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TT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8초

Anticoagulation and Anticancer Constituents from Eugenia caryophyllata Thunb

  • Han, Kyung-Min;Kim, Dong-Hyun;Ahn, Eun-Mi;Lee, Youn-Hyung;Chung, In-Sik;Kim, Dae-Keun;Kwon, Byoung-Mog;Kim, Sung-Hoon;Baek, Nam-In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2-88
    • /
    • 2007
  • From the EtOAc fraction of Eugenia caryophyllata, four compounds were isolated through activity-guided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From the result of spectroscopic data including NMR, MS and IR,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determined as 1-allyl-4-hydroxy-3-methoxybezene acetate (eugenol acetate, 1), 1-allyl-4-hydroxy-3-methoxybezene (eugenol, 2), $3{\beta}-hydroxyolean-12-en-28-oic$ acid (oleanolic acid, 3) and $2{\alpha}$, $3{\beta}-dihydroxyolean-12-en-28-oic$ acid (maslinic acid, 4). Compounds 3 and 4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Also, compounds 1, 2 and 3 exhibited relatively high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y activity with the $IC_{50}$ values of 0.24, 0.09 and 0.07 mM, respectively. Compound 2 significantly prolonge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with the value of $124{\pm}11.2$ seconds as compared to the control with the value of $37.5{\pm}2.2$ seconds at the concentration of 50 ${\mu}g/ml$. Compounds 1 and 3 revealed inhibitory activity on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FPTase) with the $IC_{50}$ values of 0.49 and 0.24 mM and compounds 1 and 2 highly inhibited the growth of rat-H-ras cells with the $Gl_{50}$ values of 6.63 and 5.70 ${\mu}M$, respectively.

촉각자극에 의한 자율신경계 및 뇌파 반응과 감성 (Emotional Preference Modulates Autonomic and Cortical Responses to Tactile Stimulation)

  • Estate Sokhadze;Lee, Kyung-Hwa;Imgap Yi;Park, Sehun;Sohn, Jin-Hun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 /
    • pp.225-229
    • /
    • 1998
  •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comparative analysis of autonomic and electrocortical responses to passive and active touch of the tektites with different subjective emotional preference. Perspective goal of the project is development of a template for classification of tactile stimuli according to subjective comfort and associated physiological manifestations. The study was carried out on 36 female college students. Physiological signals were acquired by Grass and B10PAC 100 systems with AcqKnowledge III software. Frontal, parietal and occipital EEG (relative power spectrum /percents/ of EEG bands - delta, theta, slow and fast alpha, low and fast beta), and autonomic variables, namely heart rate (HR), respiratory sinus arrhythmia (RSA), pulse transit time (PTT), respiration rate (RSP) and skin conductance parameters (SCL, amplitude, rise time and number of SCRs) were analyzed for rest baseline and stimulation conditions. Analysis of the overall pattern of reaction indicated that autonomic response to tactile stimulation was manifested in a form of moderate HR acceleration, RSP increase, RSA decrease (lowered vagal tone), decreased n and increased electrodermal activity (increased SCL, several SCRs) that reflects general sympathetic activation. Parietal EEG effects (on contra-lateral side to stimulated hand) were featured by short-term alpha-blocking, slightly reduced theta and significantly increased delta and enhanced fast beta activity with few variations across stimuli. The main finding of the study was that most and least preferred texture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utonomic (HR, RSP, PTT, SCR, and at less extent in RSA and SCL) and electrocortical responses (delta, slow and fast alpha, fast beta relative power). These differences were recorded both in passive and active stimulation modes, thus demonstrating reproducibility of distinction between most and least emotionally preferred tactile stimuli, suggesting influence of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emotional property of stimulus, on physiological outcome. Nevertheless, development of sufficiently sensitive .and reliable template for classification of emotional responses to tactile stimulation based on physiological response pattern may require more extensive empirical database.

  • PDF

부인과 수술 후 통증관리에 있어서 프로파세타몰의 모르핀 절감 및 내분비 대사에 대한 효과 (The Effect of Postoperative Propacetamol on Acute Pain and Endocrine-Metabolic Response in Gynecological Surgery)

  • 한태형;서재완;신백효;손종찬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0권2호
    • /
    • pp.170-178
    • /
    • 1997
  • Background: The analgesic efficacy and safety of propacetamol, an injectable prodrug of acetoaminophen, in combination with intravenous morphine PCA were studied in 40 patients after gynecological surgery requiring lower abdominal incision. Methods: Using a double-blind, randomized, parallel-group design, the effects of four(every 6 hr) intravenous injections of 2 g propacetamol(=1 g acetoaminophen) were compared with four injections of placebo(PL) immediately after surgery. Efficacy of cumulative dose of morphine and number of boluses requested was assessed over 24 hours by automated recording on the PCA device. It was assessed on pain scores rated on a ten-point verbal scale along with vital signs, $K^+$, glucose, BUN, creatinine, PT and PTT were measured along with stress hormones(epinephrine, norepinephrine and cortisol).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emographic data between two groups. Propacetamol group demonstrated approximately 21% morphine sparing effect compared to placebo group($33.1{\pm}10.4$ mg vs $41.4{\pm}8.0$ mg). No significant differences noted in $K^+$, glucose, BUN, Creatinine, PT and PTT levels.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norepinephrine and cortisol in placebo group postoperatively, compared to preoperative values. At the same time, propacetamol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se hormones. Both group revealed high degree of patient satisfaction. Conclusion: Propacetamol showed significant morphine sparing effect to some degree. Side effects were much less in propacetamol group with subsequently high patient satisfaction. The secretion of stress hormone were not blocked by postoperative propacetamol injections. Authors concluded that propacetamol should be considered as an excellent adjuvant analgesics in postoperative pain control in opioid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 PDF

양에서 좌측 개흉술 하에 완전인공심장의 체내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로 사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the Total Artificial Heart as an Implantable Biventricular Assist Device by Left Thoracotomy in an Ovine Model)

  • 원태희;민병구;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4호
    • /
    • pp.296-304
    • /
    • 2001
  • 배경: 이번 연구의 목적은 체내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의 개발을 위한 안전하고 간편한 동물실험 모델을 확립하는 것이며 이동작동형 완전 인공심장의 양심실 보조장치로의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7마리의 Corridale 양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5번째 늑간극을 통하여 좌측 개흉술을 시행하고 좌측 유출로 캐뉼라는 하행 대동맥에 Dacron graft을 사용하여 연결하였고 유입로 캐뉼라는 좌심방에 삽입하였다. 우측 유출로 캐뉼라는 하행 대동맥과 같은 방법으로 주폐동맥에 연결하였으며 유입로 캐뉼라는 혜동맥을 하방으로 젖혀 우심방이를 노출시킨 다음 우심방이에 삽입하였다. 4마리에 있어서는 양심실 보조장치를 전복막강(preperitoneal space)에 위치시켰으며 2마리에 촤측흉강 내에, 1마리에서는 외부에 위치시켰다. aPTT는 수술전 aPTT의 2∼2.5배로 맞추어 주었다 결과: 수술중 또는 수술직후 사망한 경우는 없었으며 7마리 모두 인공호흡기 이탈이 가능하였고 스스로 기립하고 음식물 섭취도 가능하였다. 1마리는 술후 2일째 혈전 색전증 및 인공호흡기 작동 잘못으로 사망하였으며 2마리의 겨우는 술후 2일째 각각 양심실 보조장치의 작동 잘못 및 호흡부전으로 사망하였고, 3마리의 경우는 술후 4일째 혈전색전증으로 인한 급성신부전 및 호흡부전 등으로 사망하였다. 1마리에 있어서는 28일간 생존하였으며 양심실 보조장치의 구동 장치에 연결된 라인의 마로로 인해 양심실 보조장치의 작동이 정지되었으나 바로 양심실 보조장치를 제거하고 살릴 수 있었다. 모든 경우에 있는 캐뉼라를 삽입하고 양심실 보조장치를 작동시키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7마리 중 4마리에서 혈전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판막을 연결한 부위에 혈전생성이 많았다. 그러나 캐뉼라에는 혈전생성이 없었다. 결론: 양에 있어서 좌측 개흉술 및 전복막강 공간에 양심실 보조장치를 위치시키는 이번 동물실험 모델은 체내 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 개발을 위한 좋은 동물실험 모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디동 작동기형 완전 인공심장의 혈전생성을 억제할수 있는 방법들의 연구개발이 지속된다면 장기간의 체내 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고지방 섭취 흰쥐에서 양파 껍질 추출물의 보충 섭취가 혈중 지질농도와 혈행 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Onion Peel Extracts on Blood Lipid Profile and Blood Coagulation in High Fat Fed SD Rats)

  • 정혜경;신민정;차용준;이경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42-450
    • /
    • 2011
  • 1. 본 연구는 고지방 섭취 동물 모델에서 양파 추출물을 용량별(0.01%, 0.02%, 0.05%, 0.1%)로 8주간 보충 섭취시킨 후 혈중 지질 농도와 혈행 장애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2. 양파 껍질 추출물 섭취에 따라 total cholesterol과 HDLcholesterol 및 LDL-cholesterol은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분석 결과 LDL-cholesterol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고지방 대조군 및 고지방+양파 껍질 추출물 그룹이 유의하게 높았고, 고지방 대조군 대비 0.1% 양파 껍질 추출물 섭취군의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HDL-cholesterol은 정상대조군 대비 고지방 식이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가 양파 껍질 추출물 섭취에 따라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3. Hematocrit, WBC, RBC, platelet count, MPV, MCV, MCH, MCHC 등 혈액학적 지표는 처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Hemoglobin의 경우, ANOVA 분석 시 군간 유의한 평균값의 차이를 보였으나, Bonferroni correction을 통한 사후분석 결과 각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 혈액 응고 지표로 분석된 PT, aPTT, TT와 fibrinogen은 ANOVA 분석 시 모든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t-test 결과 고지방 대조군에 비해 0.05% 양파 추출물 첨가군에서 aPTT가 유의적으로 연장되었다. 5. 체중 증가의 cut-off에 따라 low gainer와 high gainer로 나누어 항혈전 지표를 비교한 결과, high gainer에서는 0.01%, 0.02%, 0.05% 양파 추출물 섭취군이 고지방 대조군에 비해 PT와 aPTT가 전반적으로 길어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6. 이상의 결과에서 고지방 섭취 동물 모델에서 용량별 양파 추출물 첨가는 혈중 지질 농도에 영향을 주는 한편, 혈액응고시스템에 현저한 변화를 유발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고지방 대조군에 비해 0.05% 양파 추출물 첨가 시aPTT의 유의적인 증가는 양파 추출물이 내인성 혈액 응고시스템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므로 향후 비만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다양한 농도 범위의 양파 보충의 효과를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말기 암 환자에서 임상변수를 이용한 생존 기간 예측 (Prediction of Life Expectancy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Based on Clinical Parameters)

  • 염창환;최윤선;홍영선;박용규;이혜리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5권2호
    • /
    • pp.111-124
    • /
    • 2002
  • 목적 : 의학의 발달로 인간의 생존 기간이 길어졌지만, 암 발생율과 사망율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어 그로 인해 말기 암 환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말기 암 환자를 진료하는 데 있어서 환자의 생존 기간을 예측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로 만약 환자의 생존 기간을 예측할 수 있다면 남은 시간에 따라 환자, 가족, 의료진은 치료의 선택에 큰 차이를 보일 것이다. 이에 저자 등은 말기 암 환자에서 사망 위험도를 높이는 예후 인자를 알아내고 이들 예후 인자의 개수에 따른 생존 기간을 예측하여 말기 암 환자의 진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 2000년 7월 1일부터 2001년 8월 31일 사이에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가정의학과에 말기 암으로 입원한 환자 157명을 대상으로 입원당시 환자의 임상변수 31가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환자의 의무기록과 조사된 환자의 신상기록을 가지고 2001년 10월 31일까지의 환자의 생존 여부를 확인하였다. Kaplan-Meier 방법과 로그순위 검정(log-rank test)을 이용하여 임상변수에 따른 생존 기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Cox의 비례위험함수 모형(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임상변수 중 사망 위험도를 높이는 유의한 변수를 얻은 후 이를 예후 인자로 삼고, 이것을 와이블 비례위험함수 모형(Weibull proportional hazard function model)을 이용하여 예후 인자들의 유무에 따른 생존 기간의 평균, 중앙값 제 1사분위수 그리고 제 3사분위수를 계산하여 생존기간을 예측하였다. 결과 : 말기 암 환자 157명 중 성별은 남자가 79명(50.3%), 여자가 78명(49.7%)이었고, 평균 연령은 남자가 $65.1{\pm}13.0$세, 여자는 $64.3{\pm}13.7$세였다. 암의 종류를 보면 위암이 36명(22.9%)으로 제일 많았고, 폐암이 27명(17.2%), 대장암이 20명(12.7%) 순이었다. 의식변화, 식욕부진, 저혈압, 수행능력 저하, 백혈구 증가증, 중성구 증가증, 크레아티닌 증가, 저알부민혈증, 고빌리루빈혈증, 간효소(SGPT)치 증가, 프로트롬빈 시간(PT) 연장, 활성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 연장,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 등을 보이는 환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생존 기간이 짧았다. 이중 Cox의 비례위험함수 모형을 통해 수행능력 저하, 중성구 증가증, PT 연장, aPTT 연장인 경우가 환자의 사망위험도를 높이는 유의한 예후 인자로 나왔다. 생존 기간의 중앙값은 4가지 인자가 모두 있는 경우는 3.0일, 3가지만 있는 경우는 $5.7{\sim}8.2$일, 2가지만 있는 경우는 $11.4{\sim}20.0$일, 1가지만 있는 경우는 $27.9{\sim}40.0$일, 4가지 모두 없는 경우는 77일로 나왔다. 결론 : 말기 암 환자에서 수행능력 저하, 중성구 증가증, PT 연장, aPTT 연장이 사망위험도를 높이는 예후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이들 4개 인자를 통해 말기 암 환자에서 생존 기간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harmacokinetic-Pharmacodynamic Modeling of a Direct Thrombin Inhibitor, Argatroban, in Rats

  • Park, Eun-Hye;Shin, Beom-Soo;Yun, Chi-Ho;Lee, Mann-Hyung;Yoo, Sun-Dong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9권5호
    • /
    • pp.373-379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pharmacokinetic-pharmacodynamic (PK/PD) model of a direct thrombin inhibitor, argatroban to predict the concentration-effect profiles in rats. Argatroban was i.v. injected to rats at 0. 2, 0.8 and 3.2 mg/kg doses (n = 4-5 per dose), and plasma drug levels were determined by a validated LC/MS/MS assay. The pharmacokinetics of argatroban was linear over the i.v. dose range studied. The thrombin time (TT) and the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were measured in rat plasma and they were found to linearly increase with increasing the dose. A 2-compartment pharmacokinetic model linked with an indirect response pharmacodynamic model was successfully utilized to evaluate the drug concentration-response relationship.

조직화한 팽창성 자발성 뇌실질내 혈종 (Organized Expanding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atoma)

  • 최병연;문충배;조수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권1호
    • /
    • pp.129-134
    • /
    • 1984
  • 저자들은 $1{\frac{1}{2}}$개월된 남아에서 vitamin K 의존인자 결핍으로 인한 뇌출혈 3주일후, 뇌혈관 기형에서 재차 출혈하여, 조직화한 팽창성 자발성 뇌실질내 혈종을 야기시킨 1예를 경험하고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목초액의 혈소판 응집억제를 통한 혈행개선 작용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Haemostasis Mediated by Anti-Platelet Activities by Plant Vinegar)

  • 김영대;배옥남;정승민;정진호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37-142
    • /
    • 2004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lant vinegar on platelets and blood coagulation system. Plant vinegar inhibited in vitro platelet aggregation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when platelets were activated by thrombin and collagen. In addition, plant vinegar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the serotonin secretion induced by thrombin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However, treatment with plant vinegar to platelets did not induce any cytotoxicity, as determined by the release of lactate dehydrogenase. Plant vinegar did not change the coagulation parameters such as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and prothrombin time (PT) using rat citrated plasma. In vivo study revealed that, treatment with plant vinegar prolonged the bleeding time from mouse tail. 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plant vinegar might improve blood hemostasis mediated via anti platelet activities.

Online Social Support: Which Posts Were Answered?

  • Chang, Hui-Jung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8권1호
    • /
    • pp.31-46
    • /
    • 200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which posts were answered in a text-based computer-mediated social support group.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wo variables on support-seeking behaviors: support-seeking strategies and gender. A revised typology of support-seeking strategies originally proposed in the Sensitive Interaction Systems Theory (SIST) model was employed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TT psychosis discussion group, the largest BBS in the Chinese-speaking community, for a period of 30 months from February 2004 to July 2006. In general, the results indicated that posts with more asking, less crying and less hinting were answered more than posts with more hinting, more crying and less asking. However, although different support-seeking strategies did affect support-seeking behaviors, gender did not have an impact on which posts were answ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