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one Routing Protocol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1초

Wireless Ad Hoc Network에서 보안 영역과 노드 인증을 이용한 보안 라우팅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e Routing using Secure Zone and Nodes Authentication in Wireless Ad Hoc Network)

  • 양환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61-169
    • /
    • 2014
  • Wireless Ad Hoc Network is suitable for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and emergency, disaster recovery and war. That is,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can build a network and use without help of any infrastructure. However, this characteristic is providing a cause of many security threats. In particular, routing attack is not applied the existing routing methods as it is an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accurately whether nodes that participate in routing is malicious or not. The appropriate measure for this is necessary.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cure routing technique through a zone architecture-based node authentication in order to provide efficient routing between nodes. ZH node is elected for trust evaluation of the member nodes within each zone. The elected ZH node issues a certification of the member nodes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ZMTT. The routing involvement of malicious nodes is blocked by limiting the transfer of data in the nodes which are not issued the certification. The superior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echnique is confirmed through experiments.

이동 Ad Hoc 망에 대해 동적 소스 라우팅을 이용하는 단방향 라우팅 프로토콜 (Unidirectional Routing Protocol using Dynamic Source Routing for Mobile Ad Hoc Networks)

  • 곽승욱;이광배;김현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8C권4호
    • /
    • pp.459-468
    • /
    • 2001
  • 실제적인 이동 Ad Hoc 망에서는 단말의 비대칭성이나 무선환경 특성으로 인해 단방향 링크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Zone 라우팅 프로토콜이외의 기존의 이동 Ad Hoc 라우팅 프로토콜은 양방향 링크들만을 지원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라우팅 프로토콜인 DSR(Dynamic Source Routing) 프로토콜이 단방향 링크를 포함하는 이동 Ad Hoc 망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동적 소스 라우팅을 이용한 새로운 단방향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단방향 링크 상에서 효율적으로 구동하기 위해서 제안한 단방향 라우팅 프로토콜은 새로운 경로발견 및 경로유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성능평가를 위해서 미국 버클리 대학의 NS-2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에 제안한 내용을 코드로 삽입시켰으며, 성능평가 파라미터를 얻기 위해 카네기멜론 대학에서 제공한 이동 패턴파일과 연결 패턴파일을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성능평가 항목으로 데이터수신율 및 평균경로 설정시간을 고려하였으며, 제안된 3가지 경로설정 방식들에 대해 비교·평가하였다.

  • PDF

선박 애드 혹 네트워크를 위한 부채꼴 탐색구역 경로배정 프로토콜 (Fan-shaped Search Zone Routing Protocol for Ship Ad Hoc Networks)

  • 손주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5권6호
    • /
    • pp.521-528
    • /
    • 2008
  • 라디오 통신 등의 전통적인 해상통신기술은 단문정보 교환만이 가능한 전송품질을 제공한다. 전송품질의 단점을 극복한 해사위성(Inmarsat) 등을 통한 무선 채널은 경제적 부담으로 접근이 어렵다. 따라서 바다에서 항해, 조업하는 선박들은 육상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이 문제를 극복하는 새로운 기술에 핵심은 해상이동통신망을 단일 홉(Single Hop)에서 다중 홉(Multi Hop)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선박과 선박, 선박과 연안(항구)간의 망을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MANET) 모델로 해석하고 새로운 선박 애드 혹 네트워크(SANET) 모델을 설계하였다. 항구와 항로 같은 정적인 지리정보를 활용하면서 육지의 이동단말기와는 크게 차별화되는 움직이는 선박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대응적으로(Reactive) 경로를 배정하는 부채꼴 탐색구역 경로배정 프로토콜(FSR)을 제안하였다. FSR(Fan-shaped Search Zone Routing)은 최단경로가 있을 수밖에 없는 지엽적 부채꼴 구역을 찾아내 획정하고 그 구역 안에서만 최단경로를 탐색하는 프로토콜이다. 기존의 지리 정보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경로배정 프로토콜인 LAR과 성능을 비교하였다. 첫째, FSR은 LAR을 비롯한 다른 지리정보기반 경로배정 프로토콜과 달리 경로배정을 하기 위해 제어 패킷(Beaconing Packet)을 발생시키지 않아 통신채널 품질저하를 전혀 초래하지 않는다. 둘째, FSR은 경로탐색구역의 경계선의 일부분을 전송경로로 확보하기 때문에 경로탐색성공률을 100% 보장한 반면 LAR은 약 64%의 성공률을 보였다. 셋째, 경로가 탐색된 경우에 한하여 그 경로의 최적성을 상호 비교한 결과 FSR이 LAR의 약 97%이었다. 종합적으로는 FSR이 LAR보다 약 50%의 성능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전달모드 LISP-DDT 매핑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Propagated-Mode LISP-DDT Mapping System)

  • 노승환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5권12호
    • /
    • pp.2211-2217
    • /
    • 2016
  • The Locator/Identifier Separation Protocol (LISP) is a new routing architecture that implements a new semantic for IP addressing. It enables the separation of IP addresses into two new numbering spaces: Endpoint Identifiers (EIDs) and Routing Locators (RLOCs). This approach will solve the issue of rapid growth of the Internet's DFZ (default-free zon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called the Propagated-Mode Mapping System to improve the map request process of LISP-DDT.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임시 경로 설정 유니캐스트를 기반으로 한 향상된 멀티 홉 전송 기법 (Enhanced Packet Transmission in Ad-hoc Networks using Unicast with Temporary Routing)

  • 고성현;유성재;정수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31-140
    • /
    • 2011
  • 스마트 패킷 에이전트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들의 단말에 라우팅 프로토콜 실행모듈과 서비스 실행모듈을 동적으로 제공해주기 위해 제안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이다. 하지만 기존의 스마트 패킷 에이전트는 브로드캐스트 멀티 홉 전송기법을 사용함으로 인해 네트워크 내 트래픽 증가, 구성 노드들의 불필요한 참여, 낮은 전송 속도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브로드캐스트 멀티 홉 전송기법의 패킷 전송 소요 시간을 줄이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개선하기 위한 유니캐스트 기반의 멀티 홉 전송기법을 제안한다. 유니캐스트 기반의 멀티 홉 전송기법은 u-Zone Master가 이동 노드와의 Hop Counter 계산을 통하여 임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게 함으로써, 스마트 패킷 에이전트의 네트워크 트래픽과 패킷 재전송률을 감소시킨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슬라이딩 윈도우 기반의 UDP 전송 방식을 제안하여 기존의 Stop&Wait 방식이 지니고 있던 낮은 전송 속도 문제를 개선하였다. 제안 방식의 개선 사항은 성능 분석의 결과로 입증한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데이타 전달 프로토콜 (An Energy-efficient Data Dissemination Protocol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이승희;이성렬;김종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3권2호
    • /
    • pp.165-174
    • /
    • 2006
  • 매우 제한된 연산능력과 메모리 그리고 소용량 배터리를 가진 센서 노드로 구성된 센서 네트워크에서 플러딩이나 기존에 제안된 애드혹 라우팅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데이타를 전달하는 것은 현실적인 방안이 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ELF(Energy-efficient Localized Flooding)라고 하는 에너지 효율적인 데이타 전달 프로토콜을 제안하고자 한다. ELF 프로토콜은 소스 센서 노드와 이동성을 갖는 싱크 노드 간의 데이타 전달에 있어서 tracking zone이전 까지는 유니캐스트를 통해서 데이타 메시지가 포워딩되며, tracking tone내에서는 지역적인 플러딩을 통해서 데이타가 전달되도록 하여 유니캐스트와 플러딩의 장점을 적절하게 결합하고 있다. 시뮬레이션을 결과에 따르면, ELF는 매우 높은 data delivery ratio를 유지하면서도 average energy consumption 및 average delay는 낮은 특성을 보임으로써 센서 네트워크의 데이타 전달 방법으로써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Ad-hoc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위치도움 협력 전송 방법 (A Location-Aided Cooperative Transmission Method in Mobile Ad-hoc Wireless Sensor Networks)

  • 손동환;이주상;안병구;공형윤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3-2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ad-hoc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전력절약과 안정된 경로의 lifetime을 효과으로 지원하기 위한 위치 기반 협력 도움 라우팅 프로토콜(LACARP : Location-Aided Cooperative-Aided Routing Protocol)을 제안한다. 제안된 라우팅 프로토콜의 기본 아이디어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력 절약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서 위치기반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탐색 영역을 설정한다. 둘째, 전력 절약 및 효율성 있는 전송을 위해서 설정된 경로 탐색 영역 안에서 스몰 존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이다. 셋째, 협력도움 전송 방법이다. 설정된 경로위로 데이터를 전송 할 때 전력절약 및 경로의 lifetime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경로가 설정되지 않은 이웃 노드들로부터 협력도움을 받는다. LACARP의 성능평가는 OPNET(Optimized Network Engineering Tool)을 사용하여 이루어졌으며 성능평가를 통하여 제안된 프로토콜은 경로의 데이터 전송효율과 전력절약 전송 효과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안정 경로 선택 알고리즘 (A Reliable Route Selection Algorithm in Mobile Ad-hoc Networks)

  • 김원익;서영주;안성옥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9권3호
    • /
    • pp.314-323
    • /
    • 2002
  • 유선 네트워크 환경을 위해 설계된 경로 설정 프로토콜들은 대역폭의 제한성과 예측할 수 없는 위상의 변화로 인해 이동 애드혹 (ad-hoc)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최근 들어 애드혹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경로 설정 프로토콜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위상이 급격히 변화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타 전송과 같이 실시간 서비스를 지원하기에는 이러한 애드혹 경로 설정 프로토콜로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위상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활용한 가상 지역 (안정 지역, 경고 지역) 개념을 제안하고 있고 AODV의 경로 설립 과정 시 이러한 가상 지역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이동 단말의 이동성에 의한 위상의 변화에도 잘 적응할 수 있는 안정된 경로의 설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다양한 트래픽 상태와 단말들의 이동성 형태에 따른 중요 변수들을 설명하였으며 이에 따라 제안하는 경로 설정 프로토콜들의 효율성을 검증하고 있다.

Reliable Gossip Zone for Real-Time Communication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Li, Bijun;Kim, Ki-Il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9권2호
    • /
    • pp.244-250
    • /
    • 2011
  • Gossip is a well-known protocol which was proposed to implement broadcast service with a high reliability in an arbitrarily connected network of sensor nodes. The probabilistic techniques employed in gossip have been used to address many challenges which are caused by flood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However, very little work has yet been done on real-time wireless sensor networks which require not only highly reliable packets reception but also strict time constraint of each packet. Moreover, the unique energy constraining feature of sensor makes existing solutions unsuitable. Combined with unreliable links, redundant messages overhead in real-time wireless sensor networks is a new challenging issue.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Reliable Gossip Zone, a novel fine-tailored mechanism for real-time wireless sensor networks with unreliable wireless links and low packet redundancy. The key idea is the proposed forwarding probability algorithm, which makes forwarding decisions after the realtime flooding zone is set. Evaluation shows that as an oracle broadcast service design, our mechanism achieves significantly less message overhead than traditional flooding and gossip protoc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