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dominal organs movement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Assessment of Abdominal Organs Movement by Respiration Using Computed Tomography in Dogs: A Pitfall for Radiation Therapy

  • Ah Reum Kim;Soyon An;Gunha Hwang;Moonyeong Choi;Tae Sung Hwang;Hee Chun Lee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04-112
    • /
    • 2023
  •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abdominal organs due to movement by respiration is one of the reasons behind inaccurate irradiation of organs during radiotherapy (RT). Although studies in human medicine have revealed on the respiratory movements of abdominal organs,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nd no reference data for dog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reference values of abdominal organs movement in various postures using computed tomography (CT), and to compare the movements of organs between dorsal recumbency and ventral, right and left lateral recumbency during respiration. CT images for kidney, adrenal gland, medial iliac lymph node, urinary bladder, gallbladder, liver, stomach, and thoracic and lumbar vertebral body of five beagle dogs were acquired. The movements of organ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 end-expiratory and end-inspiratory images. Movements of the organs were evaluated by dividing it into right-to-left, dorsal-to-ventral, and cranial-to-caudal directions. The movements of abdominal organs according to the change in postures and respiration were establish. The movement of the bilateral organs was the least when the organs were in the downward position (p < 0.017). The movement of cranial-to-caudal direction was greater than the movement of the other directions in most of the organs. Data obtained in this study may be useful in selecting the appropriate posture that can reduce the movements of organs to be treated with RT, and the data could be useful for setting the planning target volume to consider the movements of the abdominal organs by respiration.

간세포암 환자에서 ABCHES와 복부압박장비의 적용한 호흡동조방사선 치료의 유용성 비교 (Comparison with ABCHES and Abdomen Compression Device in Respirational Radiation Therapy on Patients in Hepatocellular Carcinoma)

  • 조윤진;변상준;김영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395-402
    • /
    • 2012
  • 호흡조절 방사선치료는 호흡이나 장기의 움직임을 극복하기 위하여 환자의 호흡주기를 획득하여 종양조직에 처방선량을 부여하며 동시에 주위 정상조직에는 적은 방사선량을 부여하는 방법이다. ABCHES를 이용한 호흡조절 방사선 치료는 호흡을 얕은 호흡으로 유도하며 종양조직의 움직임을 최소화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부속 장비이다. 한편 복부 압박 기구는 환자의 복부에 압박을 실시함으로 호흡에 제한을 두는 치료보조용 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ABCHES를 단독으로 사용한 것과 ABCHES와 복부압박 장비를 이용하여 간세포암 환자의 종양의 움직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그에 해당하는 치료효과를 선량체적곡선으로 분석하려 하였다. ABCHES를 사용한 경우와 ABCHES와 복부압박기구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를 비교해본 결과 상하 방향과 앞뒤 방향 그리고 좌우 향으로 각각 평균 1.0 mm, 0.2 mm, 0.2 mm 정도로 그 움직임을 제한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적 감소율 또한 ABCHES를 사용한 경우 HPTV와 LPTV가 체적의 변화율을 $16{\pm}2%$ 정도로 줄일 수 있었고, LPTV의 경우 $15.8{\pm}0.8%$의 체적을 제어할 수 있었다. 선량체적 곡선을 분석한 경우 ABCHES만을 사용한 경우보다 ABCHES와 복부압박 기구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가 종양조직에는 처방선량에 가까운 선량값을 보였으며 정상조직인 동측 폐, 콩팥, 정상 간조직에는 보다 적은 선량이 부여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 결과 ABCHES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복부압박기구와 ABCHES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가 종양 및 정상조직에 부여된 선량 기준에 적합하다고 판명 되었고, 향후 ABCHES와 복부압박 기구에 대한 제한점 즉, 복부의 압박강도에 따른 환자의 불편감, 호흡주기가 정확하지 않은 환자들에게 적용하여야 하는 방법 등이 추후에 논의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도축우의 복강에서 관찰된 지방괴사의 병리학적 연구 (Pathological study on abdominal fat necrosis of adult cattle sampled from slaughterhouse in Korea)

  • 이정치;김종삼;이정길;김상기;조경오;강문일;정철;박성희;서국현;이채용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93-599
    • /
    • 2005
  • An abattoir study on the abdominal fat necrosis in adult cattle was performed pathologically. Grossly, masses of fat necrosis were leekgreen in colour, lobulated on the cut surface, and saponificated in the texture. These necrotic adipose tissues infiltrated usually into neighboring parenchymal organs including intestines and pancreas, leading to fibrosis or atrophy of them. Histopathologically, necrotic fat cells contained acidophilic, opaque, amorphous substance or basophilic fibrillar or granular minerals in their cytoplasms. The lesions of fat necrosis were divided by fibroconnective tissue. With increase of the severity, necrotic fat cells fused each other and then formed fat cysts. In this severe lesion, necrotic fat cells were partialy or completely replaced by macrophages. Multinucleated giant cells were scattered in this lesion. Interestingly, small artery in the lesion of fat necrosis revealed severe thickening of internal elastic membrane. Severe fibrosis was observed in or between the outer longitudinal and inner circular muscular externas causing segregation, degeneration and necrosis of muscle fibers. The nerve cells of Auerbach's and Meissner's plexuses surrounded by fibrosis were degenerated or necrotic. In addition, necrotic fat cells infiltrated into the pancreas, resulting in pancreas atrophy. From these results, it is speculated that fat necrosis might compromise intestinal movement due to necrosis of muscular externa and ganglion cells of Auerbach's and Meissner's plexuses.

비침습적 초음파 조직 탄성도 측정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Non-invasive Ultrasonic Measurement System for tissue elasticity)

  • 이균정;최우혁;유재원;서종범;최서형;신태민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69-475
    • /
    • 2009
  • Diseases caused by indurate tissues of the internal organs are liver cirrhosis and abdominal sclerosis. The cause of chronic gastro-intestinal disease is a digestive system disorder and a defecation disorder. They impede peristaltic movement and digestive system with the symptom that indurate tissu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sease grade quantitatively by measuring an indurated standard of tissues and organs. For the measurement of elasticity, we designed the system that measure the displacement of the substance and approved pressure using ultrasound transducer. For verification of developed system, we compared elasticity as results of experiment between the developed system and public elasticity measurement machine at individual plastic phantoms made by plastic hardener and softener. Elasticity of the plastic phantoms is averagely 0.007MPa lower measured by developed system than Micro-indenter, and less than 10% errors. Comparing with economical value and accuracy between developed system and Micro-indenter, the system is significant of measurement for tissue elasticity. Thus, it is possible to measure a elasticity at human tissue and organ. A chronic gastro-disease as well as grade could be decided objective validity using this system.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간암환자의 정위적 방사선치료시 복부압박장치의 유용성 평가 (Usefulness of Abdominal Compressor Using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 우중열;김주호;김준원;백종걸;박광순;이종민;손동민;이상규;전병철;조정희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7-165
    • /
    • 2012
  • 목 적: 간에 발생한 절제 불가능한 원발성 및 전이성 종양에서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정위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하기 위해 사용된 복부압박장치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11월부터 2012년 3월까지 토모테라피(Hi-Art Tomotherapy, USA)를 시행받기 위해 본원에 내원한 간암환자 중 복부압박장치(diaphragm control, elekta, sweden)를 사용하였을 때 움직임이 1 cm 이상 줄어든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4D CT (somatom sensation, siemens, germany)를 통해 치료계획영상과 4차원 단층촬영영상을 촬영하고, 육안적으로 보이는 종양과 종양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육안적 종양체적(gross tumor volume, GTV)으로 설정하였고, GTV 주변으로 균일하게 5~7 mm의 여유를 주어 치료계획용 종양체적(planning target volume, PTV)으로 설정하였다. 손상위험장기(organs at risk) 중 십이지장, 위, 대장의 거리가 종양으로부터 최소 1 cm 이상인 환자들을 1군($d{\geq}1$)으로, 1 cm 미만인 환자들을 2군(d<1)으로 분류하고 각각 4~5회의 정위적 방사선치료와 20회의 방사선치료를 계획하였다. Mega-voltage computed tomograpy (MVCT)와 kilo-voltage computed tomograpy (KVCT)를 일차적으로 골격구조셋팅(bone-technique)으로 융합(fusion)한 뒤, 이차적으로 간을 보며 영상을 재조정 하였다. 치료 후 얻은 MVCT 영상을 영상변형이 가능한 Mim_vista (Mimsoftware, ver. 5.4 USA)로 보내고, 간을 비교하여 다시 묘사(delineate)하고, 손상위험장기 중 십이지장, 위, 소장, 대장을 합쳐서 대장장기(bowel_organ)로 정의하여 다시 묘사하였다. 보정방사선 치료계획시스템을 통하여 보정영상의 치료계획 선량과 보정된 선량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첫 번째, 치료 시작일부터 각각 1군($d{\geq}1$)은 4회, 2군(d<1)은 10회까지의 MVCT와 KVCT간의 영상 융합을 통한 셋업오차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보정영상에서 종양 즉, GTV, PTV의 치료계획선량과 보정선량의 3%의 선량차이를 나타내는 체적($V_{diff3%}$)과 5%의 선량차이를 나타내는 체적($V_{diff3%}$)을 비교하였고, 손상위험장기 중 대장장기의 최대선량의 차이율을 비교하였다. 결 과: MVCT를 통해 분석한 평균 셋업오차는 $-0.66{\pm}1.53$ mm (좌-우), $0.39{\pm}4.17$ mm (상-하), $0.71{\pm}1.74$ mm (전-후), $-0.18{\pm}0.30$ degrees (roll)였다. 1군($d{\geq}1$)과 2군(d<1)의 셋업오차는 유사하였다. 1군($d{\geq}1$)에서 보정방사선 치료계획을 통한 $V_{diff3%}$ 중 GTV는 $0.78{\pm}0.05%$, PTV는 $9.97{\pm}3.62%$, $V_{diff5%}$ 중 GTV는 0.0%, PTV는 $2.9{\pm}0.95%$, 대장장기의 최대선량의 차이율은 $-6.85{\pm}1.11%$였다. 2군(d<1)에서 $V_{diff3%}$ 중 GTV는 $1.62{\pm}0.55%$, PTV는 $8.61{\pm}2.01%$, $V_{diff5%}$ 중 GTV는 0.0%, PTV는 $5.33{\pm}2.32%$, 대장장기의 최대선량의 차이율은 $28.33{\pm}24.41%$였다. 결 론: 복부압박장치를 통한 간암의 방사선치료시 MVCT를 통한 환자 셋업오차는 평균 ${\pm}5$ mm 이하였고, 복부 압박장치를 사용하고 투시영상을 통해 확인한 횡경막의 움직임이 최소 5 mm 이상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환자 셋업오차는 그 안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군($d{\geq}1$)과 2군(d<1)에서 GTV, PTV의 선량차이율은 오차범위 안에 있었고, 1군($d{\geq}1$)과 2군(d<1)의 대장장기 최대선량의 차이율은 최대 35% 이상의 차이를 보였고, 1군($d{\geq}1$)이 2군(d<1)보다 오차범위가 작았다. 따라서 간내 종양과 손상위험장기의 거리가 최소 1 cm 이상 유지된다면 정위적 방사선치료를 진행함에 복부압박장치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토모테라피 치료 시 Bodyfix System에서 진공압박에 따른 환자 위치잡이오차(Setup errors)의 평가 (Evaluation of Setup Errors for Tomotherapy Using Differently Applied Vacuum Compression with the Bodyfix Immobilization System)

  • 정재홍;조광환;이정우;김민주;임광채;문성권;김용호;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2권2호
    • /
    • pp.72-7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토모테라피(Hi-ArtII, TomoTherapy, USA) 치료 시 Bodyfix system (Medical Intelligence, Ele-kta, Schwabmuchen, Germany)에서 진공압박(Vacuum compression)에 따라 환자 위치잡이오차(Patient's setup-errors)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Bodyfix system와 진공압박을 적용한 토모테라피를 이용하여 치료를 시행한 흉복부 환자 21명을 선정하였으며, 모든 환자는 치료 전 촬영된 총 477개의 메가볼테이지 전산화단층촬영(Mega-voltage computed tomography, MVCT)영상을 얻었다. 이를 통하여 확인된 좌우방향(Medial-Lateral direction, ML), 앞뒤방향(Anterior-Posterior direction, AP), 상하방향(Superior-Inferior direction, SI)과 SI중심축 회전각(Rotational angle of SI axis direction, Roll)에 대한 오차를 기록하고, 분석하였다. 세 방향 및 Roll에 대한 상관관계와 진공압박 정도가 다르게 적용된 다섯 그룹에 대하여 setup-errors를 분석하기 위해 각각 Pearson's product-moment coefficient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p<0.05). 분석결과 Systematic errors의 평균은 AP에서 6.00 mm, 표준편차는 SI에서 5.95 mm로 큰 오차를 보였다. Random errors의 평균은 SI방향에서 4.72 mm로 큰 오차가 발생하였다. 관계분석에서는 상관계수가 ML-Roll과 AP-Vector는 0.485, 0.244이고, SI-Vector에서 관계가 제일 높았다(0.637). 또한, 진공압박 정도가 다르게 적용된 다섯 그룹(Pressure range: 30~70 mbar) 사이의 setup errors를 분석한 결과 ML, SI방향과 Roll에서 모두 p=0.00 (p<0.05)로써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SI방향에서 진공압박에 따른 오차 평균은 40 mbar과 70 mbar그룹에서 4.78 mm, -0.74 mm였다. 본 연구에서는 진공압박과 setup-errors의 평가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압박 정도에 따라 SI방향에서 setup-errors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setup-errors와 내부장기의 움직임을 고려하자면 Bodyfix system을 이용한 진공압박을 적용시 최소 50 mbar 이상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진공압박의 정확성과 내부장기 및 종양의 움직임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Cutaneous Patches to Monitor Myoelectric Activity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Postoperative Pediatric Patients

  • Taylor, Jordan S.;Ruijter, Vivian de;Brewster, Ryan;Navalgund, Anand;Axelrod, Lindsay;Axelrod, Steve;Dunn, James C.Y.;Wall, James K.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2권6호
    • /
    • pp.518-526
    • /
    • 2019
  • Purpose: Limited means exist to assess gastrointestinal activity in pediatric patients postoperatively. Recently, myoelectric gastrointestinal activity recorded by cutaneous patches has been shown in adult patients to be predictive of clinical return of gastrointestinal function postoperatively. The aim of this case series is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this system in pediatric patients and to correlate myoelectric signals with return of bowel function clinically. Methods: Pediatric patients undergoing abdominal surgery were recruited to have wireless patches placed on the abdomen within two hours postoperatively. Myoelectric data were transmitted wirelessly to a mobile device with a user-interface and forwarded to a cloud server where processing algorithms identified episodes of motor activity, quantified their parameters and nominally assigned them to specific gastrointestinal organs based on their frequencies. Results: Three patients (ages 5 months, 4 year, 16 year)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Multiple patches were placed on the older subjects, while the youngest had a single patch due to space limitations. Rhythmic signals of the stomach, small intestine, and colon could be identified in all three subjects. Patients showed gradual increase in myoelectric intestinal and colonic activity leading up to the first recorded bowel movement. Conclusion: Measuring myoelectric intestinal activity continuously using a wireless patch system is feasible in a wide age range of pediatric patients. The increase in activity over time correlated well with the patients' return of bowel function. More studies are planned to determine if this technology can predict return of bowel function or differentiate between physiologic ileus and pathologic conditions.

변비(便秘)에 관(關)한 동서의학적(東西醫學的) 고찰(考察) (A Study on Constipation)

  • 류봉하;조남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69-180
    • /
    • 2000
  • Objectives : To satisfy the demand of good treatment of constipation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literatures of Oriental Medicine about Constipation. Results: 1. There are three categories of etimological factors of constipation, that is, endogenous, exogenous and non-exo-endogenous factor. The endogenous factor is caused by seven emotions, called depression of Ki and stagnation of Ki. The exogenous factor is six excessive atmospheric influences, for example, wind, cold, dampness, heat and dryness. And the non-exo-endogenous factors are overfatigue, improper diet, stagnated blood and deficiency of Ki and blood that comes from old age, long disease and after delivery. 2. Classification: According to cause of disease it is classified by constipation due to cold, heat, wind, dryness, retention of undigested and phlegm. According to Internal Organs there are constipation due to deficiency syndrome of the stomach, excess syndrome of the stomach, deficiency syndrome of kidney and splenic constipation. And Differentiation of syndromes according to Ki and blood, there are constipation of deficiency type and excess type. There are constipation due to stagnation and deficiency of Ki, deficiency of blood and stagnated blood. 3. Principles and Methods of treatment 1) Herbal Medicine (1) Excess type [1] Constipation due to heat : Seunggitang(承氣湯) and Majainwhan(麻子仁丸) [2] Constipation due to stagnation of Ki : Samatang(四磨湯) and Yukmatang(六磨湯) (2) Deficiency type [1] Constipation due to deficiency of Ki : Whanggitang(黃?湯) [2] Constipation due to deficiency of blood: Yunjangwhan(潤腸丸) [3] Constipation due to cold : Jechunjun(濟川煎) and Banyuwhan(半硫丸) 2) Enema therapy: It is a method to induce defecation by honey or pig's bile juice for weak people. 3)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cupoints used to treat constipation are BL25, ST25 and TE6. Moxibustion at CV8, CV6 is good for constipation due to cold. (4) Diet therapy: It is very important that we eat meals regularly and defecate on the same time even if you don't. And we have to eat food like fruits, vegetables and beans. (5) finger pressure: Finger pressing around these points like ST25, SP25, BL25, BL31, BL32, BL33 and BL34 is good for it. (6) Kigong therapy: Abdominal breathing (7) Old man' s constipation: Hip bath or diet therapy is commended. Laxation with lubricant like Supungyunjangwhan(搜風潤腸丸) is used. (8) Women' s constipation: After delivery, we have to administer tonifying prescription Sipjundaebotang(十全大補湯) and enema can be used. Conclusion : We have to examine the cause of disease and bowl movement carefully. After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data gained by the four methods of diagnosis, we diagnose and treat patients on the base of overall of symptoms and signs.

  • PDF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태소음양인(太少陰陽人)의 「병증론(病證論)」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udy about 「The Discourse on the Constitutional Symptoms and Diseases」 of Sasangin on the 『Dongyi Suse Bowon』)

  • 이수경;송일병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6
    • /
    • 1999
  • 1. 연구 목적 사상의학(四象醫學)의 체질증(體質證)과 체질병증(體質病證)의 접근에는 기존 증치의학(證治醫學)과는 다른 통증(痛症)에 대한 시각을 제시하고, 사상의학(四象醫學) 고유 술어로 병리(病理)나 병증(病證)을 설명하여 기존 개념과 혼돈되며, "성명론(性命論)", "사단론(四端論)", "확윤론(擴允論)", "장부론(臟腑論)"을 통해 제시한 인간관(人間觀)과 세계관(世界觀). 이들 간의 조직 원리가 "병증론(病證論)"을 통해 몸에 구현되므로 사상의학(四象醫學)의 병증용약(病證用藥)에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사상의학(四象醫學)도 기존의 증치의학(證治醫學)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 기존의 의학에서 사상의학(四象醫學)이 성립되는 과정과 이제마(李濟馬)의 인간관으로 "병증론(病證論)"을 접근하여 사상의학(四象醫學)의 체질증(體質證)과 체질병증(體質病證)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2. 연구 방법 문헌적 구로 태소음양인(太少陰陽人)의 병증(病證)을 설명하기 위해 "상한론(傷寒論)", "활인서(活人書)" 등 인용 원서의 병증(病證) 인식(認識)과 이를 인용한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의 병증(病證)을 비교하고 이것이 태소음양인(太少陰陽人)의 체질증(體質證)과 체질병증(體質病證)으로 자리매김되는 과정을 파악하고 그 병리(病理)와 병증(病證)을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의 "성명론(性命論)", "사단론(四端論)", "확윤론(擴允論)", "장부론(臟腑論)"을 통해 드러나는 인간관의 체계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3. 결론 태소음양인의 병증론을 통해 표리병증의 인식 배경과 변화 과정 표리병증의 특징, 체질증과 체질병증의 출발점인 소증의 인식, 기존 의학과 다른 체질병증, 태소음양인의 병증의 특징 등을 살펴 사상의학 체질병증에 대한 결론을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