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oothera aurea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Urogonimus turdi (Digenea: Leucochloridiidae) from the White's Thrush, Zoothera aurea, in the Republic of Korea

  • Kim, Hyeon Cheol;Hong, Eui Ju;Ryu, Si Yun;Park, Jinho;Yu, Do Hyeon;Chae, Joon Seok;Choi, Kyoung Seong;Sim, Cheolho;Park, Bae Keu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7권5호
    • /
    • pp.461-467
    • /
    • 2019
  • Avian trematodes, Urogonimus turdi (Digenea: Leucochloridiidae), were collected from the intestine of wild birds, Zoothera aurea, 2013-2017 in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Korea. The body was ellipsoidal, attenuated and/or round ends, 1,987-2,120 long and $819-831{\mu}m$ wide. The oral sucker was subterminal, rounded anteriorly, and $308-425{\times}351-432{\mu}m$ in size; the prepharynx and esophagus were almost lacking; pharynx was well-developed, $142-179{\times}78-170{\mu}m$ in size; intestine narrow, bifurcating just after pharynx, ascending to the oral sucker before looping posteriorly and terminating near the posterior end; ventral sucker larger, in almost median, $536-673{\times}447-605{\mu}m$ and approximately 1.5 times larger than oral sucker. A phylogenetic tree constructed with 18S ribosomal RNA showed inter- and intraspecific relationships. Based on thes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findings, we report here a U. turdi from White's thrushes in Korea.

생물음향 모니터링 기법을 이용한 야행성 조류 탐지 및 생태적 특성 분석 (Nocturnal Birds Detec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through Bioacoustic Monitoring)

  • 최세준;기경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36-644
    • /
    • 2019
  • 본 연구는 생물음향 녹음기술을 이용하여 야행성 조류의 울음을 탐지하여 종을 식별하고, 종별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설악산국립공원, 국립생태원, 무등산국립공원 3개소였다. 분석기간은 설악산은 2018년 4월 중순부터 2019년 3월 초, 국립생태원은 2018년 2월 말부터 2019년 2월 중순, 무등산은 2018년 2월 중순부터 8월 말까지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탐지가 확인된 야생조류 종 수는 쏙독새, 소쩍새, 호랑지빠귀, 수리부엉이, 긴점박이올빼미로 총 5종이다. 두 번째, 종별 번식울음 기간은 쏙독새는 5월 초부터 8월 초, 소쩍새는 4월 초부터 9월 말, 호랑지빠귀는 3월 초부터 10월 초, 수리부엉이는 9월 말부터 2월 초, 긴점박이올빼미는 1월 중순부터 3월 초까지였다. 세 번째, 종별 번식울음 일주기는 세 지역의 관찰대상종 모두 16시부터 다음 날 10시 사이로 형성이 됐고, 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시간대는 20시부터 다음 날 06시 사이에 형성되었다. 네 번째, 종별 일 누적 울음빈도와 강수량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섯번째, 종별 울음이 탐지된 기간 동안의 평균기온은 긴점박이올빼미는 -4.00℃, 수리부엉이는 2.58℃, 호랑지빠귀는 13.66℃, 소쩍새는 19.50℃, 쏙독새는 20.77℃였고, 분산분석 결과 종별 울음이 평균기온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긴점박이올빼미, 수리부엉이, 호랑지빠귀, 소쩍새-쏙독새 4개의 그룹 순으로 낮은 온도에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확인된 종별 번식울음 기간은 종별 울음이 탐지된 기간 중 울음빈도가 높게 나타난 기간이다. 이는 종마다 알려진 번식기간에 속하는 결과이기 때문에 생물음향 모니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울음기간을 확인했을 때 울음빈도가 높게 형성되는 기간을 번식기간으로 볼 수 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야행성 조류를 대상으로 생물음향 녹음기술을 이용하여 종을 식별하고, 종별 생태적 특성을 밝힌 초기 논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