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convergence

검색결과 1,055건 처리시간 0.03초

비전공자의 SW 교육을 위한 시연 중심 모형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효과 (The Effect of DMM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W Education of Non-Major)

  • 강윤정;원동현;박혁규;이민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8-260
    • /
    • 2022
  • 비전공자에게는 처음 접하는 SW 개발환경과 이해, 전공과의 관련성, 융합 능력 등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비전공자를 위해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활용하였고 SW 교육 초보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시연 중심모델(DMM)을 적용하여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전공과 관련된 아이디어의 구성요소와 논리적 흐름 파악할 수 있도록 교수자의 시연과 학습자의 모방을 통한 반복적인 구현과 학습동기 유발 요소를 결합한 융합 SW 교수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실험에서 SW 교육에서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보였다.

  • PDF

비대면 학습환경에서 온라인 강의를 경험한 간호대학생들의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학업스트레스간의 관계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online lectures in a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 양승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63-73
    • /
    • 2023
  • 본 연구는 비대면 학습환경에서 온라인 강의수강을 경험한 일 간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및 학업스트레스 정도를 확인하고 변수간의 상관관계 및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위치한 일 간호대학의 재학생 143명을 대상으로 구글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2023년 9월 1일부터 2023년 9월 25일까지 자료수집을 시행하였고, SPSS Statistics 25.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상관계수, linear multiple regesion을 시행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간호학과 지원동기(F=4.465, p=.005)와 전공만족도(F=36.499, 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업스트레스는 학습몰입(r=-.464, p<.010), 학업적 자기효능감(r=-.522, p<.010), 학업성취도(r=-.379, p<.010)간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만족도는 학업스트레스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전공만족도(𝛽=.367, p<.01), 학습몰입(𝛽=-.186, p<.05), 학업적 자기효능감(𝛽=-.241, p<.05)으로 확인되었으며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설명력은 40%였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 키워드 분석을 활용한 기술인문융합 현황 분석 (Issues for Technology-Humanities Convergence : Patent Keyword Analysis)

  • 김지은;이성주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1-240
    • /
    • 2016
  • As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convergence is pointed out, technology-humanities convergence which highlights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humans, is focused as a solution to facilitate sustainable technological innovation. Technology-humanities convergence has already occurred in various industries, of which a considerable number of successful cases can be noted. However, few efforts have been made to investigate technologyhumanities convergence as an independent academic field. Therefore,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the status of technology-humanities convergence. To do this, first, a definition of technology-humanities convergence was proposed. Second, based on Maslow's theory, the types of human needs and related key words were extracted. Third, patents related to human needs were collected from the United State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2000~2014). Fourth and last, the status of technology-humanities convergence was analyzed in terms of "convergence trends" and "convergence area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mote more creative and human-centered performances of innovation as well as to support decision-making when the innovation strategy-as attempted by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echnology-humanities convergence in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competitiveness-is established.

국내대학의 학사지도제도 현황에 관한 연구 - 동국대학교 파라미타칼리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tus of Academic Advising Systems in Korean Universities - Focusing on Dongguk University's Paramita College -)

  • 김효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61-69
    • /
    • 2016
  • 최근 대학교육은 내용중심 교육에서 학생들에게 지식의 전달보다는 학생 스스로 지식을 발견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학습자중심 교육으로 변화하면서 학생들의 인지적, 정서적 발달을 중요시하게 되었다. 또한 대학의 양적인 팽창과 교수들의 연구업적 평가의 강화, 대학조직의 학부제로의 전환으로 인해 대학생들의 성공적인 대학생활 적응이 각 대학에서 중요한 사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대학교육의 흐름에 따라 학생에게 필요한 학사관련 정보제공 뿐 아니라, 학생의 잠재력 개발과 진로 및 생애계획을 통합적으로 지도하여 대학생활의 적응을 돕는 학사지도제도가 대학교육의 중요한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사지도제도의 정착화를 이루고 있는 미국대학의 학사지도제도를 살펴보고, 동국대학교 파라미타칼리지의 학사지도제도 운영현황을 알아봄으로써 국내대학의 학사지도제도 체계화 및 구축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전문대학 학생의 학업중단 예측에 관한 연구: 초기 학업 성적의 중요성 (A Study on Predicting Student Dropout in College: The Importance of Early Academic Performance)

  • 오상조;심지환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2호
    • /
    • pp.23-3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한 전문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최소한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1학년 1학기 성적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최종 학적 상태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XGBoost와 LightGBM 모델을 사용한 결과, 이러한 변수들이 학생들의 제적 여부 예측에 유의미한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학업 시작 초기의 성적이 학업 중단의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전문대학의 학제가 최종 학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학업 기간이 학생들의 학업 중단 결정에 중요한 요소임을 나타낸다. 전문대학에서 조기 학업 중단 의도를 파악하는 데 있어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요인에 의존하지 않고 학업 성취도만을 기준으로 모델링을 시도하였다. 이는 향후 학업 중단에 대한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생의 사회봉사활동 경험특성에 따른 전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ervice Experience in University students)

  • 허성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85-96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및 학업성취수준을 봉사활동 특성과 융합적으로 규명하여 대학의 사회봉사활동의 올바른 정착과 함께 전공학문과의 연계에 필요한 프로그램의 운영 및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2014년 12월 1일부터 2015년 2월1일까지 부산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패널을 이용하여 자율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 4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분석에 사용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봉사활동 경험이 있을수록 봉사활동 참여도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수준이 높았고, 특히 봉사활동이 전공과 관련성이 있는 경우 전공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봉사활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봉사활동 필요성이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았고, 보건계열이 비 보건계열에 비하여 전공만족도가 높았다. 따라서 전공 관련된 체계적인 봉사활동을 경험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봉사활동의 필요성과 참여도를 높이고 봉사활동이 보다 지속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몰입경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인터넷 중독이 웹기반 컴퓨터교육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ow Experienc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Internet Addiction on Academic Achievement in Web-based Computer Education)

  • 장필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293-30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몰입경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인터넷중독과 웹기반 컴퓨터 교육의 학업성취도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 인과관계 모형의 남녀 성별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는 몰입경험과 학업성취도에 양의 방향으로 직접적이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중독에는 음의 방향으로 유의한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 학업성취도는 몰입경험에 양의 방향으로 유의한 직접적 영향을 받으며,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 의해 몰입경험을 매개로 유의한 직 간접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남학생은 여학생과는 달리, 몰입경험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영향과 자기주도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간접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플립러닝을 활용한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학업 성취도 및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융복합적 효과 (The Convergence Effect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Using Flipped Learning on Self Confidence in Performance, Academic Achievement and Critical Thinking)

  • 김애경;이수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389-399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플립러닝을 활용한 기본간호학 실습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학업 성취도 및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D대학 간호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인 실험군 38명, 대조군 36명이었으며 실험군에게는 플립러닝 수업을 대조군에게는 기존의 수업 방식을 4주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실험 후 플립러닝 수업을 실시한 실험군의 활력징후 학업 성취도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t=2.921, p=.005) 나머지 변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실험 전후 비판적 사고성향이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실험군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실험 전에 비해 실험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t=-2.277 p=.029). 향후 간호학에서 플립러닝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이 학업성취,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lasswide peer tutoring on academic achievement, self-leadership and interpersonal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정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55-62
    • /
    • 2018
  • 본 연구는 10회의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확인을 위한 원시실험연구로,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9.0으로 Mann-Whitney U와 Kruskal-Wallis 검정 결과, 변수의 평균 순위값의 영향요인은 입학동기였다. Wilcoxon Signed Ranked Test 결과, 실험처치 전후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은 학업성취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p<.001), 셀프리더십의 하위영역 중 인지적 전략과,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영역 중 관계촉진의 평균순위값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20; p=.040), 셀프리더십과 대인관계능력 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296, p=.041). 본 연구 결과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은 간호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켰고, 셀프리더십과 대인관계능력에 효과가 있는 중재로 볼 수 있으나, 대상자 수를 확대하고, 대조군을 설정한 유사실험연구로 실험결과를 재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우리나라 대학 신입생의 영어 학습 감정에 대한 융합적 연구: 수준별, 팀티칭, 의사소통활동유형에 따른 차이 (A Convergency Study on University Freshmen's Academic Emotions towards English: Difference depending on level, team-teaching & communicative activities)

  • 박옥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69-37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들의 교양 영어 수업에 대한 학습 감정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수준별로 원어민과 한국인 교수의 팀티칭으로 진행되는 의사소통 활동 위주의 교양 영어 수업에 대한 신입생들의 학습감정을 탐색하였다. 연구 방법은 B대학 신입생 327명을 대상으로 학습감정검사지(Academic Emotion Questionnaire; AEQ)를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생들의 영어 학습 감정이 영어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상급반 학생이 초급반과 중급반 학생들보다 걱정과 지루함을 더 많이 느꼈다(P < .05). 둘째, 신입생들의 영어 학습 감정이 원어민과 한국인 교수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원어민 교수의 수업이 한국인 교수의 수업 보다 더 재미있고, 더 만족스럽고, 덜 지루하다는 결과를 보였다(P < .001). 셋째, 신입생들의 영어 학습 감정이 의사소통 활동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게임이 제일 재미있고 만족스러운 반면, 발표하기는 제일 걱정되고 지루하다는 결과를 보였다(P < .001).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 신입생들의 영어 학습 감정 개선을 위한 제언 및 교육적 함의가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