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oology

검색결과 3,091건 처리시간 0.024초

메기 (Parasilurus asotus)의 장기내 젖산수소이탈효소 아이소자임 형에 미치는 동이온의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of Copper Ion on the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 Patterns in Organs of Catfish, Parasilurus asotus)

  • 정영훈;이춘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5-92
    • /
    • 1984
  • 메기 (Parasilurus asotus)의 심장, 간장, 신장, 골격근 및 난소내의 젖산수소이탈효소 isozyme 형에 미치는 동이온의 영향을 cellulose acetat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법으로 연구하였다. 1. 정상인 메기의 심장에서는 LDH-1과 LDH-2가 나타났으나 동이온 처리구에서는 LDH-1, LDH-2, LDH-3 및 LDH-4가 나타났다. LDH-1의 양은 감소되고 LDH-2, LDH-3 및 LDG-4의 양은 증가되었다. 2. 정상인 메기의 간장에는 LDH-4만 있었으나 동이온 처리구에서는 LDH-4의 양이 감소되고 LDH-5가 새로 나타났다. 3. 신장에서는 대조구와 처리구, 2군에서 LDH-1, LDH-2 및 LDH-4가 나타났는데, 동이온 처리후 LDH-1의 양은 증가되고 LDH-2와 LDH-4는 감소되었다. 4. 대조구의 골격근에는 넓은 band의 LDH-5가 하나 있었으나 처리구에서는 LDH-4와 LDH-5가 나타났는데 특히 LDH-5는 하나의 M형 sub-band를 가지고 나타났다. 5. 정상인 난소에서는 LDH-3 하나만 나타났으나 동이온 처리구에서는 LDH-1에서 LDH-5RK지의 5개 LDH isozyme이 모두 나타났다. 6. 동이온 처리 기간중 심장, 간장 및 골격근에서는 대개 유기대사와 연관된 심장형 LDH isozyme은 감소되었지만 무기대사와 연관된 근육형 LDH isozyme은 증가되었다. 이들 기관은 동중독시의 무기대사의 중요한 기능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꿀벌부채명나방 뇌신경분비세포의 변태에 따른 변화 (Metamorphic Changes of the Neurosecretory Cells in the Brains of Wax Moth Gafferfa mellonella during Metamorphosis)

  • 이봉희;강성훈;김민영;김우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0-133
    • /
    • 1989
  • 꿀벌부채명나방의 후기유충, 전용, 유충 직후용, 4일용, 성충2일전용, 성체에서 뇌를 적출하여 paraidehyde-fuchsin으로 분비활성 신경분비세포만을 염색하여 이 세포들의 분포, 수, 분비물질의 특성등이 변태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추적하였다. 위의 6변태단계 뇌의 뇌간부, 전뇌측부, 시엽근역부, 중뇌, 후뇌에서 4형의 신경분비세포가 동정되었다. 뇌간부에 있는 medial neurosecretory cell은 6변태시기 뇌에서 3-7개이며, 제I형 신경분비세포는 1개를 가지고 있는 성충2일전용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3개씩 관찰되었다. 전뇌측부에서 관찰되는 lateral neurosecretory cell은 용기와 성충기에서 1-5개가 관찰되었으며 제IV형 신경분비세포가 가장 많았다. 시엽근역부에 분포하는 Optic-lobe neurosecretory cell은 4일용에서만 1개가 관찰되었고 제I형 신경분비세포로 확인되었다. 중뇌에서 관찰되는 deuto cerebral neurosecretory cell은 성충에서만 1개가 관찰되었으며 이 세포는 제II형 신경분비세포이었다. 뇌에 있는 tritocerebral neurosecretory cell은 후기유충과 성충에서 3개와 1개가 각각 관찰되었으며 이 세포중 제I형 신경분비세포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Dibutyryl Cyclic AMP에 의해 成熟이 抑制된 Mouse 卵子의 微細構造에 관한 硏究 (Studies on the Fine Structures of Mouse Oocyte Whose Maturation has been suppressed in Vitro by Dibutyryl Cyclic AMP)

  • 崔林淳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7-101
    • /
    • 1975
  • dbcAMP에 의한 卵子의 核 崩壞 抑制作用을 電子顯微鏡的으로 究明하기 위하여 생쥐 濾胞卵子의 微細構造를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實驗群에서의 核膜의 彎曲은 對照群의 것에 비하여 얼마간 줄고 있으며 2種의 核膜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나, 核膜을 따라 무수히 많은 核膜孔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核 崩壞 抑制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2. mitochondria는 對照群에서는 細胞質 전체에 산재해 있고, cristae의 構造가 뚜렷하지 못한 未分化 혹은 移行型의 것들이 많은 반면, 實驗群에서는 mitochondria가 대체로 核 周邊部에 모여 있으며 cristae가 얼마간 발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3. Iysosome은 實驗群에서 그 構造도 보다 단순하고 또 그 數도 對照群에 비하여 얼마간 減少하고 있다. 4. Golgi complex는 對照群에서는 전현적인 顆粒, 層板狀 構造를 하고있으나, 實驗群에서의 것은 그다지 뚜렷하지가 않다. 5. multivesicular body는 兩群이 모두 다수 나타나고 있으며, tonofilament도 무수히 존재하고, 細胞質 전반에 걸쳐 free ribosome이 존재하고 있다. 6. 細胞膜의 microvilli의 形態는 實驗群에서는 無定形으로 변하고 있으며, perivitellin space도 상당히 넓어지고 있다. 7. 以上의 觀察結果로 미루어 보아 dbcAMP를 處理하여 24시간 배양한 卵子와, 卵巢에서 직접 採取한 卵子의 電子顯微鏡的 構造에는 근본적인 변화는 볼 수 없으며, 實驗群의 卵子에서 核膜孔의 數가 뚜렷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dbcAMP가 核膜의 透過性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므로써 卵子의 成熟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보인다.

  • PDF

수종 중금속에 의한 Acid Phosphatase의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nfluence of Certain Heavy Metals on Acid Phosphatase Activities)

  • Choe, Rim-Soon;Kang, Young-Hee;Kim, Woon-So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9-76
    • /
    • 1980
  • $HgCl_2$ 5mg/kg body wt., 10 mg/kg body wt. 그리고 20 mg/kg body wt.와 $CdCl_2$ 10mg/kg. body wt., 15 mg/kg body wt.와 20 mg/kg body wt.를 mouse의 복가에 주사한 후 각각 24시간, 48시간 그리고 72시간 후에 간을 적출하여 disodium p-nitrophenyl phosphate를 기질로 하고 Mundry 비색법으로 acid phosphatase 활성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즉 $HgCl_2$는 5 mg/kg body wt.를 처리한 후 24시간 경과 후 3.47 mg Pi/ml 0.5 hr이었고, 72시간 경과 후에는 5.00 mg Pi/ml/0.5 hr이었고, 20 mg/kg body wt.에서는 24시간 경과 후 6.79 mg Pi/ml/0.5 hr로, 72시간 경과 후에는 3.47 mg Pi/ml/0.5 hr로 나와 대조군의 8.3 mg Pi/ml/0.5 hr의 약 0.5배로 나타났다. EH한 $CdCl_2$는 15 mg/kg. body wt.와 20 mg/kg body wt.는 모두 죽었으니, 10 mg/kg body wt.에서는 거의 50% 정도가 살았고, 24시간, 48시간 그리고 72시간 경과 후에 거의 모두가 11.2 mg Pi/ml/0.5 hr로 나와 대조군의 8.63 mg Pi/ml/0.5 hr 보다 1.5배 정도 높게 나타나 activate시킴을 보여주었다.

  • PDF

양서류 피부 색소세포의 미세구조 (The Ultrastructure of the Cutaneous Pigment Cells in the Amphibia)

  • 김한화;노용태;지영득;문영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3-144
    • /
    • 1981
  • 도룡뇽 배부피부의 색소세포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표피의 색소세포는 종자층 사이에 있는 흑색소세포와 각질세포층에 산재해 있는 흑색 소보유세포로 구성되었으며 표피내 이들 세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A. 흑색소세포의 핵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부분적으로 크고 작은 핵막함요를 나타내었다. B. Rough-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과 Golgi체가 특히 흑색소세포의 핵 아래부분의 세포질에 잘 발달되었으며, ribosome은 특히 핵 주변부와 인접하여 산재해 있었다. C. 흑색소세포의 흑색소과립은 전자밀도가 높고 낮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나타났다. D. 흑색소보유세포의 핵은 일부분의 핵막이 깊게 함입하였으며, 흑색소과립이 세포질에 채워져 있으므로 다른 세포소기관은 구별되지 않았다. 2. 진피는 기저막 바로 밑의 대황세포와 흑색소보유세포로 구성되었으며, 전피내 이들 세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A. 대황세포는 크기가 다른 원형 또는 타원형의 소낭을 가지고 있으며, 그 소낭은 6가지의 형으로 구분되었다. (제 1형 prerinosome, 제 2형 pterinosome, 제 3형, pterinosome, 제 4 형 pterinosome, 제 5 형 pterinosome, 제 6 형 pterinosome). B. 진피의 흑색소보유세포의 핵은 긴 타원형이며, 핵막의 일부분이 깊게 함입되었다. C. 같은 전자밀도의 흑색소과립이 흑색소보유세포의 전 세포질에 채워져 있으며, 다른 세포소기관은 관찰되지 않았다. D. 흑색소보유세포의 돌기는 대황세포와 평행하여 뻗어 있었으며, 그 돌기속에는 흑색소과립이 채워져 있었다.

  • PDF

바지락 치패의 폐사에 관한 연구-I 간척지의 간출시에 있어서의 온도, 염분변화와 유입하천수의 지하염분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Natural Mortality of the Young Short Necked Clam, Tapes japonica-I. Seaonal Variation of the tidal Temperature, Sainity , and the Effect of Overflowing Fresh Water on the Subterranean Salinity of the Tidal Flat at Low Tide)

  • 최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6
    • /
    • 1966
  • Frequently , large masses of the young short necked clam, Tapes japonica , die at their tidal flats in summer and this phenomenon has not been explained clear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is to study the thermal condition and the chlorinity level of tidal flats in which the young clam appears to be injured. A study is also mad efor the burrowing organism in the lower layer of the esturay over which the fresh water flow during the low tide. Observation are made at five places of the tidal flat near Ikawazu Fixheries Laboratory of Tokyo University during the ebb and flow tide period of the spring tide. The diurnal and monthly changes of tidal temperatures and chlorinities are measured. Results of the study are ; 1.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tidal flat increases with the ebb tide, reaches the highest between 12-14PM, and gradually decreases thereafter. The temperatures of tidal flat below 5 and 10 cm increase gradually until the flow tide reaches the surface. 2. At the spring tide in summer , the diurnal change of surface of the tidal flat temperature is very extensive ; it reaches 37-39$^{\circ}C$ in August. At the depths of 5 and 10 cm the temperature remains at 33 $^{\circ}C$ and 31$^{\circ}C$ , respectively. 3. The chlorinity of the tidal flat is higher during May through June and lower July through August, and this seems to be related to the amount of rainfall. 4. The chlorinity of the surface of tidal flat increases slightly during the ebb and flow tide periods. The observed higher chlorinity of surface of the tidal flat was 18.82% Cl. 5. At near the esturay, the fresh water that overflows the tidal flat affects the chlorinity of the surface but no such influence to the depth of the flat. 6. From above observations, it is assumed that the young short necked clam in the tidal flat could be exposed to the severe chang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high temperature of the tidal flat in summer and the low chlorinity of it at flood period may be considered as the change in environment.

  • PDF

바지락치패의 폐사에 관한 연구-II 바지락 치패의 온도, 염분, 노출에 대한 저항성 (Studies on the Natural Mortality of the Young Short Necked Clam, Tapes Japonica-II . Resistance to Temperature , Salinity and Exposure for the Young Short Necked Clam)

  • 최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15
    • /
    • 1966
  • In a previous paper, the dirunal and monthly changes of the tidal flat temperature and chlorinity were observed. In this paper the resistance of the young short necked clam in various growth stages to the temperature, to the chlorinity and to the exposure were studies. The young clam used were in early (E), medium (M) and late (L) young stages whose shell lengths were 2.0-3.5mm, 9.0-11.0mm. and 14.0-16.0mm.,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 1. At various sea water temperatures , the chlorinity resistance of the young clam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shell length. 2. When both inadequate sea water temperature and abnormal chlorinity are simultaneously applied, the resistance of these young clams was more markedly reduced than the case of applying either one of these conditions. 3. In clams of M and L, no lethal effect were observed when daily immersion of four to eight hours for a week into the sea water of any concentration of chloriity at 26-34$^{\circ}C$, whereas in E, 37-90% of mortalities were obtained by immersion of eight hours daily into both the fresh water and the sea water of higher chloriniites (more than 23.5$\textperthousand$ Cl) at the same temperature above. 4. The lower critical thermal maximum for lethal to the young clam was 38$^{\circ}C$. With four hours immersion daily at the water temperature of 38$^{\circ}C$, the mortalities of E, M and L to the lower chlorinities (less than 6.7$\textperthousand$Cl) were 100, 70-100 and 27-37% respectively ; to the higher chlorinities (more than 23.5$\textperthousand$Cl) 10-70, 10-37 and 3 % respectively ; to the normal range of chlorinities (13.4-16.8$\textperthousand$Cl) 0-13, 3 and 0 % respectively. 5. No lethal effects were observed in E and M clams immersed continuously for seven days in sea water with chlornities of 7.2 -21.7$\textperthousand$Cl at 18-24$^{\circ}C$, while notable mortalities were observed in E which had been kept at lower (less than 4.8$\textperthousand$ Cl) and higher (more than 24.1$\textperthousand$ Cl) chlorinites. 6. Although the resistance of the young clam to the chlorinity may have to be related closely to the life history of the clam prior subject to the experiment, the adapted chlorinity range was 7.2-19.3$\textperthousand$ Cl and the optimum range was 13.4-16.8$\textperthousand$Cl. 7. Remarkable lethal effects were observed for the E and M clams to the exposure temperature of 38$^{\circ}C$ whereas the L and had no such fatal results.

  • PDF

水畓棲息 모기 幼蟲 및 其他 無脊椎動物 個體群密度에 關한 調査 (A Study on Seasonal Prevalence of the Populations of the Mosquito Larvae and Other Aquatic Invertebrates in Rice Fields in Korea)

  • Ree, Han-Il;Hong, Han-Kee;Shim, Jae-Chul;Lee, Jong-Soo;Cho, Hae-Wol;Kim, Jeong-Lim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51-161
    • /
    • 1981
  • 水畓棲息의 主要 모기 幼蟲과 기타 昆蟲의 個體群密度를 調査하기 위하여 京畿道 高揚郡 條里面 廣탄 3里의 一個 自然部落을 調査地域으로 選定하여 1980年 6月부터 9月末까지 週別로 채집을 實施하였다. 1. Culex tritaeniorhynchus 幼蟲 個體群密度의 계절적 변동은 다량의 降雨후에 급격한 증가 형상을 보였고 살충제 살포에 대해서 어느정도의 감소 영향을 받았다. 2. Anopheles sinensis 幼蟲의 個體群密度는 계절적으로 안정되어 있어 큰 변동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강수량과 살충제 살포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3. Odonata와 Ephemeroptera의 경우는 살충제 살포가 결정적인 억제 요인으로 작용하여 Odonata는 6월 중순의 첫 살포후에, Ephemeroptera는 7월 중순의 두 번째 살포후 각각 완전히 자취를 감추었고 그 후 個體群密度의 회복은 불가능 하였다. 4. Coleoptera의 個體群密度는 週別 변동이 심하였으며 이는 主로 살충제 살포에 의한 결과로 해석된다. 살충제 살포 前週와의 비교에 의한 감소율을 보면 Coleoptera는 69.5% (幼蟲 75%, 成蟲 58.3%)였고, Hemiptera의 경우는 75.5%였다. 5. 水畓에 棲息하는 planaria 1種의 個體群密度는 강수량에 영향을 받으며 살충제 살포에 對한 억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il Boulenger) 피부 과립선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Cutaneous Granular Glands in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 김기영;김관선;문명진;김우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7-119
    • /
    • 1989
  • 무당개구리 피부과립선의 조직화학적 성질과 그 미세구조를 광학, 주사 및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무당개구리의 과립선은 진피에 위치한 단포상선으로서 선강재에 함유된 분비과립의 형태와 그 조직화학적 특성에 따라서 분비과립의 크기가 작은 I형과립선과, 분비과립이 큰 II형 과립선의 두 종류로 구분되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점액선에 비해 선분비부가 잘 발달되어 있었으며, 내강이 없고 인접세포간의 세포경계가 관찰되지 않는 다핵체의 형태를 하고 있었다. 조직화학반응의 결과, 두 종류의 과립선은 Alcian blue에 전혀 반응하지 않았고, PAS반응에는 I형 과립선만이 약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과립선 개구부의 표면구조는 공통적으로 피부에 돌출된 기공과 흡사한 형태를 하고 있었는데, I형 과립선의 개구부는 미세한 망상구조를 가진 세포로 이루어져 있었고, II형 과립선은 비교적 큰 과립상의 표면구조를 가진 세포로 이루어져 있었다. 한편 과립선의 선분비부는 공통적으로 외부의 근상피세포층과 내부의 선상피세포층으로 되어 있었고, 선상피세포층내에 함유돈 각각의 분비과립들은 모두 조면소포체로부터 기원하였으며, 과립의 성숙정도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적 변이가 관찰되었다.

  • PDF

초파리의 성 옆색체의 구성이 제 3옆색체의 분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Study on the Sex Chromosome Dependent Segregation of the Third Chromosome in Drosophila melanogaster)

  • Kang, M.J.;Kang, S.J.;Chung, Y.J.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20
    • /
    • 1970
  • 초파리의 성 염색체의 구성 여하에 따라 그 제 3염색체의 분리가 달라지는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성 염색체의 구성이 다른 8가지 인자형을 만들고 제 3염색체 marker로서 e와 se를 이용하여 se의 분리를 k값으로 검토하고 아울러 성비를 조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e의 분리 즉 k 값은 인자형간에 그리고 성간에 매우 유의적인 차를 보였으며 인자형과 성과의 상호작용도 유의적 차이를 보여 주었다. 이것은 분명히 se 제3염색체의 분리가 성 염색체의 구서에 영향을 받은 것을 말해 준다. 2. k(여) 값이나 k(남)값은 다 같이 인자형간에 유의적 차이를 볼 수 없다. 3. se자손의 성비는 인자형간에 매우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나 e자손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볼수 없었다. 4. 평균적으로 k(남) 값은 k(여)값보다 높고, se자손의 성비는 e자손의 성비보다 높았다. 5. 이러한 결과는 어떤 종류의 prezygotic selection이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할수 있는데, 즉 e 제3염색체와 Y염색체의 조합이 수정전에 감수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종래 초파리 등에서 실시했던 생존력 추정을 재 평가할 필요성을 말해주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