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oeal stage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3초

박뿔게 (십각목, 단미류, 물맞이게과)의 제 1 조에아 유생 (The first zoeal stage of Hyastenus elongatus (Ortmann, 1893) (Decapoda, Brachyura, Majidae))

  • 고현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1호
    • /
    • pp.1-8
    • /
    • 1997
  • 실험실에서 포란한 박뿔게로부터 제 1조에아 유생을 얻었다. 제 1조에아 유생기의 형태적 특징을 상세히 기재 및 도시하고 이미 보고된 뿔게아과 다른 종의 조에아 유생들과 그 형태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박뿔게와 뿔게의 제 1조에아 유생은 형태적으로 유사하나 갑각후측연부와 구기부속지의 강모수와 등가시의 길이가 서로 다르다. 특히 구기부속지중 제 1소악의 내지 강모수가 다르기 때문에 뿔게유생에 대한 상세한 재기재를 필요로 한다.

  • PDF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Dungeness Crab Larvae in Glacier Bay and Neighboring Straits in Southeastern Alaska: Implications for Larval Advection and Retention

  • Park, Won-Gyu;Shirley, Thomas C.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2권4호
    • /
    • pp.279-286
    • /
    • 2008
  •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larval Dungeness crab, Cancer magister Dana, 1852 were investigated in southeastern Alaska from late May to mid-September in 2004. Larvae were collected during daylight hours at three inner and two outer Glacier Bay stations at the two different depths in the water column, above and below the thermocline. Larval density decreased dramatically for three larval stages, zoeae I(ZI), zoeae IV, and zoeae V(ZV), but relatively little for zoeae II and zoeae III. ZI predominated at all stations in late May and were collected until late July. Larval stages progressed seasonally from ZI to ZV and density decreased from ZI through ZV. The densities of each zoeal stage at the inner and outer bay stations and at the shallow and deep depths were similar. The density of each larval stage above(shallow) and below(deep) the thermocline and between inner and outer bay st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occurrence of larval Dungeness crab is dramatically later than in other parts of the species range, in that larvae appear in abundance beginning in late May. The pattern of spatial distribution of larval stages for the inland waters of Alaska was also markedly different than the patterns reported for Dungeness crab larvae from other parts of the species range, in that the early and intermediate stages occurred within inland waters; from British Columbia to California these larval stages increase in abundance with distance offshore.

좁은뿔꼬마새우(십각목, 생이하목, 꼬마새우과)의 제1조에아 유생과 좁은뿔꼬마새우속의 유생형질 (First Zoea of Heptacarpus rectirostris(Decapoda, Caridea, Hippolytidae) Hatched in the Laboratory, with Notes on the Larval Characters of Heptacarpus)

  • Yang, Hoi-Jeong;Ko, Hyun-S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2호
    • /
    • pp.191-201
    • /
    • 2002
  • 좁은뿔꼬마새우의 제1조에아 유생기를 상세히 재기재·도시하였다. 좁은뿔꼬마새우의 제1조에아 유생은 갑각에 두개의 앞배작은가시와 앞옆모가시를 가져 북방좁은 뿔꼬마새우, 긴좁은뿔꼬마새우 및 H. geniculatus보다 절좁은뿔꼬마새우와 상당히 가깝지만 제4-5배마디에 뒤옆가시를 가지지 않아 절좁은뿔꼬마새우의 제1조에아 유생과 분명하게 구별되었다. 한국근해에 보고된 꼬마새우과 종의 유생기재목록과 좁은뿔꼬마새우속 종에 대한 제1조에아 유생검색표가 제시되었다

긴발줄새우 (십각목, 생이하목, 징거미새우과)의 제1조에아 유생과 징거미새우과 유생의 형태 (First Zoea of Palaemon ortmanni (Decapoda, Caridea, Palaemonidae) Hatched in the Laboratory, with Notes on the Larval Morphology of the Palaemonidae)

  • Yang, Hoi-Jeong;Ko, Hyun-S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2호
    • /
    • pp.181-189
    • /
    • 2002
  • 긴발줄새우 제1조에아 유생기의 형태적인 특징을 상세히 재기재 및 도시하였다. 줄새우속 제1조에아 유생은 제1소악 내지에 1개의 말단 강모와 제2소악 내지에 2+1의 강모를 가져 징거미새우아과내 징거미새우속, Leptocarpus속 Leander 속, Leanderite속, Brachycarpus속보다는 Palaemonetes속에 더욱 가깝다. 한국 연안에 보고된 줄새우속, 징거미새우속, 예쁜이해면속살이새우속의 조에아유생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가시배새우(Lebbeus groenlandicus)의 유생 단계 에너지수지 (Energy Budget of Spiny Lebbeid Shrimp Lebbeus groenlandicus Larvae)

  • 김원기;권오남;박기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801-806
    • /
    • 2013
  • Spiny lebbeid shrimp Lebbeus groenlandicus larvae were reared in the laboratory to estimate the energy budget from the zoeal to the post-larval stage. Energy expended by larvae on growth and respiration was determined from values for feeding, growth, molting, and metabolism. We calculated that 16.22 J were used for growth throughout all larval stages. Energy loss during molting was estimated as 1.03 J, and energy used for respiration was estimated as 1.31 J. Energy taken in by feeding was estimated as 77.16 J, while the sum of energies expended in excretion and egestion was 58.61 J. Larvae were estimated to assimilate 24.6% of ingested food as energy and to use ~85% of the assimilated energy for somatic growth. Gross growth efficiency ($K_1$) and net growth efficiency ($K_2$) were shown to be ~22% and 93%, respectively. Maintenance costs of respiration were estimated as ~9.7% of assimilated energy.

애기비단게(Acmaeopleura parvula Stimpson)의 유생발생 (The Complete Larval Development of Acmaeopleura parvula Stimpson (Brachyura, Grapsidae) Reared in the Laboratory)

  • KIM Chang-Hyun;JANG In-Kwon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43-560
    • /
    • 1987
  • 애기비란게(Acmaeopleura parvula Stimpson)의 유생을 부화에서부터 제1해기까지 12가지의 온도-염도 조건에서 사육하고 각 유생기의 형태적 특성을 기술${\cdot}$도시하였다. 이 종은 5기(가끔 6기가 출현한)의 zoea와 1기의 megalopa 유생을 거쳐 제1해기로 변태하였다. 제1해기까지의 발생기간은 $25^{\circ}C$에서 22-23일, $20^{\circ}C$에서 34-37일, $15^{\circ}C$에서는 50-51일이 소요되었으며, 간기인 6기 zoea는 $15^{\circ}C$에서만 출현하였다. 애기비단게의 유생은 전 zoea기에 걸쳐 갑각의 측극을 결여하고 있는 점에서 참게아과내의 다른 종의 유생들과 구분될 수 있었으며, 납작게 휴생과는 형태적으로 매우 밀접한 유연관계를 보여주었다. 그 밖의 부속지의 특징들이 같은 아과내에 보고된 12종의 유생들과 비교되었다.

  • PDF

한국 동해에 서식하는 대게류(Chionoecetes spp.) 유생의 수직 분포 특성 (Vertic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now Crab Chionoecetes spp. Larvae in the East Sea)

  • 이현규;이보람;이정훈;이승종;지환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221-227
    • /
    • 2023
  •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snow crab Chionoecetes spp. larvae in the East Sea were investigated in April 2021 using the Multiple Opening/Closing Net and Environmental Sensing System (MOCNESS). The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0.86 to 17.2℃, and salinity from 34.0 to 34.7 psu. Zoea I and II occurred range from 29 to 1,982 inds.103 m-3 at 10 stations, and range from 4 to 11 inds.103 m-3 at 3 stations, separately. Therefore, Zoea I occurred in wider area and higher density than Zoea II at all stations. I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larvae, all zoeal stages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30-40 m strata, and the larvae showed nocturnal vertical migration similar to that of most zooplankton. Zoea I appeared in the range from 13.7 to 15.8℃ and occurred at the highest density of 1982 inds.103 m-3 at 14℃. And Zoea II appeared range from 13.4 to 14.5℃ and occurred in the highest density of 11 inds.103 m-3 at 13.4℃. In conclusion, the early larval stage (zoea I) occurred at a higher range of sea surface temperature than later larval stage (zoea II).

꽃게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의 종묘 생산에 관한 연구 (PROPAGATION OF THE BLUE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

  • 변충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87-198
    • /
    • 1970
  • 1970년 7월 11일에 꽃게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의 인공 부화를 실시하여 조이야 유생으로부터 성체형 꽃게 새끼로 된 후 9회 탈피할 패까지의 성장 과정을 조사하였다. 1. 어미 게의 갑폭(C)과 포란수(E)와의 관계는 E=27.9049C-281.8155의 식으로 표시되었고, 체(W)과 포란수 (E)와는 E=0.5682W-116.4606의 관계식으로 표시되었다. 2. 조이야 유생은 수온 $21.4\~25.2^{\circ}C$ 범위에서 5회를 탈피하여 $13\~14$일만에 메갈로파 유생기로 변태하였고, 조이야 유생기의 1회 탈피 기간은 평군 $2\~$일이 소요되었다. 3. 메갈로파 유생의 배갑폭 평균 길이는 1.70mm였고, 배갑 후면에서부터 전두극 끝까지의 길이는 평균 2.78mm였으며 메갈로파 유생기에서 탈피하여 성체형 게로 되는 데까지는 수온 $25.3\~26.9^{\circ}C$범위에서 $5\~6$일이 소요되었다. 4. 최초의 성체형 꽃게 새끼로 변태한 것은 부화 후 18일째였고, 이 때의 평균 갑폭은 4.48mm, 평균 갑장은 2.62mm 였다. 5. 성체형으로 변태한 새끼 꽃게는 $4\~5$일만에 첫회의 탈피를 하였으며, 탈피 후의 평균 갑폭은 6.47mm, 평균 갑장은 4.66mm 였다. 6. 유생 사육은 염분 농도가 높은 실내 수조보다 낮은 야외 탱크가 효과적이었고, 유생 기간의 폐사율은 조이야 1기에서 2기로 탈피할때 가장 높았으며, 새끼 꽃게로 된 후 9회 탈피기까지의 잔존율은 $55\~65\%$였다. 7. 성체형으로 변태한 후 40일간의 경과 일순(D)에 대한 각 수조별 성장식은 다음과 같이 표시되었다. 갑폭(C)은 실내 수조에서 C=1.1250D+1.7227 야외 수조에서 C=1.3465D-0.2449 갑장(L)은 실내 수조에서 L=0.6654D+1.6712 야외 수조에서 L=0.7893D+0.6919 이상과 같이 회귀 직선으로 표시되었고, 체중(W)은 야외 수조에서 $W=1.15e^{0.12423D}$, 실내 수조에서는 새끼 게 변태 후 9일부터 19일까지는 $W=6.759\times10^{-2}D^{1.2598}$이었고, 21일부터 40일 까지에서는 $W=4.136\times10^{-2}D^{1.6024}$ 등 의지수 곡선으로 표시되었다. 8. 성체형으로 변태한 후 9회의 탈피 기간 중 탈피 회수(N)에 따른 갑폭(C)과 갑장(L) 및 체중(W)과의 성장 관계는 $C=5.2e^{0.28119N}$ $L=3.65e^{0.26372N}$ $W= 0.14e^{0.7037N}$ 등의 지수 곡선으로 표시되었다. 9. 성체형으로 변태한 후 9회 탈피까지의 갑장(L)에 대한 갑폭(C)과 체중(W)과의 상대 성장식은 갑장 2.62mm부터 27.17mm(변태 후 40일)까지는 L=1.6864C-1.0387의 회귀 직선으로 표시되었고, 체중은 갑장 7.47mm부터 18.53mm까지(새끼 게 변태 후 23일)는 $W=9.367\times10^{-5}C^{3.5567}$였고, 갑장 22.11mm부터 27.17mm까지(새끼 게 변태 후 40일)는 $W=3.406\times10^{-5}C^{3.8571}$ 등의 지수 곡선으로 표시되었다.

  • PDF

도화새우, Pandalus hypsinotus의 유생발생 (Energy Budget for Larval Development of Pandalus hypsinotus BRANDT)

  • 김대현;이정재;박기영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9-186
    • /
    • 1996
  • 실험실에서 부화시킨 도화새우의 zoea 유생발달에 따른 섭식, 성장, 탈피 및 대사에 관한 에너지수지를 분석하였다. 도화새우의 zoea 전 유생기간중 섭식에 의한 총에너지는 140.88 J이었다. 이중 체성장에 사용된 에너지는 17.07 J이었고 호흡, 탈피 및 배설에 사용된 에너지는 각각 16.22 J, 1.19 J 및 106.40 J이었다. 섭식한 먹이에 대한 동화효율(assimilation efficiency, A/I)은 $24.47\%$였다. 성장으로 전환된 에너지의 총섭식에너지에 대한 백분률인 총성장효율(gross growth efficiency, $K_1$)과 성장으로 전환된 동화에너지에 대한 백분률인 순성장효을 (net growth efficiency, $K_2$)은 각각 $12.96\%$$52.96\%$ 였다. 동화에너지가 체성장과 대사에너지에 사용된 것은 각각 $49.51\%$$47.04\%$였다.

  • PDF

담수산 새우, Macrobrachium nipponense (De Haan)의 증${\cdot}$양식에 관한 생물학적 기초연구 2. 생활사 및 종묘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pagation of the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nipponense (De Haan) Reared in the Laboratory 2. Life History and Seedling Production)

  • 권진수;이복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9-67
    • /
    • 1992
  • 담수산 새우 Macrobrachium nipponense의 생활사와 종묘 생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발생 과정 : 부화된 zoea 유생의 크기는 2.06 mm였고 $15{\~}20$일에 걸쳐 9단계의 zoea 유생기를 거쳐 후기 치하로 변태하였으며 이때의 체장은 5.68 mm였다. 각 zoea 유생 단계는 제 1, 2 안테나의 형태, 제 1, 2 보각의 내${\cdot}$외지의 형태 및 미절과 소악의 형태에 따라 분류할 수 있었다. 2. Zoea 유생기의 환경 : Zoea 유생은Artemia의 유생을 먹고 건강하게 성장하였으며, 수온 $26{\~}28^{\circ}$, 염분도 $7.85{\~}8.28{\%_{\circ}}Cl.$에서 변태율이 $65\~72{\%}$를 보였다. 수온 $26{\~}32^{\circ}C$에서 생존율이 높았으며 (최적 수온 $28^{\circ}C$), 염분 범위 $4.12\~14.08\%_{\circ}Cl.$에서 생존율이 높았고(최적 염분 $7.6\~11.6\%_{\circ}\;Cl.$) 염분도가 적정 범위에서 멀어질수록 특히 높아질수록 zoea 유생기가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담수에서 zoea 유생은 모두 폐사하였다. zoea 유생 발생단계(Y)와 수온(X)와의 관계는 Y=46.09-0.9673X로 나타났다. 3. 후기 유생 및 치하기의 환경 : 후기 유생기의 적정 성장 수온은 $24\~32^{\circ}C$(최적 $26\~28^{\circ}C$)였으며, 치하기까지의 생존율은 $41{\~}63{\%}$를 나타내었다. 수온 $17^{\circ}C$이하에서는 후기 유생의 성장은 중지되었으며 적정 수온 범위내에서는 공식 현상이 더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보였다. 후기 유생기와 치하기의 정상 성장 염분 범위는 $0{\~}11.24{\%_{\circ}Cl.$이었으며 이때의 생존율은 $32{\~}35{\%}$를 나타내었다. 후기 유생기의 최적 염분 농도는 $0\~2.21\%_{\circ}Cl.$였으며 담수에서는 성장이 양호하였으나 순 해수에서는 폐사하였다. 4. Zoea 유생의 먹이 공급 효과 : Zoea 유생기에 먹이로 알테미아의 노플리우스 유생, 노플리우스 유생의 클로렐라에 혼합하여 공급한 것, 윤충류, 인공 플랑크톤을 수조 내에서 먹인 경우 생존과 후기 유생기로의 변태가 진행되었으나 가장 좋은 것은 Artemia nauplius 유생을 Chlorella sp.와 혼합한 물에서 사육하였을 경우였고 이 때의 변태율은 $68{\~}75{\%}$를 보였다. 소 간의 분말, 계란 분말, Chlorella sp.만을 먹인 것은 폐사하였다. 5. 후기 유생과 치하 및 성체의 먹이 : 후기 유생기의 먹이는 Artemia nauplius 유생이나 물벼룩 등 수중갑각류를 공급할 수 있고, 치하기나 성체에는 이들 외에 조개 살이나 어육, 다모환충류, 곡류, 펠렛 사료 등과 사람이 이용할 수 없는 가축의 내장이나 과일 등을 먹는다. 6. 후기 유생과 치하 및 성체의 성장 : 최적 조건 하에서 후기 유생은 매 $5\~6$일마다 변태하였고 치하기까지 2개월이 소요되었으며, 이때의 체장은 1.78 m, 체중은 0.17 g을 나타내었다. 치하의 성장은 4개월 정도에 체장 3.52 cm, 체중 1.07 g으로 성장하였으며 이때 암수의 구별이 수컷의 2차 성징을 나타내는 rudimental processes에 의해 가능하였다. 수컷은 성적 성숙이 후기 유생기로부터 7개월 후에 이루어지며, 이때의 크기는 체장 5.65 m, 체중 3.41 g이었고, 암컷도 $6{\~}7$개월 후에 성적 성숙이 되며 이때 체장은 4.93 m, 체중은 2.43 g이었다. 부화후 $9{\~}10$개월 후에 수컷은 체장 $6.62\~7.14$ m, 체중 $6.68{\~}8.36$ g으로 성장하였고, 암컷은 체장 $5.58{\~}6.08$ m, 체중 $4.04{\~}5.54$ g으로 성장하였다. 7. 방양 밀도 : 수조에서 30일간 사육한 결과 성장과 생존이 양호한 zoea 유생의 최대 밀도는 수량 1l 당 $60\~100$개체였고, 이때의 후기 유생으로의 변태율은 $73{\~}80{\%}$였다. 체장 0.57 m의 후기 유생을 120일간 사육한 결과 적정 밀도는 $1\;m^2$$100{\~}300$개체였고 이때의 생존율은 $78{\~}85{\%}$였으며, 체장 2.72 m의 치하기에 120일간 사육한 결과 적정 밀도는 $1m^2$$40{\~}60$개체였고 생존율은 $63{\~}90{\%}$였다. 체장 5.2 m의 어린 새우의 120일간사육시의 적정 밀도는 $1\;m^2$$20{\~}40$ 개체였으며 생존율은 $62{\~}90{\%}$를 나타내었고, 체장 6.1 m의 경우 60일간 사육한 결과 적정 밀도는 $1\;m^2$$10{\~}$30개체로 나타났고 이때 생존율은 $73{\~}100{\%}$였다. 유생기와 어린 새우의 사육에서 숨을 수 있는 은폐물을 넣어 준다면 위의 밀도를 약 2배 가량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