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n

검색결과 11,788건 처리시간 0.038초

Mg-6Zn-2Cu 및 Mg-6Zn-1.5Si합금의 미세조직 및 석출거동 (Microstructure and Precipitation Behaviour of Mg-6Zn-1.5Si Alloys)

  • 김유영;안인섭;남태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62-367
    • /
    • 1998
  • Mg-6Zn-2Cu 및 Mg-6Zn-1.5Si(wt%)합금의 미세조직 및 석출거동을 조사하였다. 합금은 $4 x 10^{-4}$ 의 진공분위기에서 제조하였고 용체화처리는 $435^{\circ}C$에서 8시간 행하였다. Mg-6Zn합금에 1.5wt.%Si를 첨가한 합금에서는 입계 및 입내에 $10\mu\textrm{m}$-2$\mu\textrm{m}$크기의 구형의 $MgZn_{2}$$Mg_{2}$Si상이 존재한다. 시효경화거동은 용체화처리된 Mg-6Zn-2Cu 및 Mg-6Zn-1.5Si합금에서 조사되었다. 결정립 미세화에 의한 경도증가효과는 Mg-6Zn-2Cu합금계에서 크게 나타났으나, 시효에 의한 경도증가효과는 Mg-Zn-Si합금계에서 크게 나타났다. 시효처리 후 생성된 석출상들은 투과전자현미경 분석결과 Mg-6Zn-2Cu합금에서는$ Mg_{2}$$Zn_{3}$이었고 Mg-6Zn-1.5Si 합금에서는 $Mg_{2}$$Zn_{11}$ /이었다.

  • PDF

답토양(沓土壤)에서의 아연결핍(亞鉛缺乏)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습답(濕畓) 및 토양(土壤)의 유효함량(有效含量)이 낮은 답(沓)에서의 아연(亞鉛) 시용효과- (Studies on Zinc Deficiency in Paddy Soil -II. Effects of zinc application on rice plant on law available zinc and poor drainage soil-)

  • 안종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6권3호
    • /
    • pp.128-136
    • /
    • 1973
  • 수도(水稻) 신품종(新品種) IR-667 에 대(對)한 Zn 시용효과를 배수불량답(排水不良沓)과 유효 Zn이 낮은 토양(土壤)에서 재래품종(在來品種)인 진흥(振興)과 비교(比較)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IR-667 의 생육(生育)에 있어서 Zn 시용(施用)은 배수(排水) 양호(良好)한 답(沓)보다 배수불량답(排水不良沓)에서 비효가 컸다. $ZnCl_2$의 시용효과는 IR-667 이나 진흥(振興)에서 다같이 유의성(有意性)있게 수량(收量)이 증가(增加)하였다. 2. 배수불량(排水不良)한 토양(土壤)에서 수도체(水稻體)의 Zn 함량(含量)은 진흥(振興)보다 IR-667 이 많았다. Zn 시용구(施用區)의 IR-667 의 Zn 함량(含量)은 약(約) 200ppm 이였으나 무시용구(無施用區)에서는 30ppm 이였다. 즉 배수불량(排水不良)한 답(沓)에서는 IR-667 의 Zn 함량(含量)이 약(約) 30ppm 일지라도 Zn 시용효과를 갖어 올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3. Straw 와 Grain 의 Zn-65 흡수(吸收)는 Zn 시용구(施用區)보다 무시용구(無施用區)에서 많았다. 그리고 Zn 무시용구(無施用區)에 있어서의 Zn-65 분포(分布)는 Straw 보다 Grain 에 많았다. 4. 토양(土壤) 유효(有效) Zn 함량(含量)이 낮은 파주(坡州), 달성(達城), 칠곡 및 청원(淸原) 토양(土壤)에서 Zn 시용효과가 있었다.

  • PDF

(p)ZnTe/(n)Si 태양전지와 (n)CdS-(p)ZnTe/(n)Si 복접합 박막의 광도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oto-Conductive Characteristics of (p)ZnTe/(n)Si Solar Cell and (n)CdS-(p)ZnTe/(n)Si Poly-Junction Thin Film)

  • 전춘생;김완태;허창수
    • 태양에너지
    • /
    • 제11권3호
    • /
    • pp.74-83
    • /
    • 1991
  • 본 논문은 substrate의 온도를 $200{\pm}1^{\circ}C$ 정도로 유지하며 진공저항 가열 증착법을 이용하여 (p)ZnTe/(n)Si 태양전지와 (n)CdS-(p)ZnTe/(n)Si 복접합 박막을 제작한 후 그 전기적 특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제작한 (p)ZnTe/(n)Si 태양전지와(n)CdS-(p)ZnTe/(n)Si 복접합 박막에 대하여 $100[mW/cm^2]$의 광조사 하에서 특성을 조사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단략전류$[mA/cm^2]$ (p)ZnTe/(n)Si:28 (n)CdS-(p)ZnTe/(n)Si:6.5 개방전압[mV] (p)ZnTe/(n)Si:450 (n)CdS-(p)ZnTe/(n)Si:250 충실도, FF (p)ZnTe/(n)Si:0.65 (n)CdS-(p)ZnTe/(n)Si:0.27 변환효율[%] (p)ZnTe/(n)Si:8.19 (n)CdS-(p)ZnTe/(n)Si:2.3 제작된 박막은 열처리에 의해 성능이 향상되지만 (p)ZnTe/(n)Si 태양전지는 약 $470^{\circ}C$ 이상의 온도와 15분 이상의 열처리 시간에서 그리고 (n)CdS-(p)ZnTe/(n)Si 복접합 박막은 약 $580^{\circ}C$ 이상의 온도와 15분 이상의 열처리 시간에서는 박막의 각종 구조결함으로 인한 감소현상을 나타내었다. 열처리 온도의 증가에 따라 박막의 표면저항은 감소하였다.

  • PDF

Cu2ZnSnS4 박막 및 소자 특성에 대한 전구체에 Zn 또는 ZnS 타겟을 사용 했을 때의 효과

  • 임광수;유성만;이정훈;신동욱;유지범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407.2-407.2
    • /
    • 2016
  • Cu2ZnSnS4 (CZTS) 박막은 낮은 가격과 유리한 특성을 가지므로서 차세대 박막 태양전지에서 이상적인 흡수층 물질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우리는 CZTS 박막 태양전지를 합성하는 데 있어서 Zn와 ZnS를 전구체에 사용하여 이에 따른 특성 차이를 연구하였다. 열처리 한 박막은 Zn와 ZnS를 사용하였을 때 특성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 분석을 진행하였다. CZTS 박막의 미세구조와 조성 분포, 전기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Zn를 사용한 CZTS 박막은 큰 입자크기와 더 적은 영역에서 Zn가 집중되어 있는 층을 가진다. CZTS와 Mo 경계인 이 영역에 ZnS 2차상이 존재함을 의미하며 Zn 타겟을 사용하였을 때 더 낮은 Zn 조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결과적으로 접합 특성의 향상을 가져온다. 제작 된 CZTS 태양 전지 소자에서 이러한 이유로 Zn를 사용하였을 때 5.06%로 ZnS를 사용하였을 때에 비하여 더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RGB Light Emissions from ZnSe Based Nanocrystals: ZnSe, ZnSe:Cu, and ZnSe:Mn

  • Song, Byungkwan;Heo, Jeongho;Hwang, Cheong-So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12호
    • /
    • pp.3601-3608
    • /
    • 2014
  • RGB light emitting ZnSe based nanocrystals: ZnSe (blue), ZnSe:Cu (green) and ZnSe:Mn (red) were synthesized by capping the surface of the nanocrystals with oleic acid. The obtained nanocrystal powders were characterized by using XRD, HR-TEM, ICP-AES, FT-IR, and FT-Raman spectroscopies. The optical properties were also measured by UV/Vis and photoluminescence (PL) spectroscopies. The PL spectra showed broad emission peaks at 471 nm (ZnSe), 530 nm (ZnSe:Cu) and 665 nm (ZnSe:Mn), with relative PL efficiencies in the range of 0.7% to 5.1% compared to a reference organic dye standard. The measured average particle sizes from the HR-TEM images for those three nanocrystals were 4.5 nm on average, which were also supported well by the Debye-Scherrer calculations. The elemental compositions of the ZnSe based nanocrystals were determined by ICP-AES analyses. Finally, the drawn CIE diagram showed the color coordinates of (0.15, 0.16) for ZnSe, (0.22, 0.57) for ZnSe:Cu, and (0.62, 0.35) for ZnSe:Mn respectively, which were fairly well matched to that of the RGB color standards.

Sn-3.5Ag 솔더와 Zn 표면층의 반응을 통한 솔더 계면현상과 충격 신뢰성에 관한 연구 (Effects of Zn Surface Finish on the Solder Joint Microstructure and the Impact Reliability)

  • 지영근;유진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87-9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Cu위에 Zn를 전기도금 한 후, Sn-3.5Ag 솔더와 반응에 의해서 형성되는 계면의 금속간 화합물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그에 따른 계면의 충격 신뢰성을 분석하였다. Sn-3.5Ag 솔더와 Zn 표면층이 반응하는 동안, Zn 표면층은 솔더 내부로 들어가며, 그 양은 Zn의 도금 두께에 비례하였다. 특히, Zn가 솔더 내로 들어가면서, 계면에서 Cu-Sn 금속간화합물을 억제하는 대신, $Cu_5Zn_8$$Ag_5Zn_8$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계면의 충격 신뢰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솔더 내에 Zn가 약 3.8wt%정도 들어갔을 때 가장 우수한 계면 신뢰성을 유도하였다.

  • PDF

White Light Emission from a Colloidal Mixture Containing ZnS Based Nanocrystals: ZnS, ZnS:Cu and ZnS:Mn

  • Lee, Jae Woog;Hwang, Cheong-So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1호
    • /
    • pp.189-196
    • /
    • 2014
  • Water dispersible ZnS based nanocrystals: ZnS (blue), ZnS:Cu (green) and ZnS:Mn (yellow-orange) were synthesized by capping the surface of the nanocrystals with a mercaptopropionic acid (MPA) molecule. The MPA capped ZnS based nanocrystal powders were characterized by using XRD, HR-TEM, EDXS, FT-IR, and FT-Raman spectroscop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colloidal nanocrystals were also measured by UV/Vis and photoluminescence (PL) spectroscopies in aqueous solvents. The PL spectra showed broad emission peaks at 440 nm (ZnS), 510 nm (ZnS:Cu) and 600 nm (ZnS:Mn), with relative PL efficiencies in the range of 4.38% to 7.20% compared to a reference organic dye. The measured average particle sizes from the HR-TEM images were in the range of 4.5 to 5.0 nm. White light emission was obtained by mixing these three nanocrystals at a molar ratio of 20 (ZnS):1 (ZnS:Cu):2 (ZnS:Mn) in water. The measured color coordinate of the white light was (0.31, 0.34) in the CIE chromaticity diagram, and the color temperature was 5527 K.

GNP 방식으로 제초한 ZnO : Zn의 산소분압에 따른 분말특성 및 형광특성 (Properties of Powder and Fluorescence as a Function of Oxygen Partial Pressure in ZnO : Zn System Prepared by Glycine Nitrate Process)

  • 최우성;박성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8-382
    • /
    • 1999
  • 저 전압용 형광체는 최근에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형광체가 ZnO Zn 녹색 형광체이다. ZnO : Zn 형광체는 자체발광형 형광체로써 ZnO을 환원분위기 하에서 열처리를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발착화 연소반응법(Glycine Nitrate Process)을 이용하여 ZnO : Zn 분말을 합성하고 형광특성 및 분말특성을 알아보았다. 출발물질로는 Zn Nitrate와 Glycine을 이용하였고 자발연소 반웅이 발생하는데 적절한 글리신의 양을 확인하기 위해서 글리신과 양이온의 비를 변화시키며 ZnO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Zn Excess가 생겨난 앙과 그에 따른 형광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N_2$ 분위기 에서 각기 50$0^{\circ}C$, 75$0^{\circ}C$, 95$0^{\circ}C$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행하였다. 제조된 ZnO 분말의 입자형태와 결정상 태는 SEM과 XR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TG-DTA를 측정하여 열처리온도에 따른 질량감소(Zn excess)를 관찰하였다. 또 Particle size analyzer로 분말의 크기를 알아보았고 형광체로써의 발광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PL을 이용하여 발광피크를 관찰하였다.

  • PDF

이온층 에피택시법을 이용한 ZnO/Zn(OH)2 나노시트의 합성 (Synthesis of ZnO/Zn(OH)2 Nanosheets Using Ionic Layer Epitaxy)

  • 정규현;남동현;류경희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53-160
    • /
    • 2022
  • ZnO nanosheets have been used for many devices and antibacterial materials with wide bandgap and high crystallinity. Among the many methods for synthesizing ZnO nanostructures, we report the synthesis of ZnO/Zn(OH)2 nanosheets using the ionic layer epitaxy method, which is a newly-developed bottom-up technique that allows the shape and thickness of ZnO/Zn(OH)2 nanosheets to be controlled by temperature and time of synthesis. Results were analy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atomic force microscopy. The physical and chemical inform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ZnO/Zn(OH)2 nanosheets were compared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d X-ray diffraction patterns after various post-treatment processes. The crystallinity of the ZnO/Zn(OH)2 nanosheets was confirmed using 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is study presents details of the control of the size and thickness of synthesized ZnO/Zn(OH)2 nanosheets with atomic layers.

아연 나노 입자와 산화아연 나노 입자의 특성과 식물독성 (Characterization and Phytotoxicity of Zn, Zn Oxide Nanoparticles)

  • 김성현;백주형;송이레;신민주;이인숙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129-1134
    • /
    • 2009
  • 나노기술이 발전하면서 나노 입자의 특성과 나노 독성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나노 입자의 식물독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Zn, ZnO 나노 입자의 각 농도 별로 오이 묘목을 수경 재배하여 식물독성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Zn, ZnO 나노 입자의 특성은 deionized water에서 보다 영양용액에서 응집이 더 일어났다. 오이 묘목의 생체량은 100 mg/L 이상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독성은 $Zn^{2+}$> Zn> ZnO 나노 입자순으로 나타났다. TEM 사진 결과, Zn, ZnO 나노 입자는 뿌리 세포벽에 붙어 있었으며 뿌리 세포 내에서도 응집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