균주에서 생성되는 살충성 결정 단백질의 형태와 특성을 조사하였다. E. coli와 Bacillus의 형질전환은 electroporation으로 이루어졌으며, 효과적인 형질전환을 위한 field strength와 resistance는 E. coli의 경우 11.0 kV/cm와 129 ohms였고, Bacillus의 경우에는 4.5 kV/cm와 48 ohms였다. E. coli나 Bacillus에서 형성되는 살충성 결정 단백질의 전자현미경적인 형태는 원래의 숙주에서 형성된 것과 동일하여 CryIB와 CryIA(b)는 bipyramid 형이고, CytA는 부정형이었으며, 크기는 E. coli에서 형성된 것이 Bacillus에서 형성된 것 보다 작았다. Alkaline pH에서의 살충성 결정 단백질의 용해도는 E. coli의 경우 pH의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되었으나, Bacillus의 경우에는 pH 9 까지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pH 9 이상에서는 큰 폭으로 증가하여 E. coli의 경우보다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 PDF

Damage constitutive model of brittle rock considering the compaction of crack

  • Gu, Qingheng;Ning, Jianguo;Tan, Yunliang;Liu, Xuesheng;Ma, Qing;Xu, Qia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5권5호
    • /
    • pp.1081-1089
    • /
    • 2018
  • The deformation and strength of brittle rock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crack closure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ngth and deformation of rocks under uniaxial loading is the foundation for design and assessment of such scenarios. The concept of relative crack closure strain was proposed to describe the influence of the crack closure behavior on the deformation and strength of rocks. Considering the crack compaction effect, a new damage constitutive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accumulated AE counts. First, a damage variable based on the accumulated AE counts was introduced, and the damage evolution equations for the four types of brittle rocks were then derived. Second, a compaction coefficient was proposed to describe the compaction degree and a correction factor was proposed to correct the error in the effective elastic modulus instead of the elastic modulus of the rock without new damage. Finally, the compaction coefficient and correction factor were used to modify the damage constitutive model obtained using the Lemaitre strain equivalence hypothesis. The fitted results of the models were then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effective elastic modulus decrease with an increase in the relative crack closure strain. The values of the damage variables increase exponentially with strains. The modified damage constitutive equation can be used to more accurately describe the compressive deformation (particularly the compaction stage) of the four types of brittle rocks, with a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greater than 0.9.

초산을 이용한 글루타민산의 발효생산에 관한 연구 (제2보) 글루타민산 생성을 위한 발효조건 (Studies on the Bacterial Production of L-Glutamate from Acetate Part II. Cultural Conditon)

  • 하덕모;노완섭;서동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41-147
    • /
    • 1974
  • 초산으로 부터의 글루타민산 발효생성을 목적으로 Brevibacterium flavum nov. sp. D2209B 균주를 이용한 발효조건에 관하여 시험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산농도는 배지 l 당 30g 하일 때 L-GA생성이 좋았다. 2. KH$_2$PO$_4$, MgSO$_4$, FeCl$_3$, MnC1$_2$ 및 NaCl 등의 무기염류의 침가는 L-GA 생성을 위하여 필수적이며 이들 무기염의 농도차에 의한 현저한 영향은 볼 수 없었다. 3. Biotin의 농도는 l당 0.3r 이하의 한정된 범위에서 L-GA 생성이 가장 좋았다. 4. L-GA 생성을 위한 최적온도는 3$0^{\circ}C$이며 최적 pH는 7.5~8.5 였다 5. Succinic acid와 malic acid의 첨가로 L-GA 생성은 증가되었다. 6. 배양도중에 있어서의 penicillin 첨가는 L-GA생성을 촉진하며 발효 16시간째 배지 l당 20 unit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였다. 7. 전배양시간은 16~20시간 배양이 가장 적당하였다.

  • PDF

Discrete element numerical simulation of dynamic strength characteristics of expanded polystyrene particles in lightweight soil

  • Wei Zhou;Tian-shun Hou;Yan Yang;Yu-xin Niu;Ya-sheng Luo;Cheng Ya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4권5호
    • /
    • pp.577-595
    • /
    • 2023
  • A dynamic triaxial discrete element numerical model of lightweight soil was established using the discrete element method to study the microscopic mechanism of expanded polystyrene (EPS) particles in the soil under cyclic loading. The microscopic parameters of the discrete element model of the lightweight soil were calibrated depending on the dynamic triaxial test hysteresis curves. Based on the calibration results, the effects of the EPS particles volume ratio and amplitude on the contact force, displacement field, and velocity field of the lightweight soil under different accumulated strains were studi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ysteresis curves of lightweight soil exhibit nonlinearity, hysteresis, and strain accumulation. The strain accumulated in remolded soil is mainly tensile strain, and that in lightweight soil is mainly compressive strain. As the volume ratio of EPS particles increased, the contact force first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and the displacement and velocity of the particles increased accordingly. With an increase in amplitude, the dynamic stress of the particle system increased, and the accumulation rate of the dynamic strain of the samples also increased. At 5% compressive strain, the contact force of the particles changed significantly and the number of particles deflected in the direction of velocity also increased considerab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emented structure of the lightweight soil began to fail at a compressive strain of 5%. Thus, a compressive strain of 5% is more reasonable than the dynamic strength failure standard of lightweight soil.

식물의 암종유발에 관한 연구 2 (제 2 ) 에서 도마도 줄기에 유발된 의 Peroxidase Activitiy 에 대하여 (Studies of Plant Tumor Induction (Pat 2) On the Study of Peroxidase Activities of Tumor Tissues Developed on Tomato Stem in Outdor Conditions.)

  • 이민재;홍순우;최영길
    • 미생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10
    • /
    • 1966
  • The relationships between tumor score and peroxidase activities of tomato stems infected with Agrobacterium tumefaciens strain A6Kl, B6, T372 11BNV6, 11BV7 and wounded stem as a control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crown gall tumor development on purpose to study the lignification of tumor tissue which is affected to the development of crown gall tumor. As the previous paper has been mentioned the fact that the induction of tumor tissues were inhibited or limited in the lignified stem of host plant. It was presumed that the activities of peroxidas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lignification were decreased during the period of tumor development. But the experimental result in this experiment shows that the peroxidase activities of crown gall tumor-tissues infected with the A. tumefaciens strains which are already known as virulent are increasing during four weeks, however, in the strain 11BNV6 and wound the peroxidase activities are decreasing on the second week after the inoculation of the bacteria strains. These results could be explained on the basis of that possible regulatory agents of lignification which were accumulated in tumor tissues, IAA, ascorbic acid, glutathion(GSH) and caffeic acid esters, were postulated to act as antioxidants which has been suggested by Stafford. Total nitrogen contents in relation to crown gall tumor development were determined for the detection of protein synthesis related to the enzyme activities which are increasing in the time of plant growth. Generally six groups are contained the largest amount of nitrogen on the second week after the inoculation of the bacterium. Comparing to the tumor score, it is presumed that the all of enzyme activities including peroxidase in tumor tissues are increasing from the second week through the third week after the inoculation of bacterium and the protein synthesis is stimulated under the most appropriated temperature during the above perio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