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normal uterine bleeding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5초

암컷 개의 생식기에서 발생한 다발성 낭포선암종과 섬유종 (An Occurrence of Multiple Complex Neoplasms in the Genital Organs of a Female Dog)

  • 조성진;홍선화;이현아;김옥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42-545
    • /
    • 2011
  • 질내 비정상적인 신생물과 질출혈 증상을 가진 12살의 암컷 오크셔테리어가 동물병원에 내원하였다. 복부초음파와 방사선 검사를 통하여 자궁의 비정상적인 비후가 인지되었다. 질 신생물 적출 수술과 난소자궁적출 수술이 수행되었다. 질 신생물은 육안적으로 단단하였고 난소와 자궁 주위에 다발성의 낭포가 관찰되었다. 조직학적으로 질 신 생물은 섬유종으로 진단되었고, 난소와 자궁의 신생물은 다발성 낭포를 동반한 선암종으로 진단되었다. 본 증례는 매우 드물게 암컷 개의 생식기에 서로 다른 종류의 종양이 동시에 발생한 다발성 복합 종양 발생례로서 생식기 종양의 이해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Yeosin-san Increases Female Fertility through Inducing Uterine Receptivity and Ovarian Function

  • Choi, Hee Jung;Joo, Bo Sun;Park, Mi Ju;Park, Min Jung;Bae, Boram;Kim, Bo Sung;Park, Hye Rin;Kim, Keuk Jun;Yang, Hee Jin;Yoo, Jeong Eun;Chung, Tae Wook;Joo, Jongkil;Ha, Ki Tae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1-150
    • /
    • 2019
  • Despite the development of assisted reproduction technologies (ART) including in vitro fertilization (IVF), the poor ovarian response and endometrial receptivity remains clinically a major unmet need. Although these problems are difficulties to solve in infertility treatment, there are no good therapeutic option yet. Traditional herbal remedies and acupuncture, therefore are being proposed as alternative treatment. Our group found that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such as Paeonia lactiflora L.(PL, 芍藥), Cyperus rotundus L.(CR, 香附子), and Perilla frutescens (PF, 紫蘇葉) could improve endometrial receptivity. In this study, we found out Yeosin-san (如神散) as an optimal herbal formula via combination of the previously established herbal medicines. Yeosin-san is a traditional Korean medical formula which was established by Ziming Jin (陳自明) and recorded in Furendaiquanliangfang (婦人大全良方) at first. The formula traditionally used for treating abnormal uterine bleeding and leukorrhea. It showed a highest effect on leukemia inhibitory factor (LIF) expression and on the adhesion between trophoblastic cells and endometrial cells.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the Yeosin-san not only increases the endometrial receptivity to improve the embryo implantation but also enhances the ovary function by expressing the angiogenesis-related genes. Here we suggest that Yeosin-san could be a novel and effective candidate for treating female infertility.

대구지방으 자궁경부암에 재한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연구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Studies on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in Taegu)

  • 최준혁;최원희;홍석재;이태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2호
    • /
    • pp.121-128
    • /
    • 1988
  • 1983년 5월부터 1987년 12월 말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자궁경부 악성종양으로 진단 받은 총 202예에 대하여 임상 및 병리 조직학적 조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궁경부암은 같은 기간 동안 발생된 전 여성 악성종양의 10%를 정하였다. 2. 총 202예의 자궁경부 여성 악성종양 중 편평상피암 195예(96.3%), 선암 4예(2%), 편평상피선암 2예(1%), 임파종 1예(0.5%)였다. 편평상피암 중 상피내암이 60예(30.0%), 현미경적 침윤암이 9예(4%), 침윤암이 126예(62.5%)였다. 3. 평균연령은 상피내암이 43.8세, 현미경적 침윤암이 40.0세, 침윤암이 52.1세였다. 4. 주소는 자궁출혈(47.5%), 이상 세포진 검사(15.4%), 이상 자궁분비물(9.4%), 복통(6.9%), 요통(4.5%)순이었다. 5. 주소의 기간은 6개월 이내가 73.2%였으며, 평균 주소기간은 3.8개월이었다. 6. 초혼연령은 19~22세가 46.5%를 차지했으며, 평균 초혼연령은 21.5세였다. 7. 임신회수는 5~8회가 51.5%, 평균 임신회수는 6.2회였다. 분만회수는 1~4회가 61.9%, 평균 분만회수는 3.9회였다. 8. 침윤암 126예의 임상 각기별 분포는 제 1기 48예(31.8%), 제 2기 54예(42.9%), 제 3기 11예(8.7%), 제 4기 8예(6.3%)였다. 9. 세포 유형별 분포는 large cell nonkeratinizing형이 101예(80.2%), keratinizing형이 25예(19.8%)였다. 10. 세포진 검사 106예 중 class I 2예(1.9%), class II 16예(15.1%), class III 33예(31.1%), class IV 31예(29.3%), class V 24예(24.6%)였다. 11. 임파선 전이는 제 1기 3예(7.5%), 제 2 기 6예(11.1%)였다.

  • PDF

자궁경부선암의 방사선 치료 (Adeno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정은지;신현수;이형식;김귀언;노준규;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77-284
    • /
    • 1991
  • 1981년 1월부터 1987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에서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총 1850명의 환자들중 조직학적 분류상 선암인 환자 76명 ($4.1\%$)을 대상으로 후향적인 임상분석을 하였다. 대상환자의 연령분포는 27세에서 71세까지로 평균 49세였고, $50\~59$세가 가장 많았다. 환자들의 주소는 대부분 이상자궁출혈($76\%$)이었으며, 병기의 분포는 FIGO 병기 Ib, IIa, IIb, IIIa, IIIb 및 IVa가 각각 16, 8, 33, 14, 5명으로 병기 IIb가 $43.4\%$로 가장 많이 차지했다. 조직학적 아형은 크게 4종류로 나눌 수 있었는데, 순수선암이 48명으로 가장 많았고, 선암과 편평상피암이 섞여있는 아형이 20명이었다. 방사선 치료후 3개월에 분석한 골반내 완전 관해율은 병기 Ib, II, III에 대해 각각 $100\%,\;95.1\%,\;64.3\%$였다. 선암의 조직학적 아형과 분화도, 자궁경부 종양의 크기 및 모양, 병기, 임파절 전이 여부, 치료방법(방사선 단독 및 수술과 방사선 병합요법)등에 따라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병기와 종양의 크기만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후인자로 밝혀졌다. 전체 환자군의 5년 생존율은 $68\%$였고 병기별로는 Ib기(N=16)가 $90\%$, II기(N=41)가 $66\%$, III기(N=14)가 $54\%$였으며 IVa기(N=5) 환자군에는 5년 생존자가 없었다. 직장 합병증은 $6.6\%$(5/76)로 이중 한명에서 수술요법을시행하였고 방광의 합병증은 2례로 $2.6\%$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서, 자궁경부선암은 편평상피암에 비해 그 치료성적이 나쁘지 않으므로 치료요법을 결정함에 있어 수술 및 방사선치료등 자궁경부 편평상피암과 같은 치료원칙에 따른다면 좋은 치료결과를 보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