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n

검색결과 11,788건 처리시간 0.04초

뇌임펄스전류에 의한 ZnO 피뢰기의 열화특성 (Degradation Properties of ZnO Surge Arresters Due to Lightning Impulse Currents)

  • 이수봉;이복희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79-85
    • /
    • 2009
  • 이 논문은 피임펄스전류의 입사에 따른 ZnO 피뢰기의 열화 특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뇌서지에 의한 ZnO 피뢰기의 열화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시료 ZnO 피뢰기에 8/20[${\mu}s$], 2.5[kA]의 표준뇌임펄스전류를 인가하였다. 뇌임펄스전류를 인가한 것과 인가하지 않은 ZnO 피뢰기에 흐르는 상용주파수 AC 및 DC 누설전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임펄스전류의 인가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누설전류는 증가하였고 AC전압에서 누설전류의 비 대칭성은 뚜렷하게 나타났다. 뇌임펄스전류를 인가하지 않은 ZnO 피뢰기의 ZnO 입자는 균일한데 반해 뇌임펄스전류를 인가한 ZnO 피뢰기의 ZnO 입자는 불균일하게 변형되었다. 또한 뇌임펄스전류 인가에 따른 $Bi_2O_3$의 감소가 입계층의 결핍을 발생시키며 입계층의 결핍에 의한 전류의 집중이 ZnO 피뢰기 소자의 비선형 특성의 열화에 대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아연결핍이 흰쥐에서 metallothionein의 발현과 카드뮴의 흡수 및 분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etary Zinc Deficiency on the Expression of Metallothionein, Absorption and Distribution of Cadmium in Rats)

  • 전용욱;최병선;박정덕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9권2호
    • /
    • pp.191-200
    • /
    • 2004
  • Zinc (Zn) is an essential element in biological process, however inadequate Zn status in general population have been recognized. To update the knowledge for Zn-cadmium (Cd) interaction, we studied the intestinal uptake and transport, and the expression of metal transporter proteins (divalent metal transporter 1, DMT1 ; metal transporter protein 1, MTP1 ; zinc transporter 1, ZnTl ; metallothionein 1 , MT1) in duodenum after Cd exposure using Zn deficient animal model. Rats were led Zn deficient (ZnD, 0.5-1.0 mgZn/kg) or Zn supplemented (ZnS, 50mg Zn/kg) diet for 4 weeks, and followed single administration of $^{109}$ CdCl$_2$orally. The body Zn flatus and tissue Cd concentration were determined at 24 hrs after Cd administration. Total body burden of Cd and Cd absorption index (AI, %) were estimated based on the tissue Cd analyzed. DMT1, MTP1, ZnTl and MT1 mRNA were analyzed by using RT-PCR method. Feeding of Zn deficient diet for 4 weeks produced a reduced body weight gain and a depletion of body Zn. Tissue Cd concentration, body burden of Cd and Cd absorption index were higher in the ZnD diet fed rats than the ZnS diet red rats. Especially, Cd concentration in the small intestine (duodenum, jejunum and ileum) and the colon of FeD diet fed rats were higher markedly than in the FeS diet group. The expression levels of DMT1, MTP1 and ZnT1 mRNA in FeD diet fed rats were similar to the FeS diet. The level of MT1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eD than the FeS diet fed rats. Taken together, theses results indicate that Zn deficiency in diet induce an increased intestinal absorption and tissue retention of Cd, and down -regulate the MT1 expression in the intestine which might be play a part of role in Cd absorption and transport in mammalia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eficiency of essential metal could be enhanced the toxicity of toxic, non-esstial metals through the metal-metal interaction.

비타민 A 과잉시 식이 비타민 A의 종류와 Zn 수준이 흰쥐의 Zn 및 비타민 A 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ources of Vitamin A and Zn Levels on Zn and Vitamin A Distribution in Rats Fed Excess Vitamin A Diet)

  • 송병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32
    • /
    • 199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effects of dietary sources of vitamin A and Zn levels on Zn and vitamin A distribution in rats fed excess vitamin A diet. In this study, 40 weanling male rats of the Sprague-Dawley strain, weighing 40-50g, were chosen and divided into for groups by dietary Zn levels and the sources of vitamin A. The two levels of dietary Zn were supplied: adequate Zn(30mg Zn/Kg diet), low Zn(3mg Zn/Kg diet). Excess vitamin A level was 100 times of RDA, retional and $\beta$-carotene were used as the sources of vitamin A. Vitamin A concentration of plasma and liv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ats fed retional than in rats fed $\beta$-carotene (p<0.05), but these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Zn levels. Vitamin A accumulationin the liver appeared to be servere in rats fed retinol and low Zn diet. Zn levels of plasma and liver were not affected by the sources of vitamin A whereas Zn levels of kidney were slightly lower in retinol group, and Zn levels of tes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in rats fed retinol and low Zn diet. Fragility of erythrocytes in hypotonic saline soultion was greater in low Zn groups, whereas the lower fragility was found in adequate Zn groups in feeding excess vitamin A diet.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adequate Zn intake is preferable when excess vitamin A is taken, and $\beta$-carotene intake is more beneficial than retinol in order to diminish toxic effects of vitamin A.

  • PDF

ALD로 성장된 ZnO박막에 대한 질소이온 조사효과 (Study of the Nitrogen-Beam Irradiation Effects on ALD-ZnO Films)

  • 김희수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84-389
    • /
    • 2009
  • ZnO는 육방정계결정구조의 물질로서 3.37 eV의 넓은 띠 간격과 60 meV의 큰 exciton 결합에너지에 따른 높은 효율의 자외선발광으로 짧은 파장의 빛 (녹, 청, 자외선)을 내는 LED (Light Emitting Diode) 분야에서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물질이다. LED제작을 위해서는 n형의 ZnO와 p형의 ZnO가 필요하지만 기본적으로 ZnO은 n형이므로 신뢰성 있는 p형 ZnO박막을 제작하기 위한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LD (Atomic Layer Deposition)로 제작된 ZnO박막에 20 keV의 에너지를 갖는 질소이온을 $10^{13}{\sim}10^{15}ions/cm^2$로 조사한 후 Hall 효과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질소이온 조사에 따른 전기적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수계 내 ZnO 나노입자의 제거 및 생태독성 저감 (Removal of ZnO Nanoparticles in Aqueous Phase and Its Ecotoxicity Reduction)

  • 김현상;김영훈;김영희;이상구
    • 청정기술
    • /
    • 제22권2호
    • /
    • pp.89-95
    • /
    • 2016
  • 화장품이나 타이어에 주로 사용되는 ZnO 나노입자에 대한 나노위해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계상에 존재하는 ZnO 나노입자에 대한 제거 및 생물학적 독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송사리(O. Latipes) 수정란을 이용한 단기 노출평가에서는 5 mg L−1에서는 일부 개체에서 기형이 관찰되었고, 10 mg L−1에서 성장지연에 의한 부화율저감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ZnO 나노입자가 수생생물종에게 독성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인 침전법을 제안하였다. Na2S와 Na2HPO4를 이용하여 ZnO를 ZnS와 Zn3(PO4)2로 전환시켜 침전시켰으며, 이들의 침전에 의한 제거율은 거의 100%에 이르렀다. 또한 해당 침전물 대한 물벼룩(D. magna) 급성독성 평가에서 어떠한 독성 영향도 찾지 못하였다. 이는 ZnO의 황 및 인처리를 통한 변환이 독성 감소에 효과적이었음을 나타낸다.

하수오니 처리 석회질 토양에서의 Cd, Cu 및 Zn 의 수송 특성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Cd, Cu and Zn in a Sewage Sludge-Treated Calcareous Soil)

  • 이상모;조재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12-420
    • /
    • 1999
  • 하수오니 처리 석회질 토양에서의 Cd, Cu 및 Zn의 수송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하수오니 무처리 토양, 하수오니 50과 100 ton $ha^{-1}$ 처리 토양 및 하수 오니를 대상으로 용출현상 (elution development)과 혼성치환 (miscible displacement) 기술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하수오니 50과 100 ton $ha^{-1}$처리 토양의 Cd, Cu 및 Zn 의 용출곡선 (elution curve)과 출현곡선 (breakthrough curve)은 하수오니 무처리 토양의 Cd, Cu 및 Zn의 용출곡선 및 출현곡선과 거의 비슷하였다. Cd, Cu, 및 Zn 10 mg을 처리한 Cd, Cu 및 Zn의 용출곡선은 Cd, Cu 및 Zn을 처리하지 않았을 때의 용출곡선과는 거의 비슷하였으나, Cd, Cu 및 Zn의 50 mg을 처리한 용출곡선과는 크게 달랐다. Cd, Cu 및 Zn 혼합용액 500과 $1000mg\;L^{-1}$을 이용한 Cd, Cu 및 Zn의 출현곡선은 서로 비슷하였으나, Cd, Cu 및 Zn 혼합용액 $100mg\;L^{-1}$을 이용한 출현곡선과는 크게 달랐다. 실험에 사용한 석회질 토양에서 하수오니 50과 100 ton $ha^{-1}$ 처리량은 Cd, Cu 및 Zn의 수송특성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며, Cd와 Zn의 수송특성은 서로 비슷하였으나 Cu의 수송특성은 Cd 과 Zn의 수송 특성과는 크게 달랐다.

  • PDF

가시광선하에서 CdS와 CdZnS/ZnO 광촉매를 이용한 로다민 B, 메틸 오렌지 및 메틸렌 블루의 광분해 반응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Rhodamine B, Methyl Orange and Methylene Blue with CdS and CdZnS/ZnO Catalysts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 전현웅;정민교;안병윤;홍민성;성상혁;이근대
    • 청정기술
    • /
    • 제26권4호
    • /
    • pp.311-32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단순 침전법으로 제조한 CdS 및 CdZnS/ZnO 광촉매를 이용하여 가시광선하에서 로다민 B, 메틸 오렌지 및 메틸렌 블루 등에 대한 광분해 반응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염료와 광촉매의 물리화학적 성질이 전체 광촉매 반응의 반응 경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중점을 두고 검토하였다. X선 회절분석법, UV-vis 확산반사 분광법 그리고 X선 광전자 분광분석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촉매들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CdS 및 CdZnS/ZnO 광촉매 모두 자외선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영역에 있어서도 우수한 광흡수 특성을 나타내었다. 메틸 오렌지의 경우에는 CdS 및 CdZnS/ZnO 각각의 광촉매 상에서 동일한 반응기구를 통해 반응이 진행되는 반면, 로다민 B 및 메틸렌 블루는 각각의 광촉매 상에서 서로 다른 반응 경로를 통해 광분해 반응이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메틸렌 블루의 광분해 반응을 보면, CdZnS/ZnO 광촉매 상에서는 주로 단일분자 형태로 전체 반응이 진행되지만, CdS 상에서는 반응 초기부터 이량체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CdS 및 CdZnS/ZnO 각각의 반도체 광촉매들의 전도대의 띠끝 전위 차이와 염료들의 흡착 특성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기상이동법에 의해 제조된 ZnO 결정의 형상 및 발광 특성에 미치는 TiO 첨가의 영향 (Effect of TiO Addition on Morphologies and Luminescence Properties of ZnO Crystals Fabricated by Vapor Transport Method)

  • 이근형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8권10호
    • /
    • pp.590-594
    • /
    • 2018
  • ZnO micro/nanocrystals are formed by a vapor transport method. Mixtures of ZnO and TiO powders are used as the source materials. The TiO powder acts as a reducing agent to reduce the ZnO to Zn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ZnO micro/nanocrystals. The vapor transport process is carried out in air at atmospheric pressure. When the weight ratios of TiO to ZnO in the source material are lower than 1:2, no ZnO micro/nanocrystals are formed. However, when the ratios of TiO to ZnO in the source material are greater than 1:1, the ZnO crystals with one-dimensional wire morphology are formed. In the room temperature cathodoluminescence spectra of all the products, a strong ultraviolet emission centered at 380 nm is observed. As the ratio of TiO to ZnO in the source material increases from 1:2 to 1:1, the intensity ratio of ultraviolet to visible emission increases, suggesting that the crystallinity of the ZnO crystals is improved. Only the ultraviolet emission is observed for the ZnO crystals prepared using the source material with a TiO/ZnO ratio of 2:1.

ZnO 박막과 금속전극과의 계면특성조사 (The Characterization of Interfaces between ZnO Thin Films and Metal Electrodes)

  • 박성순;임원택;이창효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01-207
    • /
    • 1998
  • 본 연구는 rf reactive magnetron sputtering 방법으로 증착한 ZnO 박막을 압전진동 자로 제작하였을 때 발생하는 금속전극과의 계면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때 ZnO 박막은 금속 아연 target을 산소분위기에서 sputtering하여 얻었다. 미리 얻은 최적성장조건으로 Cr/ZnO/Cr의 구조을 갖는 압전 진동자를 제작한 후, 금속전극과 ZnO 박막과의 계면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작된 압전진동자는 I-V 측정, AES depth profile, SEM, C-V 측정등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고, 이러한 분석 결과 금속전극과 ZnO 박막 사이에 $SiO_2$ 확산방지막을 쌓은 Cr/ $SiO_2$/ZnO/Cr의 구조로 ZnO 압전진동자를 제작했을 때 좋은 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 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제작된 진동자를 구동시키고 이에 대한 인가진동수에 따른 진동 변위를 측정해보므로써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사파이어 기판 위에 증착된 ZnO 박막 특성에 대한 ZnO 버퍼층의 영향 (Effect of ZnO buffer layer on the property of ZnO thin film on $Al_{2}O_{3}$ substrate)

  • 김재원;강정석;강홍성;이상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디스플레이 광소자분야
    • /
    • pp.140-142
    • /
    • 2003
  • ZnO thin films are demanded for device applications, so ZnO buffer layer was used to improve for good properties of ZnO thin film.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ZnO thin films deposited with various buffer thickness was investigated by X-ray diffraction (XRD), Hall measurements, Photoluminescence(PL). ZnO buffer layer and ZnO thin films on sapphire($Al_{2}O_{3}$) substrate have been deposited $200^{\circ}C$ and $400^{\circ}C$ respectively by pulsed laser deposition. It is observed the variety of lattice constant of ZnO thin film by (101) peak position shift with various buffer thickness. It is founded that ZnO thin film with buffer thickness of 20 nm was larger resistivity of 200 factor and UV/visible of 2.5 factor than that of ZnO thin films without buffer layer. ZnO thin films with buffer thickness of 20 nm have shown the most proper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