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ilities to construct and interpret graph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중학생의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Graphing Abilities to Logical Thinking and Science Process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 김태선;배덕진;김범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25-739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그래프를 작성하고 해석할 수 있는 중학생의 능력을 알아보고,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수업전략과 교사의 교수 행동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중학생 481명을 대상으로 그래프 능력 검사지를 이용하여 중학생의 그래프 능력을 알아보고,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와 과학 탐구 능력 검사지를 이용하여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변인 통제 논리와 비례 논리가 그래프 능력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래프 능력은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과 대부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지만, 통계적으로 상관은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볼 때, 앞으로 과학 교사는 중학생의 그래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래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생들이 그래프를 작성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과 변인 통제 논리, 비례 논리 등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체계적인 노력과 효과적인 수업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초등학교 남.녀 학생들의 공간 능력 및 과학 탐구 능력에 따른 그래프 작성 및 해석 능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Elementary Male and Female Students' Abilities to Construct and Interpret Graphs Based on Their Spatial Abilities and Science Process Skills)

  • 전복희;이형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4호
    • /
    • pp.490-500
    • /
    • 2012
  • This study was to examine elementary male and female students' spatial abilities, science process skills, and graph construction and interpretation abilit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that their spatial abilities and science process skills would have on their graph abilities. To conduct this study, total 12 classes of 435 pupils, 6 classes each from grades 5 and 6 in elementary schools were selected for subjects. The number of male student was 207 and that of female one was 228 of them. And previous test papers of spatial abilities, of science process abilities, and of graph abilities were retouched and updated for reuse in new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riefed as follows: Firstly, when spatial abilities for male and female group were compared, female group showed a little higher rate of correct answering than male, but not provid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 Secondly, the science process skill tests revealed basic process skills of both groups were more excellent than their integrated process skills, while female group was found to have more correct answers than male, all of which were proving statistical distinction. Thirdly, of graphing skills for two groups, the graph interpretation skills turned out to be better than the graph construction skills, with female group scoring higher than male and with meaningful difference. Fourthly, both between spatial abilities and graph abilities, and between science process skills and graph abilities, static correlations existed with statistical meaning. In other words, those with higher spatial abilities or science process skills were to do better in constructing and interpreting graphs.

MBL 활용 수업이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과 그래프 작성 및 해석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BL-Used Instruction on Scientific Inquiry Skill and Graph Construction and Interpreting Abil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 최성봉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87-494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7학년 "해수의 성분과 운동" 단원에서 MBL 실험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과 그래프 작성 및 해석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연구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차시에 걸쳐 MBL 수업을 실시하고 사후 t-검정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과학탐구 능력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MBL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후 t-검정을 통해 학생들의 그래프 작성 및 해석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그래프 작성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그래프 해석능력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MBL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능력의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중고등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작성 및 해석 능력 (The Comparison of Graphing Abilities of pupils in grades 7 to 12 based on TOGS(The Test of Graphing in Science))

  • 김태선;김범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68-778
    • /
    • 2002
  • 그래프의 상징적인 의미를 학생들이 해석할 수 있다고 교사들이 종종 가정하는 반면, 이러한 가정은 견고한 연구에 기초를 두고 있지 않다. 따라서 그래프를 구성하거나 해석하는 능력을 학생들이 지니고 있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불행하게도 많은 학생들이 이러한 그래프 기능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연구결과들을 결부시켜 생각해 볼 때, 이 영역이 연구할 가치와 내용이 많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7학년에서 12학년에 이르는 학생들의 그래프 능력은 어떠한지 알고자 TOGS(The Test of Graphing in Science)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그래프 능력도 점차적으로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그래프 능력의 하위요소로 선정된 9가지 요소 중에서 그래프를 작성하는 능력과 관련된 세 가지 하위 요소, 즉 축에 눈금을 매기는 기능, 축에 관련된 변수를 지정하는 기능 및 경향을 알도록 실험데이터로부터 적절한 하나의 선을 그리는 기능에서 부족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그래프와 관련된 교육에서 그래프를 작성하는 것보다 해석하는 쪽에 상대적으로 더 치중하였음을 시사해준다. TOGS 검사에서 좋은 점수를 받은 학생들일수록 이러한 차이점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