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ea mays

검색결과 362건 처리시간 0.025초

Bacillus subtilis가 Corn ( Zea mays L. ) , White Clover ( Trifolium repens L. ) 및 Tall Fescue ( Festuca arundinacea Schreb. ) 유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ets of Bacillus subtilis on Growth of Seedings in Corn ( Zea mays L. ) , White Clover ( Trifolium repens L. ) and Tall Fescue ( Festuca arundinacea Schreb. ))

  • Park, Ki-Chun;Chang Youn;Kim, Dong-Am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5-204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agonistic microorganism, Bacillus subtilis, on the growth of forage seedlings in repeated cultivation soils and unrepeated cultivation soils. The field experiment was wnducted in pots in a vinyl house using repeated and unrepeated cultivation soils. Forage types were 'Suwon 19' wrn(Zea mqs L.), 'Califbmia' white clover(Tr~oIium repens L.) and 'Fawn' tall fescue (Festuca arundianacea Schreb.). Samples of white clover and tall fescue were taken h m each pot at 36 days after seeding. Samples of wm were examined at 50 days after seeding. The most active antagonistic bacterium was isolated h m forage rhizosphere soil, and selected by reference to it's antagonistic ability on the growth of pathogenic fungi, Rhizoctonia solmi and Fusarium oxyspomm, and it was identified as Bacillus subtilis. This strain strongly suppressed the growth of fungal pathogens among isolated rhizobacteria. The dry weight of forage shoots and roots cultivated in unrepeated cultivation soils was higher than that cultivated in repeated cultivation soils. The dry weight of forage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 inoculation of the antagonistic bacterium, Bacillus subtilis, in both repeated cultivation soils and unrepeated cultivation soils. In conclusion, the growth of forage was more affected by the inoculation of the antagonistic bacterium in unrepeated cultivation soils than that in repeated cultivation soils, and bacterization of forage with B. subtilis resulted in an inrreased yield.

  • PDF

옥수수(Zea mays) 뿌리의 초기 생장에 미치는 CsCl의 영향 (Effects of CsCl on the Early Root Growth of Maize (Zea mays))

  • 박웅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98-30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발아 후 2일된 옥수수 유식물의 뿌리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5 mM에서 30 mM에 이르는 CsCl을 처리하였을 때 옥수수 뿌리와 자엽초 마디 위쪽 shoot의 생중량이 감소하였다. 뿌리의 길이 생장도 역시 동일한 농도 범위의 CsCl에 의하여 감소하였는데 CsCl을 처리할 때 60 mM의 KCl을 함께 처리하면 CsCl에 의하여 감소되었던 신장 생장이 일부 회복되었다. CsCl과 KCl의 관계를 Lineweaver-Burk plot으로 분석한 결과 10 mM - 30 mM CsCl은 KCl과 경쟁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5 mM CsCl은 경쟁관계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나타나 주변의 CsCl 농도에 따라 KCl의 작용 모드가 다른 또 하나의 메커니즘이 존재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CsCl의 농도에 따라서 KCl과의 상호작용 모드가 달라지는 현상은 CsCl에 의하여 유도되는 옥수수뿌리 정단 하부의 횡축 팽창에서도 관찰되었다. 또한, CsCl은 10 mM 이상에서 농도 증가에 비례하여 $K^+$ transporter인 ZmKUP1의 발현을 유도하였지만 5 mM CsCl의 ZmKUP1 발현 효과는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CsCl 존재 하에서도 근단 분열 조직의 수축은 관찰되지 않았다. 종합하면, 외부에서 처리된 CsCl은 2일된 옥수수 유식물의 뿌리의 생중량과 신장을 감소시켰으며 정단 하부의 횡축 팽창을 유도하고 ZmKUP1의 발현을 촉진하였다. 그러나 근단 분열조직의 수축은 없었으므로 CsCl의 효과는 주로 세포 팽창과 관련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Cs^+$$K^+$의 경쟁 및 비경쟁적 상호작용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적인 메커니즘이 존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유채의 녹비 환원에 의한 질소무기화 및 옥수수의 질소 흡수 (Incorporation of Winter Rapeseed (Brassica napus) as Green Manure on Mineralization and Uptake of Nitrogen to Succeeding Corn (Zea mays L.))

  • 최봉수;홍기찬;성좌경;남재작;임정은;이현용;양재의;옥용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81-391
    • /
    • 2009
  • 녹비 작물의 이용은 화학비료의 사용을 대체하고 물질순환에 의한 안전한 농작물 생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바이오디젤 생산의 원료로 이용되는 유채 종자의 유채의 녹비 환원에 의한 질소무기화 및 옥수수의 질소 흡수 389 수확 후 잔유물의 녹비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유채 수확 후 잔류물의 질소함량은 0.53%로 낮았으며 탄질율은 63으로 나타났다. 유채 잔유물의 부숙기간 없이 환원 직후 파종한 처리구는 옥수수의 질소 흡수를 지연시켰으며, 생육에서도 30일간 부숙기간을 설정한 처리구의 옥수수보다 억제되어 유채 잔유물의 녹비 환원 직후 후작물의 파종은 주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채 잔유물의 녹비 환원 90일 후 질소무기화는 암모늄태 질소(24.2mg/kg)보다 질산태 질소(58.4mg/kg)에서 높았으며, 방출된 무기태 질소에 대한 옥수수의 흡수 및 이용량은 부숙기간 없이 환원 직후 파종한 처리구와 30일간 부숙기간을 설정한 처리구에서 각각 86%와 88%로 나타났다.

  • PDF

옥수수의 노균병 저항성 증대를 위한 저항성 유용유전자 발굴 (Identification of novel genes for improvement of downy mildew resistance in Zea mays)

  • 민경도;김효철;김경희;문준철;이병무;김재윤
    • 환경생물
    • /
    • 제37권4호
    • /
    • pp.493-502
    • /
    • 2019
  • 본 연구는 옥수수 재배 시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노균병 저항성과 관련된 유전자 후보군을 탐색해서 노균병으로 인한 토양오염과 옥수수 생산량 감소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균병 저항성 품종을 효율적으로 발굴하기 위한 연구이다. 옥수수의 6번 염색체의 152,892,333과 154,335,437 사이에 있는 노균병 저항성 유전자를 탐색하였으며 이 부분에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사체에서 38개의 프라이머 세트를 디자인하여 이 중 16개의 예측 전사체를 가려 내었다. 또한 RT-PCR을 수행하여 감염된 Ki11의 발현이 높은 7개의 전사체로 5개의 품종에 대하여 건강한 샘플과 감염된 샘플을 검정하였고 최종 5개의 후보 유전자군[알려지지 않은 미확인 유전자 2개, OFP transcription factor, bZIP transcription factor, pentatricopeptide repeat (Ppr)]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추가적인 실험 설계를 통해 5개의 후보 유전자군에 대한 재검정을 통하여 확실한 노균병 저항성 유전자를 발굴하고 이를 노균병 저항성 품종 개발 및 방재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옥수수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3요소 비료의 효과 (Effects of NPK Fertilizers on Antioxidant Activity of Corn(Zea mays L.))

  • 서영호;허남기;정영상;이해익;민황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5-91
    • /
    • 2000
  • 옥수수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N-P-K의 시비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찰옥 2호와 수원 19호 두 품종을 대상으로 시비량에 따른 옥수수의 항산화 활성과 tocopherols, 페놀화합물, carotenoids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시비 수준은 N, P, K 각각에 대한 표준 시비량과 이의 1/2 및 2배 그리고 무비이었다. 찰옥2호의 항산화 활성은 19.0~22.2%로, 수원19호보다 높았다. 찰옥 2호의 항산화 활성은 표준 시비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처리간의 유의성은 없었고, 수원19호의 항산화활성과 항산화 성분 함량은 질소 2배 시용구에서 높았다. Tocopherols, 페놀화합물, carotenoids의 함량은 찰옥2호의 경우 각각 30.0~38.1, 104.7~118.8, $0.1{\mu}gml^{-1}$였고, 수원19호는 각각 16.7~20.1, 59.9~72.7, $35.5{\sim}50.0{\mu}gml^{-1}$로 항산화 활성과 마찬가지로 변이폭이 작고, 시비량에 따른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ASI와 항산화 활성은 옥수수의 수량과 정상관이 있었으며, 항산화 활성은 tocopherols, 페놀화합물의 함량과 정상관이 있었으나 carotenoids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옥수수의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성분 함량은 품종간 변이의 영향이 시비량에 의한 환경변이의 영향보다 큰 것으로 보인다.

  • PDF

한우퇴비 시용에 따른 옥수수(Zea mays L.)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anwoo (Korean Native Cattle) Manure Compost Application in Soil on the Growth of Maize (Zea mays L.))

  • 변지은;이준경;박민수;조나연;김수량;홍성하;이병오;이명규;황선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3호
    • /
    • pp.164-171
    • /
    • 2022
  • 화학비료 처리구가 한우퇴비 처리구보다 출웅기는 2일, 출사기는 4일정도 빨랐다. 초장은 생육초기에는 화학비료 처리구가 가장 길었으나 생육후기(정식 55일차)에는 한우퇴비 처리구가 화학비료 처리구보다 초장이 길었다. 이는 화학비료 처리구가 한우퇴비 처리구보다 출사기가 빨라 화학비료 처리구의 생장기간이 한우퇴비 처리구보다 짧았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수확 후 이삭길이는 한우퇴비 시용 처리구에서 가장 길었으며, 이삭 직경, 이삭무게, 백립중의 경우에는 화학비료 처리구와 한우퇴비 시용 처리구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종합적으로 한우퇴비 시용 시 이삭길이의 경우에는 한우퇴비 시용하는 것이 더 길었으며, 이삭무게와 백립중은 화학비료 시용 시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한우퇴비가 화학비료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