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ri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4초

남산과 광릉수목원의 잣나무림에서 낙엽분해과정에 관련된 토양미소절지동물군집 (Soil Microarthropod Community in the Process of Needle Leaf Decomposition in Korean Pine(Pinus koraiensis) Forest of Namsan and Kwangreung)

  • 배윤환;이준호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5-80
    • /
    • 1999
  • 남산과 광릉의 잣나무림에서 낙엽분해에 관련된 토양미소절지동물을 이목이상의 상위분류군으로 동정한 결과 개체수에 있어서 두 지역 모두 응애류가 61-68%, 톡토기류가 27-35%로 두 분류군이 절대다수를 점유하고 있었다. 응애류에서는 날개응애아목이 현저하게 많았으며, 중기문, 전기문아목은 소수군에 속하였다. 응애류의 총개체수가 광릉이 남산보다 약간 많은 것 이외에는 두 지역간의 토양절지동물 군집구조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낙엽주머니의 mesh size에 따른 차이도 응애류, 거미류, 파리목의 개체수가 1.7 mm에서 0.4 mm보다 높은 것을 제외하면 양자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류군의 계절 변동에 있어서는 분류군에 따라 다른 밀도변동양상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으로는 5월부터 9월까지의 밀도가 다른 시기의 밀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낙엽분해 1년차에는 7월의 밀도가 뚜렷하게 높게 나타났다. 낙엽의 잔존율은 낙엽후 1년 동안은 지속적으로 떨어졌다. 낙엽분해 2년차에서는 잔존률의 하강속도가 둔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종조사 시점인 22개월 후의 낙엽잔존율은 약 40% 정도가 되었으며, 두 지역간, 낙엽주머니 mesh size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낙엽분해 2년차까지는 남산과 광릉의 입지환경 차이가 두 지역 잣나무 낙엽분해과정에 관련된 토양절지동물군집과 낙엽분해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산 날개응애 1신종, 곧은낚시바늘염주응애 (A New Species, Acanthobelba heterosetosa, of Oribatid Mite from Mt. Jiri in Korea)

  • 최성식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6-18
    • /
    • 1997
  • Compared with type specimen Acanthobelba tortuosa Enami and Aoki, 1993, a new species, A. heterosetosa sp. nov., of oribatid mites collected from Mt. Jiri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 figures. Sensillus is long, slightly thickened at distal part, and covered with barbs sparsely. A pair of prodorsal tubercles Da are present. Natogastral frontal tubercles sa is elongated rather than hooked. Dorsal setae are not the same in shape and length: setae c1 and c2 are thick, blunt at tip, covered with small barbs and curved several times, but others are smooth.

  • PDF

한국산 창응애과(진드기아강, 중기문목)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f Parholaspid Mites (Acari, Mesostigmata) in Korea)

  • 이원구;이소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6권1호
    • /
    • pp.105-112
    • /
    • 2000
  • 1998년 12월부터 1999년 10월 사이에 남한의 삼림 및 초지 토양에서 채집된 중기문응애류를 조사한 결과 1신종, Neparholaspis bisunensis n. sp.와 3미기록종, Holaspina communis, H. multidentatus 및 Holaspulus, montanus를 포함한 11종의 창응애과가 동정되었다.

  • PDF

한국산 뾰족입짠물응애속(진드기목: 짠물응애과)의 2종 (Two Copidognathus Halacarids(Acari: Halacaridae)from Korea)

  • Tapas Chatterjee;Lee, Ji-Min;Chang, Cheon-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0권1호
    • /
    • pp.45-54
    • /
    • 2004
  • A new species of marine Halacaridae, Copidognathus laevisetosus is recorded from Yeongdeok coast, Korea. In morphological aspects, the present new spe챠es is closely related to C. koreanus Chatterjee and Chang. Morphological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between them are discussed. Copidognathus cerberoideus Bartsch is reported here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and away from its type locality.

New record of two feather mites(Acari: Sarcoptiformes: Astigmata) isolated from Actitis hypoleucos in South Korea

  • Han, Yeong-Deok;Min, Gi-Sik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225-232
    • /
    • 2019
  • Two feather mites, Bychovskiata hypoleuci Mironov and Ddabert, 1997 and Phyllochaeta interifolia (Mégnin and Trouessart, 1884)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Specimens of these two species were collected from the common sandpiper Actitis hypoleucos. The genera Bychovskiata Dubinin, 1951 and Phyllochaeta Dubinin, 1951 are also new reports for South Korea. Here, we provide morphological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these two species. Additionally, we provide partial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COI) as DNA barcodes.

Three feather mites(Acari: Sarcoptiformes: Astigmata) isolated from Tringa glareola in South Korea

  • Han, Yeong-Deok;Min, Gi-Sik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215-224
    • /
    • 2019
  • We describe three feather mites recovered from a wood sandpiper Tringa glareola that was stored in a $-20^{\circ}C$ freezer at the Chungnam Wild Animal Rescue Center. These feather mites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Avenzoaria totani (Canestrini, 1978), Ingrassia veligera Oudemans, 1904 and Montchadskiana glareolae Dabert and Ehrnsberger, 1999. In this study, we provide morphological diagnoses and illustrations. Additionally, we provide partial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COI) gene as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three species.

산림토양 산성화의 생물지표로써 날개응애(Acari: Oribatida) 이용 가능성 (Potential of Using Oribatid mites(Acari: Oribatida) as Biological Indicators of Forest Soil Acidification)

  • Chuleui Jung;Joon-Ho Lee;Seong-Sik Choi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13-218
    • /
    • 2002
  • 국제 기구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생물 지표를 이용한 환경 모니터링에 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생물 지표는 자국의 국지환경 변화에 잘 반응해야 하므로, 토착 생물지표의 개발은 생태계 복원 및 평가에서 매우 중요한 시발점이다. 환경 스트레스를 달리 받고 있는 남산과 광릉 활엽수림 지역에서 조사된 날개응애 중에서 토양 및 부엽 산도(pH)와 밀접한 관계를 보이는 종을 회귀분석을 통하여 잠재적 생물 지표종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종은 다음과 같다; Lasiobelba remota, Ceratozetes sp. Tectocepheus velatus, Neogymnobates sp. and Oppia sp.3. 또한 군집구성 및 기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심종(keystone species)으로는, 남산 활엽수림지역에서는 Lohmannia coreana, Ceratozetes sp., Rostrozetes pulcherrimus, Lasiobelba remota 그리고 광릉지역에서는 Neugymnobates sp., Neogymnobates donghaksaensis, Cultroribula tridentata로 나타났다. 생물지표를 이용한 환경 모니터링의 장단점에 대해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