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n$^{+2}$/Fe$^{+2}$ 이온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31초

몇 개의 전이금속 이온과 고분자와 고분자 Complex의 합성과 특성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mer and Polymer Complex with Some Transition Metal Ions)

  • Badr, S.K.;Mohamed, T.Y.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43-48
    • /
    • 2010
  • p-페닐렌 디아민과 maleic anhydride, 아세틸 아세톤과 커플된 O-아미노 페놀의 아조화합물으로 부터 폴리이미드가 만들어졌다. 합성된 폴리이미드(PA)는 DMF용매 속에 다른 몰비율로 녹아있는 $Co^{+2},\;Cr^{+2},\;Ni^{+2},\;Cu^{+2},\;Zn^{+2},\;Cd^{+2}$ and $Fe^{+3}$ 를 포함하는 전이금속이온들의 금속염들과 함께 환류되었다. 이 complex들은 원소분석과 열분석, IR, $^1H$ NMR으로 구조분석, 특성 연구되었다.

황련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Extract from Coptis chinensis Franch)

  • 김용주;이문조;박진우;김준기;최달영;김철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41-246
    • /
    • 2000
  • 상용되는 한약재의 하나인 황련(Coptis chinensis Franch)를 열수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의 유지에 대 한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다. 즉 황련 추출물과 항산화제인 BHT, ascorbic acid 및 $\alpha$-tocopherol을 각 각 linoleic acid에 소정량 첨가하고 5$0^{\circ}C$에서 일정기간 저장하여 linoleic acid의 산화 안정성을 비교 검 토하였으며, 또한 유지 자동산화의 촉진인자인 금속이온(Fe3+, Zn2+)을 첨가하여 황련 추출물의 금속이 온 봉쇄효과를 조사하였다. 황련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항산화 효과는 전 농도별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 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시간 경과에 따른 항산화 효과에 있어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각 농도(5mg 및 10mg)에서 유도기의 연장효과가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황련 추출물과 항산화제와의 비교 에 있어서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 및 ascorbic acid와 거의 같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으며, 천연 항산 화제인 $\alpha$-tocopherol보다는 아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황련 추출물의 금속이온 봉쇄효과에 있어서 는 linoleic acid에 황련 추출물과 Fe3+ 및 Zn2+을 첨가한구가 황백 추출물의 무첨가구보다 항산화 효과 가 아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금속이온 봉쇄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일광 폐광산 갱내에서 유래된 산성광산배수의 중금속 유출특성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Acid mine Drainage from the Abandoned Ilgwang Mine)

  • 강동환;권병혁;유훈선;김선옥
    • 지질공학
    • /
    • 제20권1호
    • /
    • pp.79-87
    • /
    • 2010
  • 본 연구지역에서 2009년 3월부터 9월 사이에 5개 지점(배경수(BW), 산성광산배수(AMD0, AMD1, AMD2, AMD3))에서 수온, pH, Eh, EC, DO 성분 등이 현장에서 6회 관측되었으며, 폐광산 갱내 출구부(AMD0) 지점에서는 유량이 측정되었다. 일광 폐광산에서 유출되는 산성광산배수는 pH 3 이하의 강산성수이며, Eh 성분은 400~600 mV의 범위이었다. 산성광산배수의 EC 값은 주변 배경수에 비해 10배 이상 높았으며, DO 성분은 유출지점 하류부로 갈수록 대기와의 접촉을 통해 그 값이 증가되었다. 산성광산배수 내 중금속 이온의 농도는 Fe > Cu > Zn > Mn > As > Cd 순이었으며, Fe 성분의 농도가 81.870~474.30 mg/L 로서 가장 높았다. 중금속 성분별 최대농도 관측시기는 5월(As, Cd), 6월(Fe), 7월(Cu, Zn, Mn) 이었으며, 최소농도는 4월(Cd, Mn)과 9월(Fe, Cu, Zn, As)에 관측되었다. 산성광산배수에 용존된 중금속의 유출질량은 Fe 성분 53.44 kg, Cu 성분 6.25 kg, Zn 성분 5.26 kg, Mn 성분 2.13 kg, As 성분 0.14 kg, Cd 성분 0.04 kg 정도이었다. 폐광산에서 갱내에서 1일 동안 유출되는 6개 중금속의 전체 질량은 67.26 kg 이었으며, Fe 성분이 전체 유출질량의 79% 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시차펄스전압전류법에서 도데실황산나트륨이 수식된 유리탄소전극에 의한 선택성 있는 철(III) 이온의 정량 (Differential Pulse Voltammetric Determination of Iron(III) Ion with a Sodium Dodecyl Sulfate Modified Glassy Carbon Electrode)

  • 고영춘;김진아;정근호
    • 분석과학
    • /
    • 제10권6호
    • /
    • pp.427-432
    • /
    • 1997
  • 도데실황산나트륨(SDS)이 수식된 유리탄소전극에 의해 철(III) 이온의 정량분석이 선택성 있게 제안되었다. 이것은 SDS와 $Fe^{3+}$의 정전기적 인력으로 착물이 형성되는 데 근거한 것이다. 철(III) 이온의 정량분석은 시차펄스전압전류법(DPV)에 의해 하였고, 그 정량분석을 위한 $(DS^-)_n-Fe^{3+}$의 환원 피크는 +0.466(${\pm}0.002$)volt (vs. Ag/AgCl)였다. 철(III) 이온의 정랑분석을 위한 검량선은 $0.50{\times}10^{-5}{\sim}10{\times}10^{-5}mol/L$의 농도 범위에서 얻었으며, 검출한계는 $0.14{\times}10^{-5}mol/L$였다. $Cu^{2+}$, $Ni^{2+}$, $Co^{2+}$, $Pb^{2+}$, $Zn^{2+}$$Mn^{2+}$는 철(III) 이온의 정량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CN^- $$SCN^-$은 철(III) 이온의 정량을 크게 방해하였다.

  • PDF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희토류 원소의 분리와 회수 (Separation and Recovery of Rare Earths by Ion Exchange Chromatography)

  • 차기원;박광원;홍성욱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612-638
    • /
    • 1997
  • 모나자이트광 속에 포함되어 있는 회토류 원소들을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분리 회수 하는 방법에 관해 연구하였다. 이온교환수지로는 양이온교환수지와 음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고, 용리액으로는 EDTA, DTPA, IMDA, Ln-EDTA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양이온교환수지는 retaining 이온 곧 $H^+, Zn^{2+}, Fe^{3+}, Al^{3+}, Cu^{2+}, NH^+_4$으로 치환된 수지를 사용하였다. 음이온교환수지는 EDTA로 치환된 수지에 Ln-EDTA착물을 흡착시켜 분리하였다. 여러 가지 회토류 원소 중에서 선택적으로 한 원소만 분리하기 위해 용리액으로 Ln-EDTA를 사용하였으며, 수지통의 크기 변화와 여러 가지 용리형태의 메카니즘, 그리고 다량의 회토류 원소를 분리 회수하는 방법 등에 관해 연구하였다.

  • PDF

서로 다른 다가이온을 함유한 음극선관 전면유리 용융체의 Square Wave Voltammetry (Square Wave Voltammetry in Cathode Ray Tube Glass Melt Containing Different Polyvalent Ions)

  • 김기동;김효광;김영호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297-302
    • /
    • 2007
  • With aids of square wave voltammetry (SWV) the redox behavior for various combination of polyvalent ions (Sb+Fe, Sb+Zn, Sb+Ce+Ti+Zn) was investigated in alkali-alkaline earth-silica CRT (Cathode Ray Tube) glass melts. The current-potential curve so called voltammogram was produced at temperature range of 1400 to $1000^{\circ}C$ under the scanned potential between 0 and -800 mV at 100 Hz. In the case of the Sb+Fe and Sb+Zn doped melts, peak for $Sb^{3+}/Sb^0$ shown voltammogram was shifted to negative direction comparing to the only Sb doped melts. However, according to voltammogram of Sb+Ce+Ti+Zn doped melt, Ti and Ce except Zn had hardly any influence on the redox reaction of Sb. Based on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peak potential, standard enthalpy (${\Delta}H^0$) and standard entropy (${\Delta}S^0$) for the reduction of $Fe^{3+}$ to $Fe^{2+}$, $Sb^{3+}$ to $Sb^0$, $Zn^{2+}$ to $Zn^0$ and $Ti^{2+}$ to $Ti^0$ in each polyvalent ion combination of CRT glass melts were calculated.

효모에 발현된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 Cellulase gene MsGHF45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Cellulase Gene (MsGHF45) from Monochamus saltuarius Expressed in Yeast)

  • 고현진;고현준;홍순관;박용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2호
    • /
    • pp.261-267
    • /
    • 2016
  • 화석연료의 고갈 문제로 인하여 다양한 대체에너지가 개발 중이며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에탄올 연구의 초석으로 사용하기 위해 곤충의 효소를 연구하였다.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 Gebler)가 지닌 cellulase (MsGHF45) 유전자를 Kluyveromyces lactis에 형질전환 시켰다. 형질전환 된 효모는 활성이 있는 cellulase 효소를 성공적으로 생산하였다. 재조합 MsGHF45의 분자량은 SDS-PAGE와 western blot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효소의 활성은 기질로써 carboxymethyl cellulose를 첨가한 native-PAGE를 통해서 검증하였다. 효소 활성의 최적조건을 알아본 결과, pH는 5에서, 온도는 $40^{\circ}C$에서 나타났다. 바륨이온($Ba^{2+}$)과 철이온($Fe^{2+}$)은 효소활성을 저해하지 않았으나, 칼슘이온($Ca^{2+}$), 코발트이온($Co^{2+}$), 구리이온($Cu^{2+}$), 수은이온($Hg^{2+}$), 마그네슘이온($Mg^{2+}$), 망간이온($Mn^{2+}$) 그리고 아연이온($Zn^{2+}$)은 활성을 저해하였다. 특히, 수은이온은 효소활성을 66.5% 감소시켰다. 본 연구는 다양한 효소를 이용한 biofuel 연구에 참고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에서 붕소의 시용이 목초의 여러 특성에 미치는 영향 - IV. 목초 중 미량요소(Fe, Mn, Cu, Zn과 B)의 함량 변화 - (Effects of Boron Application on the Forage Traits in the Pure and Mixed Cultures of Orchardgrass and White Clover - IV. Changes in the contents of micronutrients(Fe, Mn, Zn, Cu, and B) in forages -)

  • Jung, Yeun-Kyu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79-186
    • /
    • 2003
  •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에서 미량요소 붕소(B)의 시비수준별 목초의 생육상, 뿌리/근류 형성, 수량성, 양분의 함량 및 초종간 경합지수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명하였다. 처리내용은 다량 및 미량요소 시비를 동일하게 한 조건에서 5 수준의 붕소 처리: 1) $B_{0}$ ; 0.0, 2) $B_1$; 0.2, 3) $B_2$; 2.0. 4) $B_3$; 6.0, 5) $B_4$; 15.0me B/pot로 glasshouse에서 pot시험으로 수행하였다. I보(생육상), II보(수량성), III보(조단백질)에 이어서 본 IV보에서는 목초 중미량요소(Fe, Mn, Cu, Zn 및 B)의 함량 및 이들의 충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 예취가 진행되어 감에 따라서 두 목초 중 B-함량이 공히 낮아졌고, B 시비수준간 차이도 줄어들었다. white clover에서 B-함량이 B$_{0}$ 처리구는 B$_2$ 처리구 보다 약간 낮았지만 수량성은 큰 차이를 보였고, 이는 $B_{0}$ 처리구의 잠복성 붕소결핍에 기인한 것으로 보였다. 이에 비해서 orchardgrass는 상대적으로 더 큰 차이와 예취 후반기에 크게 낮아졌지만 수량차이는 미약하였다. 2. 일반적으로 목초 중 Fe, Mn, Cu 및 Zn의 함량은 우선 초종, 단파/혼파재배 및 다양요소추비의 시비 여부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으며, B 시비수준별 이들의 함량 변화는 미량요소의 종류와 상기 조건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3. white clover 중 Fe-함량은 적정 B 처리구 ($B_2$)에 비해서 $B_{0}$$B_4$처리구에서는 낮았다. 이는 $B_{0}$$B_4$ 처리구에서 뿌리발육의 저해/수량감소 특성과 연관된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orchardgrass는 일관성을 보이지 안 했다. 두 목초 중 Mn, Cu 및 Zn의 함량에 미치는 붕소시비의 영향은 일관성을 보이지 안 했다. 4. 붕소 시용수준이 미량요소 양이온 총 농도((Fe+Mn+Cu+Zn)에 미치는 효과는 미약하였다. 일반적으로 충 농도의 변화는 Mn과 Zn의 함량에 밀접한 영향을 받았고, 반면에 Fe과 Cu의 함량은 경미한 영향을 보였다. white clover 중총 농도는 혼파보다 단파재배에서 더 높았다.

주석도금폐액으로부터 이온교환 및 사이클론 전해채취를 이용한 고순도 주석의 회수 (Recovery of High Purity Tin from Waste Solution of the Tin Plating by Ion-exchange and Cyclone-electrowinning)

  • 강용호;신기웅;안재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5권4호
    • /
    • pp.42-48
    • /
    • 2016
  • 주석도금폐액으로부터 고순도 주석 금속을 회수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주석도금폐액을 Iminodiacetic 관능기를 가진 이온교환수지(Lewatit TP 207)를 사용하여 1차적으로 유기물 및 Fe, Zn, Na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였고, 2차적으로 Ethylhexyl-phosphate의 관능기를 가진 이온교환수지(Lewatit VPOC 1026)를 사용하여 잔류하고 있는 불순물들을 모두 제거하여 고순도의 주석용액으로 회수하였다. 회수된 주석용액으로부터 고순도 금속주석으로 회수하기 위하여 사이클론식 전해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전해채취 결과 약 99.98% 순도의 주석을 회수할 수 있었다.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 재배에서 미량요소(Fe, Mn, Cu, Zn, Mo, B)의 조합시비가 목초의 여러 특성에 미치는 영향 II. 초종별 건물수량 및 식생 경합지수의 변화 (Effects of Combined Micronutrient(Fe, Mn, Cu, Zn, Mo and B) Application on Forage Traits in Pure and Mixed Swards of Orchardgrass and White Clover II. Changes in the yields and concurrence index of forage plants)

  • 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7-246
    • /
    • 2003
  •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조건에서 미량요소 Fe, Mn, Cu, Zn, Mo 및 B의 조합시비가 목초의 생육, 개화, 수량, 양분 함량 및 식생구성비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다량료소 양분을 동일 량 시비한 조건에서 7 수준의 미량요소 조합시비는 T$_1$; 대조구, T$_2$; Fe, T$_3$; Fe+Mn, T$_4$; Fe+Mn+Cu, T$_{5}$; Fe+Mn+Cu+Zn, T$_{6}$;Fe+Mn+Cu+Zn+Mo 및 T$_{7}$; Fe+Mn+Cu+Zn+Mo+B로 하였다. 본 II집에서는 조합시비가 목초의 건물수량 및 식생구 성비율/경합지수 특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 조합시비가 수량에 미치는 효과는 초정, 재배방법(단파/혼파), 추파(특히 N) 및 예취 회수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조합시비의 효과가 orchardgrass보다 white clover(특히 혼파재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두 목초 공히 T$_{7}$ 에서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으며 붕소(B)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조정자 역할을 한 것으로 보였다. 2. 단파재배에서 두 목초의 수량은 T$_{7}$과 T$_2$에서 높았으며 그리고 T$_3$와 T$_{6}$ 에서 낮았다. Fe/Mn/Cu/Zn, Fe/Mo, Mo/B 및 ∑양이온/∑음이온간 비율이 상대적으로 조화된 T$_{7}$에서 수량이 가장 양호하였다. 그리고 Fe${\times}$Mn${\times}$Mo${\times}$B 간다종 교호작용이 있으며 이 때 B의 조정자 역할이 큰 것으로 보였다. white clover에 대한 이러한 효과는 추파 시보다 무추파(특히 N) 시에 더 크게 나타났다. 3. 혼파재배에서는 조화된 조합시비는 white clover의 식생구성비율과 수량제고에 상대적으로 더 긍정적 이였다. 반면에 orchardgrass는 반대적인 경향을 보였고(특히 무추비 시), 단지 T$_{7}$에서만 대조구(T$_1$)와 비슷한 수량을 보였다.다.한 수량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