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use experience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3초

청소년의 학대피해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Adolescents' Experiences of Abuse Damage on Aggressiveness in the Convergence Era: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s of Resilience)

  • 김숙향;김형모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31-34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대피해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 초4 패널 중에서 7차년도(2016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21.0을 사용하여 대상의 일반적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다중공선성을 확인 한 후 매개변인 효과를 하였다. 그리고 매개효과 경로분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대피해경험이 공격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학대피해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효과가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피학대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강화의 중요성과 모든 청소년들의 성공적인 성인기를 맞이할 수 있도록 예방적 차원에서 자아탄력성 강화가 필요함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의미를 가지며, 이를 토대로 청소년을 대상으로는 자아탄력성 강화 프로그램이 제공이 사회복지실천에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Effect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 on Gender Role Attitude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Lee, Ji-woo;Choe, Eun-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227-235
    • /
    • 2021
  • 본 연구는 아동기 학대경험이 있는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성역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며, 아동기 학대경험의 예방적 방안 및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가족부에서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3년마다 실시하는 가정폭력실태조사를 통해 수집된 2019년도 전국 9,060 표본가구내 만 19세 이상 가구원 총 9,060명 중 참여자 여성 4,546명, 남성 4,514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기 학대경험이 성역할 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도 부(-)적인 영향을 나타나났다. 이는 향후 아동기 학대예방과 아동보호 인식개선이 생애초기부터 강화될 필요성이 있고, 아동의 부모사전교육과 사회적 지지의 수준과 충분한 방안 마련을 제언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시하고자 한다.

간호사의 특성과 노인학대에 대한 심각성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Nurses' Characteristics and their Perception of Seriousness of Elder Abuse)

  • 고정미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9-118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of seriousness of elder abuse. Method: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to describe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by 301 nurses. Data were col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The research instruments utilized in this study were 12 scenarios adapted by Yoo & Kim from the 13 senarios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developed by Moon and Williams (1993), a seven item questionnaires related to elder abuse law, and a Semantic Differential Scaling to measure attitudes toward elderly peopl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The mean score for perceptions of elder abuse was 3.07. Among the types of abuse, sexual abuse was perceived as the most severe type of abuse followed by physical abuse, neglect, financial abuse, and emotional abuse in that order. Education, job position, experience of gerontological nursing course, and education on elder abuse, exposure to elder abuse information, and attitudes toward elde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seriousness on elder abus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ovision of elder abuse education is needed for nurses, to enable them to identify elder abuse and address their legal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청소년기 자녀의 가정폭력 노출과 심리사회적 부적응 -중학생 자녀의 아내학대 목격과 자녀학대 피해를 중심으로- (Adolescent Children's Domestic Violence Exposure & Psycho-social Maladjustment -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 Children's Wife Abuse Witnessing and Child Abuse Victim -)

  • 김정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5호
    • /
    • pp.171-18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dolescent children's exposur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influences their psycho-social maladjustment. The SPSS 10.0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 data obtained through 589 adolescents who attend middle school in Gwangju are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Domestic violence exposure in adolescent children was considerably serious; 84.4% child abuse by parents, 66.0% witness of father-to-mother abuse. 2. Child abuse and wife abuse had close relation in occurrence and severity. 3.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social competence of adolescents were different by the victim of child abuse, the witness of wife abuse, and the style of domestic violence exposure. 4. Domestic violence exposur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adolescent children's psycho-social maladjustment.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과 신고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porting Behavior of Mandated Reporter)

  • 허남순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3권
    • /
    • pp.209-230
    • /
    • 2003
  • 본 연구는 아동학대신고 의무자들 중 학대당하는 아동을 발견하였을 때 학대를 신고하는 사람과 신고하지 않는 사람간의 차이와 신고행동에 영양을 주는 요인들이 무엇인가를 발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대상자는 신고의무자 중 교사,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유의 표집이었고 신고자와 비신고자간의 차이와 신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응답자 477명중 학대당한 아동을 발견한 경험이 있다고 한 응답자 116명만을 대상으로 결과 분석을 하였다. 아동학대를 발견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 중 35.3% 만 아동학대를 신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고집단과 신고하지 않은 집단간에는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신고지식 그리고 아동학대 교육이나 연수를 받은 경험 등이 모두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 신고자들이 아동학대를 허용하지 않는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아동학대에 대한 지식이 더 많았고 아동학대에 대한 교육이나 지식을 접한 경험이 더 많았다. 그러나 다른 변인들을 모두 투여했을 때 아동학대를 신고하는 행동에 유의미하게 영창을 주는 요인으로는 응답자의 직업, 학대 교육을 받은 경험 정도, 발견한 아동의 학대의 심각성 정도였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신고행동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임상 치과위생사의 언어폭력 경험 및 대처방안 (A Study on Verbal Abuse Experience and Coping Strategies of Dental Hygienist)

  • 문학진;한예슬;조영식;임순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48-354
    • /
    • 2015
  • 본 연구는 임상 치과위생사가 경험한 언어폭력 실태를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치과 근무 중에 언어폭력 경험이 있는 치과위생사 177명(61.2%)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1달간 언어폭력 경험한 경우는 없음이 57.1%, 1회 15.7%, 2회 13.6%, 3회 이상이 13.6%로 나타났다. 언어폭력의 가해자는 환자가 67.9%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과의사 21.1%, 선임 또는 동료 치과위생사 10.0%, 타 직종 직원 1.0% 순이었다. 치과위생사가 자각한 언어폭력의 이유에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불만을 나에게 화풀이 한다'가 17.0%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환자나 보호자가 질병과 관련된 신체적 정서적 고통을 나에게 화풀이 한다' 14.1%, '치과위생사를 치료자가 아닌 아랫사람으로 인식한다' 12.6% 순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가 자각한 언어폭력의 유형에는 '반말을 한다'가 21.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큰 소리를 지른다', 16.3%, '비아냥거리는 말을 한다' 11.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언어폭력을 경험한 응답자의 대처는 '참는다' 12.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무시한다' 8.2%로 소극적 대처 양상이 많았다. 근무 특성에 따른 언어폭력 경험의 빈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총 임상경력, 주 업무, 직위에 따른 언어폭력 경험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폭력 경험과 최근 1달간 언어폭력경험 횟수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직업 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직업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치과위생사의 언어폭력의 가해자는 대부분 환자이며, 언어폭력 내용은 의료서비스에 대한 불만,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화풀이하는 등 치과위생사가 경험하고 있는 언어폭력의 심각성을 알 수 있었다. 임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례중심별 언어폭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언어폭력 방지를 위한 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치과 내에서 발생하는 언어폭력을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하여 안전하고 협력적인 치과 근무환경을 조성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성장기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부모폭력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친구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hildhood Experience of Child Abuse on the Adolescent-To-Parent Abuse: With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Relationship with Friends)

  • 김재엽;류원정;김준범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1호
    • /
    • pp.5-2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기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부모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또한 긍정적인 친구관계가 이를 보호하는 요인임을 밝혀냄으로써 청소년에 의한 부모폭력 개입에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9개 중 고등학교 1,60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부모폭력 실태파악을 위해 빈도분석, 성장기 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부모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과 또래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 부모를 가해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조사대상자의 12.8%였으며, 2) 성장기동안 부모로부터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은 조사대상자의 40.6%로 나타났고, 성장기 학대 경험은 부모폭력 가해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긍정적 친구관계는 청소년의 부모폭력 가해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나타나, 부모폭력에 중요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대 받는 부모 및 부모를 가해하는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제고와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며, 이를 완화하기 위해 청소년의 긍정적인 친구관계를 통한 사회복지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청소년의 학대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에 의해 조절된 우울 및 불안의 매개효과 분석 (Effect of Adolescents' Abuse Experience on Suicidal Ideation: Focused on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on Depression and Anxiety)

  • 김지영;이경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52-760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 among adolescents' abuse experiences, depression and anxiety, and suicidal ide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using secondary data from a population in the 2012 Korea Welfare Panel Survey (KOWEP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5.0 and SPSS Macro, and bootstrapping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multilevel models. Results: First,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dolescents' abuse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mediating influence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and anxiety.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lf-esteem had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Third, SPSS Macro showed that self-esteem also significantly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adolescents' abuse experiences on suicidal ideation through depression and anxiety.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in future research on adolescent's abuse experience, the risk of suicide in depression and anxiety scores should be selected through evaluation of each individual's self-esteem scale. Coping strategies with immediate early intervention should be suggested.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과 부모의 알코올 중독이 대학생 자녀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 효과 중심으로 (Parental Abuse, Parental Alcoholism, and Suicidal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 김한나;김혜련;최윤신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17-129
    • /
    • 2011
  • Objectives: This paper examines th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buse, parental alcoholism, and suicidal ideation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survey on abusive experience from parents, parental alcoholism,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was conducted with 415 students from six universitie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AMOS program. Results: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depression has some mediation effects between parental abuse and suicidal ideation in university students. Meanwhile, depression has an entire mediation effect between parental alcoholism and suicidal ideation.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the parental alcoholism by itself did not affect suicidal ideation in university students, but depression did. Experience of parental abuse is a significant risk factor which may cause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may cause suicidal ideation indirectly. It calls for efforts to prevent parental abuse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paying primary attention to th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in preventing suicidal ideation.

어머니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 위험군이 자녀의 정서적·신체적 학대 및 방임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Risk Factors on Children's Emotional and Physical Abuse and Neglect and Parenting Stress)

  • 조은정;박인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26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 위험군이 자녀의 정서적·신체적 학대 및 방임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8년 '아동가족 생애경험 실태조사'를 통해 얻어진 원시자료를 이용한 이차차료 분석연구이다. 아동기 부정적 경험이 1개 이상인 어머니 1,937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부정적 경험 저위험군(1-3개), 중위험군(4-6개), 고위험군(7개 이상)별로 분류하여 자녀의 정서적·신체적 학대 및 방임과 양육스트레스 차이를 조사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결과 : 어머니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은 저위험군 50.4%, 중위험군 39.8%, 고위험군 9.7%였다. 자녀 정서적 학대는 45.0%, 자녀 신체적 학대는 13.2%, 자녀 방임은 3.5%, 양육스트레스는 평균 2.13(±0.61)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부정적 경험은 저위험군보다 중위험군, 고위험군인 경우 정서적·신체적 학대 및 방임, 양육스트레스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으며,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의 설명력은 자녀 정서적 학대 35%, 자녀 신체적 학대 25%, 자녀 방임 19%, 양육스트레스 16%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 부모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이 고위험군일수록 자녀의 정서적 학대, 신체적 학대, 자녀 방임을 더 가하며, 양육스트레스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