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alone body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7초

배합사료 및 다시마 공급이 참전복 (Halioitis discus hannai) 치패의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Fed an Artificial Formulated Diet and Macroalgae (Laminaria japonica))

  • 김철원;임상구;김광수;백재민;박찬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86-590
    • /
    • 2003
  • The effect of water temperature and feed on the growth, survival,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fed an artificial formulated diet and a macroalgae (Laminaria japonica) for 12 weeks was investigated. Rearing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13{\circ}C,\;16{\circ}C,\;19{\circ}C$ by heated and natural sea water temperatures $(7.5-10.2{\circ}C).$ Shell growth, weight gain, and survival rate of the abalone were affected by water temperature and diet (P<0.05). Survival and growth rate of the abalone fed with the formulated diet and Laminaria at $19{\circ}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abalone fed the formulated diet or Laminaria at $13{\circ}C,\;16{\circ}C,$ and ambient temperatures (P<0.05).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ash contents of the soft whole body were affected mainly by diet than rearing water temperature (P<0.05). These indicate that a mixture of formulated diet and macroalgae could improve the growth of the abalone independent of water temperature and heated water could improve the growth of abalone during the winter season.

사료 첨가제로서 한약제가 참전복 치패의 성장 및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Herbs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이상민;박철수;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70-575
    • /
    • 2001
  • 우리나라의 주 양식 대상종인 참전복의 성장이나 육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배합사료의 첨가제로서 한약제인 어보산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대조사료와 한약제 첨가사료로 3회의 사육실험을 실시하였다. 평균체중 206mg, 827mg 및 432rng의 참전복을 대상으로 사료당 3반복으로 각각 10주간 (실험 1), 7주간 (실험 2) 및 19주간 (실험 3) 사육 실험한 결과, 모든 실험에서 생존율은 차이가 없었다 (P>0.05). 모든 실험에서 Obosan-C 첨가구의 체중 및 각장 성장은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평균체중 432mg의 치패을 대상으로 19주간 사육 실험 3의 경우에는 Obosan-O 첨가 실험구의 체중 및 각장 성장이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5). 실험 종료시 전복 가식부의 수분, 단백질 및 회분 함량은 각 실험에서 한약제 첨가구와 대조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 2에서 전복 가식부의 찌질 함량은 Obosan-C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은 갔을 보였다 (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배합사료에 Obosan-O 첨가는 참전복의 성장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nclusion effect of soybean meal, fermented soybean meal, and Saccharina japonica in extruded pellet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Reeve 1846)

  • Yun, Ahyeong;Kim, June;Jeong, Hae Seung;Lee, Ki Wook;Kim, Hee Sung;Kim, Pil Youn;Cho, Sung Hwo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1권9호
    • /
    • pp.26.1-26.8
    • /
    • 2018
  • Inclusion effect of soybean meal (SBM) and fermented SBM (FSM) in extruded pellet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was compared in abalone farm. Dietary inclusion effect of the combined macroalgae (MA) (Undaria pinnatifida and Hizikia fusiforme) and a single Saccharina japonica on abalone was also compared. Three thousand six hundred juvenile abalone were purchased from a private hatchery and acclimated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s for 2 weeks. Six 5-ton flow-through raceway tanks were used, and abalone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tanks (n = 600 per tank). Three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in duplicate. Fish meal, FSM, corn gluten meal, and shrimp meal and wheat flour and dextrin were used as the protein and carbohydrate sources, respectively, in the FSM diet. MA was also included in the FSM diet. FSM and MA in the FSM diet were substituted with SBM at the expense of wheat flour and S. japonica, referred to as the SBM and SJ diets. The experimental diets were pelletized by an extruded pelleter. Water stability of nutrients in the experimental diets was monitored at 12, 24, and 48 h after seawater immersion.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to abalone once a day to satiation with a little leftover for 120 days. The retained crude protein and lipid and ash content of the extruded pellets were changed over all period of time.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of abalone fed the SBM diet were greater than those of abalone fed the FSM and SJ diets. Weight gain and SGR of abalone fed the SJ diet were also greater than those of abalone fed the FSM diet. The longest shell length, widest shell width, highest shell height, and greatest soft body weight were obtained in abalone fed the SBM diet, followed by the SJ and FSM diets. Proximates of the soft body of abalone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diets. In conclusion, SBM was a superior protein source to FSM in extruded pellet for growth performance of abalone. Dietary inclusion of a single S. japonica was superior to the combined inclusion of U. pinnatifida and H. fusiforme in the production of abalone.

수온과 shelter형태를 달리한 참전복 사육에서 배합사료 및 미역 공급 효과 (Effects of Formulated Diet or Macroalgae ( Undaria pinnatifida) on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Cultured in Different Water Temperature and Shelter Type)

  • 이상민;박찬선;고태승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84-289
    • /
    • 1999
  • 수온, 먹이 및 shelter가 참전복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먹이종류 (배합사료, 미역)$\times$shelter 형태 (4종류)$\times$사육수온-(자연수, 가온수)$\times$2반복으로 평균체중 142mg인 참전복을 대상으로 15주간 사육 실험하였다. 생존율은 먹이종류와 사육수온에 따라 차이를 보여 자연수의 미역 공급구들이 대체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P<0.05). 증체율은 동일 수온에서 shelter 종류에 관계없이 배합사료 공급구가 현저히 높았으며 (P<0.05), 동일 먹이 공급구내에서는 가온수가 자연수보다 높았는데 특히 배합사료 공급구에서 이러한 차이는 더 현저하였다 (P<0.05). 실험 종료시 가식부의 수분 함량은 먹이와 수온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였으나 shelter 종류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단백질 함량은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P>0.05), 지질 함량은 자연수에 배합사료 공급구가 미역 공급구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P<0.05).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저수온기에 적당히 수온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해조류보다 배합사료를 공급하는 것이 사용 shelter 형태에 관계없이 참전복의 성장을 개선시키고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실험 배합사료 및 미역 공급시 참전복 치패의 적정 사육밀도 (Optimum Stocking Density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Fed the formulated Diet or Macroalgae (Undaria))

  • 김병학;이상민;고창순;김재우;명정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69-874
    • /
    • 1998
  • 사료종류에 따른 참전복의 적정 사육밀도를 조사하기 위해 평균 각장 8.41 mm의 치패를 $m^2$당 1430, 2860, 4290 및 5720마리로 설정하여 배합사료 및 미역을 실험구마다 3반복으로 15주간 공급하면서 사육 실험하였다. 전중, 패각 및 가식부의 성장은 사육밀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4290마리/$m^2$ 이상인 밀도구에서는 1430마리 /$m^2$ 밀도구와 유의차를 보였다(P<0.05). 또한 이러한 성장효과는 배합사료 공급구가 미역 공급구보다 밀도에 관계없이 양호한 성적을 보였으며, 동일 밀도구에서는 유의하게 (P<0.05) 배합사료 공급구가 높았다. 생존율도 성장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실험 종료시 가식부의 일반성분의 변화는 사육밀도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사료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을 보여 미역 공급구에 비해 배합사료 공급구의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낮고, 지질과 회분 함량은 높은 경향을 보였다 (P<0.05). 성장과 생존율 등을 고려하여 보면 각장 9$\~$17mm일 때 참전복의 적정 사육밀도는 사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1 $m^2$당 2860마리 이하가 적절하다고 여겨진다.

  • PDF

다양한 원료의 사료첨가제가 전복의 성장, 체조성 및 패각 색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Various Sources of Dietary Additives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Shell Color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조성환;박정은;김충일;유진형;이상민;최철영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5-280
    • /
    • 2006
  • 카제인과 덱스트린 및 대두유와 어유의 혼합유를 주요 단백질과 탄수화물 및 지질원으로 구성한 전복용 배합사료에 다양한 microalgae (Haeatococccus, Isochrysis galbana, Shizochytrium)와 갑각류성 기원의 첨가제(krill meal, shrimp head meal, red crab meal) 및 녹차부산물을 각각 2% 첨가한 실험사료를 준비하여 16주간 전복에게 공급하여 주었다. 그리고 다시마를 공급한 실험구를 대조구로 두었다. 실험 종료시 전복의 생존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사료 첨가제를 첨가한 모든 실험사료에서 전복의 체중증가량은 다시마를 공급한 실험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 전복의 체중 증가량은 Spirulina, Shizochytrium 및 Isochrysis의 순으로 우수하였다. 전복의 체장 및 체중에 대한 가식부의 중량 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체폭은 다시마를 공급한 실험구에 비하여 첨가제를 첨가한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복 패각의 색채 개선효과는 Spirulina 첨가구에서 가장 뚜렷하였다. 실험사료내 다양한 microalge와 갑각류성 기원의 사료첨가제는 전복의 성장을 효율적으로 개선시켰으며, 사료내 Spirulina의 첨가는 전복 패각 색채 개선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전복(Haliotis discus hannai) 용 배합사료내 오징어분 및 해조류 대체원으로서 대두박이 전복 치패의 성장과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bstituting Squid Meal and Macroalgae with Soybean Meal in a Commercial Diet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김병학;김희성;조성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29-336
    • /
    • 2015
  • We examined the effect of substituting squid meal and macroalgae with soybean meal in a commercial diet on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We randomly distributed 2310 juvenile abalone into 33 rectangular plastic containers and fed them five experimental diets in triplicate as follows. The control diet (Con) consisted of 12% squid meal, 8% corn gluten and 20% soybean meal as protein source, wherein 10% ${\alpha}$-starch, 20% wheat flour, and 5% dextrin were carbohydrate source. The experimental diets, 50% squid meal (SM50), 50% squid meal and 50% macroalgae (SM50+MA50), and 100% squid meal and 50% macroalgae (SM100+MA50) were substituted with the same respective amounts of soybean meal. The fifth experimental diet consisted of the control diet plus 1% diatom powder (DP). We prepared two domestic (Domestic A and B) and two imported (China and Japan) abalone feeds. Finally, we prepared Undaria and sea tangle. We found that the weight gain of abalone fed the Con, DP, and China and Japan diets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abalone fed Undaria and sea tangle. We conclude that the substituting squid meal and macroalgae with soybean meal in abalone feed has limited benefits, but supplementing diets with 1% diatom powder is effective in improving weight gain.

참전복 사료의 단백질원 평가 (Evaluation of Dietary Protein Sources for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이상민;윤성종;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29
    • /
    • 1998
  • 참전복 사료에 적합한 단백질원을 조사하기 위하여 카제인, 어분, 육분, 우모분, 혈분, 대두박, 콘글루텐 밀, 면실박, 미역분을 첨가한 배합사료와 천연 먹이인 생미역과 건조 다시마를 선정하여 그 이용성을 비교하였다. 평균체중 0.11 g인 치패를 실험수조마다 70마리씩 수용하여 18주간 사육한 결과, 생존률은 카제인, 북양어분, 육분, 우모분, 미역분과 소맥분을 첨가한 실험구들이 서로 유의차없이(P>0.05) 타 실험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실험구들의 최종평균체중은 0.27~0.74 g으로 북양어분을 첨가한 실험구가 0.74 g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두박 및 미역분말을 첨가한 실험구들이 북양어분 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없이(P>0.05)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카제인 첨가구는 0.64 g으로 북양어분 첨가구와는 유의차를 보였으나(P<0.05). 다음으로 면실박과 소백분 첨가구가 0.55~0.57 g으로 양호한 성적을 보였으며, 육분 첨가구는 0.44 g, 천연 먹이인 생미역과 건조 다시마 공급구는 0.29~0.34 g, 우모분과 콘글루텐 밀 첨가구는 0.26~0.27 g으로 나타났으며, 혈분 첨가구가 0.19 g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P<0.05). 증체율과 각장 및 각폭도 평균체중 변화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실험 종료시 가식부의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각각 78.5~79.6% 및 13.2~14.2%로 사료의 단백질원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어분, 대두박, 면실박, 미역분말 또는 소백분은 참전복 사료의 훌륭한 단백질원이 될 것으로 기대되어 참전복 사료의 단가를 절감시키고, 사료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참전복 배합사료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 첨가 효과 (Effect of Supplemental Vitamin and/or Mineral Premixes in the Formulated Diets on Growth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이상민;전민지;김대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91-394
    • /
    • 1999
  • 참전복용 배합사료에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첨가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용적인 배합비에 비타민 혼합물 ($0\~2\%$)과 미네랄 혼합물 ($0\~6\%$)을 각각 달리 첨가한 사료로 평균체중 100mg의 참전복 치패를 3반복으로 4개월간 사육실험한 결과, 최종 평균 체중, 증체율, 가식부 중량, 체중에 대한 가식부 중량 비, 각장, 각폭 및 각장에 대한 체중 비의 값들은 사료의 비타민 및 미네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P>0.05). 또한, 생존율과 가식부의 일반성분은 실험구간에 유의적은 차이를 보이는 실험구가 있기는 하였으나, 사료의 비타민이나 미네랄의 첨가수준에 따른 차이는 아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실험의 사료 배합비에는 비타민 혼합물과 미네랄 혼합물은 별도로 보충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되며, 그 만큼 사료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해삼(Apostichopus japonicus)과 전복(Haliotis discus hannai) 또는 해삼과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과의 복합양식에 따른 해삼의 성장 (Growth of Juvenil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in Integrated Culture with Rockfish Sebastes schlegeli or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최진;이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96-800
    • /
    • 2014
  •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in integrated culture with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or rockfish Sebastes schlegeli. Triplicate groups of sea cucumber averaging $1.2{\pm}0.05g$ were cultured alone or with abalone or rockfish for 12 weeks. Survival of sea cucumber was not affected by co-culturing (P>0.05). Weight gain of sea cucumber cultured with rockfis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ea cucumber cultured alone (P<0.05), and did not differ from that of those cultured with abalone (P>0.05).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o-culturing sea cucumber with rockfish effectively improves the growth of sea cucum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