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oology

검색결과 3,090건 처리시간 0.027초

Influence of β-carotene enhanced transgenic soybean cultivation on the diversity of non-target arthropods in Korea for three years

  • Sung-Dug Oh;Eunji Bae;Soo-Yun Park;Seong-Kon Lee;Doh-Won Yun;Kihun Ha;Minwook Kim;Yeongjin Son;Chang Uk Eun;Young-Kun Kim;Junho Lee;Dongmin Kim;Donguk Kim;Jongwon Kim;Sang Jae Suh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4호
    • /
    • pp.719-736
    • /
    • 2022
  •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living modified (LM) crops is essential for their cultivation. In this study, we cultivated β-carotene enhanced transgenic soybean (LM soybean) and non-LM soybean (Gwangan) in living modified organism (LMO) isolated fields, and investigated changes in the insect fauna using three types of collection methods for three years. In total, 331,483 individual insects and arachnids, representing 82 families in 14 orders, were captured during the study. Totals of 166,518 and 164,965 individual insects and arachnids were collected from LM soybean and Gwangan, respectively. Throughout the study,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investigation year, region, and method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opulation densities of insect pests, natural enemies, and other insects on LM soybean and non-LM soybean. Also,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varieties in the results of the species diversity analysis. The data on insect species population densities were subjected to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which did not distinguish between the two varieties, LM soybean and the non-LM soybean, in all cultivated fields. However, the results of the MDS analysis were completely divided into six groups based on the yearly survey areas. These results provided the insect diversity for an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LM soybean and suggested that the guideline could be useful to detect LM crops.

고추잠자리 複眼의 電子顯微鏡的 構造 (Ultrastructures of the Compound Eye in Dragonfly, Crocothemis servilia Drury)

  • 백경기;최춘근;신길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11-131
    • /
    • 1972
  • 고추잠자리 複眼의 망막의 미세구조가 전자현미경적으로 연구되었다. 個眼의 綱膜層을 이루고 있는 細胞의 數는 모두 8個이나, 이는 綱膜層에 따라 그 수를 달리한다. 따라서 綱膜細胞의 수에 의해 망막층은 三分되며, 中間層의 基部綱膜細胞는 부근의 두 感桿體를 연결하고 있다. 세 개의 感桿體가 서로 $120^{\circ}$의 각도를 갖고, 융합되어 이루어진 감간체는 횡단면에서 삼각형을 이루고 있으며 絨毛突起는 外心을 둘러싸고 전자밀도가 다른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전자밀도가 약한 내부 絨毛突起는 세포질과 서로 通하고 있다. 粗面小胞體는 綱膜세포의 端部에서 空胞와 연결되고 있으며 수많은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의 中間部位에 산재되어 있다. 圓錐晶體는 4個의 圓錐세포로서 구성되며 주위에는 많은 색소세포가 존재한다.

  • PDF

脊椎動物 腦와 網膜에 있어서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 Pattern의 比較 (A Comparison of the Lactate Dehydrogenase (LDH) Isozyme Patterns in Vertebrate Cerebrum and Retina)

  • 김순옥;박상윤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0
    • /
    • 1979
  • 脊椎動物 網膜과 腦에 있어서 LDH isozyme pattern을 系統的으로 밝히기 위하여 cellulose acetate 電氣泳動法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붕어와 잉어의 網膜과 腦의 LDH isozyme은 $LDH_1$$LDH_2$에 해당되는 부위에 彌滿된 단일 band가 觀察되었다. 잉어의 心臟, 胞筋, 肝臟, 胃의 LDH isozyme도 모두 다같이 퍼진 단일 band로 나타났다. 2. 도룡농과 개구리의 腦에 있어서 LDH isozyme pattern은 다르게 觀察되었다. 도룡뇽에서는 음극으로 移動된 단일 band가, 개구리에서는 $LDH_5$$LDH_4$ 두 개의 band가 검출되었다. 3. 유혈목이의 網膜과 腦에서는 다같이 하나의 band로 觀察되나 자라에서는 網膜과 腦의 isozyme이 다르다. 卽 자라의 網膜에서는 5個의 isozyme band가 觀察되었는데 그 농도는 $LDH_5, LDH_4, LDH_3, LDH_2$$LDH_1$의 순으로 낮아 졌다. 4. 닭과 사랑새의 網膜과 腦에 있어 LDH isozyme은 다같이 단일 band로 나타났다. 5. 집토끼, 개. 돼지, 소의 網膜에서도 포유류의 特徵的인 5個의 isozyme band가 검출되었고 mouse, albino rat, 관박쥐의 腦에서도 5個의 band가 검출되었다. 이러한 사실들로 미루어 보아 網膜과 腦의 LDH는 그 電氣泳動 이 대체로 비슷하여 두 器官은 유사한 pyruvate 代謝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

노랑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의 알코올 水素離脫酵素의 活性과 分離에 關한 硏究 (A study on Activity and Separation of Alcohol Dehydrogenase in Drosophila melanogaster)

  • 오석흔;정용재;박상윤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5-66
    • /
    • 1979
  • Drosophila melanogaster Oregen-R을 大量飼育하여 alcohol dehydrogenase를 精製하여 그 活性을 測定하는 한편 alcohol dehydrogenase의 isozyme pattern을 分析한 結果 아래와 같은 몇가지 사실을 얻었다. 1. 본 실험을 통해서 Drosophila melanogaster Oregon-R의 alcohol dehydrogenase의 比活性은 Jacobson et al. (1970)이 報告한 바 있는 D. melanogaster Samarkands의 그것에 比하여 약 5배 이상의 比活性을 나타냄을 確認하였다. 2. 이 strain의 ADH isozyme pattern은 fast form인 $AHD_1, AHD_2$ 그리고 slow form인 $ADH_2$임을 알게 되었다. 3. 粗酵表에서의 ADH isozyme pattern은 $ADH_1, ADH_2$ 그리고 $ADH_5A$가 나타났는데, 정제효소에서는 $ADH_1, ADH_5A$$ADH_5B$가 나타났다. 4. $ADH_5A$$ADH_1$ isozyme을 分離 精製한 $ADH_5A$의 比活性은 4,330 units/mg이었고, $ADH_1$의 比活性은 3,670 units/mg임을 알게 되었으며, 이것을 7% acrylamide disc gel에 電氣泳動하여 zymogram의 位置를 정확히 판별하였다.

  • PDF

Study of the Effects of Sodium Chloride on Segregation-Distorter Action in D. melanogaster: 1. Theatment of Sodium Chloride on Whole Developmental Stages.

  • 강문주;정용재;김경자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25
    • /
    • 1970
  • 초파리의 4가지 계통을 그 발생전 시기를 통하여 NaCl 배지에서 사육하였을때 우화율 SD 작용의 변동을 조사 검토하기 위하여 6가지 농도의 NaCl 사육배지를 만들어 실험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우화율 SD의 4계통간에는 유의한 차가 없으나 NaCl 농도에 따르는 차이는 매우 유의하다. 2. 우화율은 NaCl 농도가 커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0.0M(표준배지)에서 0.3M 농도까지는 NaCl 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편이나 0.5M 이상의 농도에서는 저항성이 급격히 약해진다. 3. 1.0M 이상의 NaCl농도에 대해서는 알이 전혀 부화하지 못하는데 이것은 1.0M 이상의 NaCl 농도에 대한 저항성은 전연 없다고 볼수 있다. 4. SD의 작용 즉 k 값은 SD 계통간이나 NaCl 농도간이나 다 같이 유의한 차를 볼수 없는데 이것은 NaCl배지이더라고 일단 우화만하면 SD작용에는 변동이 없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 PDF

蔗糖과 葡萄糖이 白鼠肝臟 및 血淸 Cholesterol의 含量에 미치는 影響 (The Effect on the Change of Liver and Serum Cholesterol Contents of Albino Rats by the Feeding of the Suerose and Glucose)

  • 고진복;이경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44-50
    • /
    • 1970
  • 成熟雄性白鼠를 標準食餌群과 10%, 25% 및 40% 葡萄糖食餌群 그리고 10%, 25% 및 40% 蔗糖食餌群으로 나누어 各核當食餌를 2개월간 급식시킨후 肝臟 및 血淸中 cholesterol 含量을 觀察한바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肝臟內 總臟器當 cholesterol 含量은 total cholesterol 과 ester 型 cholesterol 은 標準食餌群에 比하여 40% 葡萄糖食餌群은 현저히 증가하였고 free 型 cholesterol 은 標準食餌群에 比하여 各食餌群 모두 증가하였다. 2. 血淸 100ml 中 cholesterol 含量은 total cholesterol 에서는 標準食餌群에 比하여 10% 葡萄糖食餌群 및 蔗糖食餌群은 감소하였으나 40% 蔗糖食餌群은 증가하였다. free型 cholesterol 은 10%, 40% 葡萄糖食餌群 및 10% 蔗糖食餌群에서는 減少하였고 ester型 cholesterol은 10%蔗糖食餌群 및 葡萄糖食餌群에서는 감소하였으나 40%蔗糖食餌群에서는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체내 cholesterol 含量은 食餌中 蛋白質의 量이 一定할때도 食餌性糖質의 量과 種類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다는 事實을 알수 있다.

  • PDF

북방산개구리 피부 색소세포의 미세구조 (The Ultrastructure of the Cutaneous Cells in Rana temporaria dybowskii Guenther)

  • 김한화;지영득;문영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37-150
    • /
    • 1985
  • 북방산개구리 피부의 색소포(황색색소포, 홍색색소포 및 멜라닌색소포)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황색색소포 : 황색색소포는 많은 pterinosome과 소수의 carotenoid vesicle의 색소소기관으로 구성되었다. 그중 pterinosome은 소낭속의 내용물질에 따라 소낭속에 내용물질이 없고 뚜렷한 한계막만이 있는 형태인 제1형 pterinosome, 소낭속에 섬유물질이 산재해 있는 형태인 제2형 pterinosome, 소낭속에 소수의 lamellae 층을 형성하는 형태인 제3형 pterinosome 및 소낭속에 전자밀도가 높은 여러개의 동심원적 lamellae층을 형성하고 있는 형태인 제4형 pterinosome이 관찰되었다. 이 pterinosome들 중 특히 제2형과 제3형 pterinosome은 전형적인 형으로 잘 발달되었다. 홍색색소포 : 홍색색소포는 기저막 아래에 있는 황색색소포와 진피내 멜라닌 색소포 사이에 위치하였다. 홍색색소포는 장방형 또는 볼록렌즈모양의 반사소판으로 채워져 있었다. 이 반사소판들은 일접하게 접촉하였고, 그들 사이에는 좁은 interspace로 구획되었다. 반사 소판이 없는 일부의 핵상부 세포질에는 endoplasmic reticulum과 소수의 mitochondria가 산재하였다. 멜라닌색소포 : 멜라닌색소포는 수많은 멜라닌과립으로 채워져 있었다. 이 멜라닌과립이 채워져 있는 멜라닌색소포의 수상돌기는 홍색색소포의 측면에 뻗어 있었고, 일부는 황색색소포와 홍색색소포 사이에서 나타났다. 표피 멜라닌색소포는 같은 전자밀도를 나타내는 멜라닌과립으로 채워져 있고, 소수의 멜라닌과립이 각질표면층에서 관찰되었다.

  • PDF

개구리(Rana nigromaculata) 발생에 따른 위점막 점액분비세포의 조직학적 및 조직화학적 연구 (Histological and Histochemical Studies on the Mucous Secreting Cells of the Gastric Mucosa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Frog, Rana nigromaculata)

  • 김한화;노용태;정영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5-32
    • /
    • 1976
  • 양서류 발생에 따른 위점막 점액세포의 조직학적 및 조직화학적인 변화를 밝히고저 개구리(Rana nigromaculata)변태 각 단계의 위체부 조직을 10% formalin 완충액에 고정($4^{\circ}C$), paraffin에 포매, 4 $\mu$m 두께로 절편한후 periodic acid-Schiff(PAS) 및 alcian blue(AB) pH 2.5, pH 1.0에 반응시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위 표면점액세포내 점액질은 변태과정에 따라 특이한 변화없이 PAS에 강한 반응을 AB pH 2.5 및 pH 1.0에서는 약한 alcianophilia를 보였으며, 변태 XXIV와 XXV에서 세포내 중성 점액질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2. 위소와점액세포는 변태 XXI이후에서 볼 수 있었는데 PAS에 강한 반응을, AB pH 2.5 및 pH 1.0에서 약한 alcianophilia를 보였으나, AB pH 1.0에서는 AB pH 2.5에서 보다 강하였고, 변태 XXIV와 XXV에서 세포내 중성 점액질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3. 분비능을 보이는 점액질세포는 변태 XXIV이후인데 변태 XXIV에서는 PAS에 강양성을, AB pH 1.0에서는 약한 alcianophilia를 보였고, 변태 XXV 이후에는 PAS에 약한 반응을, AB pH 2.5에는 약하고 AB pH 1.0에는 중등도의 alcianiphilia를 보였는데 이들 점액질은 전 세포질에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였다.

  • PDF

양서루 피부 과립선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Granular Glands in the Amphibian Skin)

  • 김한화;노용태;정영화;지영득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3-114
    • /
    • 1979
  • 양서류 피부과립선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무미양서류인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 두꺼비 (Bufo bufo gargarizans), 개구리 (Rana nigromaculata) 및 옴개구리 (Rana rugosa)의 피부조직은 2.5% glutaraldehyde-paraformaldehyde (pH 7.2)와 1%osmium tetroxide에 전후 고정한 후 ethanol과 acetone으로 탈수, Epon 812 mixture에 포매하여 LKB ultramicrotome으로 초박절표본을 만들어 uranyl acetate와 lead citrate으로 염색하여 JEOL-100B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서류 피부과립선은 선상피세포와 근상피세포로 이루어졌다. 2. 양서류 피부과립선의 선상피세포는 암세포들로 구성되었으나 무당개구리에서는 명세포도 관찰되었다. 3. 양서류 피부과립선은 전분지를 하였다. 4. 양서류 피부과립선 상피세포의 핵은 원형 내지 타원형으로 크고 작은 핵경함요를 보였고, heterochromatin은 주로 핵경 인접부에 많았다. 세포질에는 mitochondria가 핵주변부에 비교적 많이 산재하였고, rough-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은 핵 주변부에 발달하였지만 smooth-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은 미약하였다. 5. 분비과립들은 구형 또는 난형으로 높은 전자밀도를 보였으며 다소 약한 전자밀도를 보이는 과립도 관찰되었다. 6. 양서류 과립선내 분비과립들이 같은 세포내에서 다소 전자밀도의 차이를 보이는 것은 분비과립의 형성단계에 따른 농도 차이에 기인하며 그 화학적 조성은 유사하다고 생각된다.

  • PDF

한국산 노랑초파리 (Drosophila melanogaster) Alcohol dehydrogenase의 전기영동산 및 활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lectrophoresis and Activity of Alcohol Dehydrogenase of Drosophila melanogaster)

  • 정용재;윤연식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25-136
    • /
    • 1980
  • 노랑초파리 (Drosophila melanogaster) Oregon-R strain과 Kwangju strain에서 발생단계에 EK라 합성되는 효소의 양상은 다음과 같다. 1. Oregon-R strain 및 Kwangju strain의 발생 4단계에 따른 ADH isozyme pattern은 알에서 ADH 2, ADH 3, ADH 4가 나타났고, 유충 번데기 및 성충에서는 ADH 1, ADH 2, ADH 3, ADH 4, ADH 5가 모두 나타났다. 2. ADH isozyme의 단백질을 분석하여 보면 양극 방향으로 이동한 ADH 3, ADH 4, ADH 5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음극 방향으로 이동한 ADH 1, ADH 2는 적은 비율로 나타났다. 한편 유충 번데기 및 성충에서 ADH 3은 Oregon-R strain과 Kwangju strain에서 가장 큰 비율로 나타나지만, ADH 4에 대해서는 Kwangju Strain이 Oregon-R strain 보다 훨씬 낮은 비율로 나타나는 것이 특이하였다. 3. 활성은 앞에서 가장 낮고 유충에서 높아지고 번데기에서 낮아서 성충에서 제일 높게 나타났다. Strain 별에서도 모든 발생단계에서 Kwangju strain이 Oregon-R strain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것을 활경요소에 의하여 변화될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