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ONATION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36초

Forest Fire Risk Zonation in Madi Khola Watershed, Nepal

  • Jeetendra Gautam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40권1호
    • /
    • pp.24-34
    • /
    • 2024
  • Fire, being primarily a natural phenomenon, is impossible to control, although it is feasible to map the forest fire risk zone, minimizing the frequency of fires. The spread of a fire starting in any stand in a forest can be predicted, given the burning conditions. The natural cover of the land and the safety of the population may be threatened by the spread of forest fires; thus, the prevention of fire damage requires early discovery. Satellite data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can be used effectively to combine different forest-fire-causing factors for mapping the forest fire risk zone.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mapping forest fire risk in the Madikhola watershed. The primary causes of forest fires appear to be human negligence, uncontrolled fire in nearby forests and agricultural regions, and fire for pastoral purposes which were used to evaluate and assign risk values to the mapping process. The majority of fires, according to MODIS events, occurred from December to April, with March recording the highest occurrences. The Risk Zonation Map, which was prepared using LULC, Forest Type, Slope, Aspect, Elevation, Road Proximity, and Proximity to Water Bodies, showed that a High Fire Risk Zone comprised 29% of the Total Watershed Area, followed by a Moderate Risk Zone, covering 37% of the total area. The derived map products are helpful to local forest managers to minimize fire risks within the forests and take proper responses when fires break out. This study further recommends including the fuel factor and other fire-contributing factors to derive a higher resolution of the fire risk map.

홍성 지역의 공간 지층정보 예측을 통한 부지주기 토대의 지진공학적 부지분류 (Seismic Site Classes According to Site Period by Predicting Spatial Geotechnical Layers in Hongseong)

  • 선창국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2-49
    • /
    • 2010
  • 1978년 10월 7일 규모 5.0의 지진 발생으로 구조물 피해가 발생한 홍성 지역을 대상으로 지진 부지효과 관련 지진 지반운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질 및 지반 조건에 관한 지반 특성을 평가하였다. 현장에서는 16 개소의 부지에 대해 시추조사와 전단파속도 분포를 획득하기 위한 탄성파 시험의 다양한 지반 조사를 수행하였다. 홍성 및 인근에서의 지반 조사와 추가 수집을 통해 확보한 지반 자료를 토대로, 지반 정보 관련 전문가 시스템을 공간 GIS 기법을 적용하여 구축하였다. 소도시 지역의 지진운동 평가 목적의 GIS 기반 지반정보 시스템의 실질적 활용을 위하여, 기반암심도 및 부지 주기와 같은 지반 특성 변수의 공간 지진재해 구역화 지도를 홍성읍 행정 영역 전체에 걸쳐 작성하고 지진 취약도의 공간 분포를 확인하였다. 부지 주기 기반의 부지 분류 체계를 적용하여 내진설계 시 부지 증폭계수를 결정할 수 있는 공간 구역화를 수행하였다. 홍성 지역의 지진재해 구역화 연구로부터 지반 조사 기반의 GIS가 내륙 소도시의 지진 지반운동의 지역적 예측에 매우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돌산도 쇄파대에 사는 쿠마류 Bodotria biplicata의 조하대 대상분포 (Subtidal Zonation of the Cumacean Bodotria biplicata in the Surf Zone of Dolsando, Southern Korea)

  • 서해립;구영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9-45
    • /
    • 1997
  • 쿠마류 Bodotria biplicata의 조하대 대상분포를 돌산도 모래해안의 쇄파대에서 조사했다. 1993년 1월 소조와 대조때 수심 1m의 표층과 저층, 그리고 바닷가에서 쿠마류를 1조석주기 동안 한 시간마다 썰매 네트로 3회 반복 채집했다(시료수=225개). 조하대에서 가장 우점한 B. biplicata는 저층에서 밀도가 가장 높았고 표층에서는 전체 생물량의 약 $0.6\%$가 채집되었다. 소조때 평균 밀도는 대조때보다 조금 높았다. 채집 생물량은 조하대 수심의 영향을 받았다. 밀도 변화는 주야주기나 밀물-썰물보다 조하대 수심과 더 관련이 있었다. 조사기간에 주야 수직 이동은 뚜렷하지 않았다. 소조와 대조때 모두 B. biplicata 개체군은 낮은 저조 (LLW) 아래 약 90cm 되는 곳에서 밀도가 가장 높았다. 그러므로 이 종은 2주 주기로 해안쪽과 바다쪽으로 수평이동하는 듯하다. B. biplicata가 조하대 모래바닥을 이동하는 속도와 거리는 모래해안의 기울기와 조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개체발생 단계별로 분포양상이 달랐고 미성체와 만카유생이 성체보다 깊은 곳에 분포했다. 이것은 먹이를 둘러싼 종내경쟁을 줄이는데 기여할 것 같다.

  • PDF

돌산도 모래해안 쇄파대에 사는 저서성 단각류의 겨울철 대상분포 (Winter Zonation of the Benthic Amphipods in the Sandy Shore Surf Zone of Dolsando, Southern Korea)

  • 서해립;유옥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40-348
    • /
    • 1997
  • 1993년 1월 소조와 대조때 썰매네트로 돌산도 모래해안 쇄파대 1m 수심의 표층과 저층과 바닷가에서 옆새우 단각류를 채집해서 우점하는 세 종의 대상분포를 비교했다. 단각류는 표층보다는 저층과 바닷가에 많이 나타났다. Pontogenera rostrata와 Allorchestes anusta의 밀도는 저층과 바닷가에서 대조보다 소조때 높았으나, Synchelidium lenorostralum은 소조때 더 낮았다. P. rostrata는 밀물과 썰물에 따라 수평이동을 했으나, S. lenrostralum과 A. angusta는 수평이동을 하지 않았다. 다른 두 종과 달리 P. rostrata는 낮보다는 밤에 유의하게 많이 나타나, 밤에 활발히 이동하는 듯하다. P. rostrata는 밀물때 밤에는 평균해수면 (MSL) 위 100cm까지 나타나지만, 낮에는 MSL 위쪽에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썰물때는 낮과 밤 모두 MSL 부근부터 MSL 아래 150cm 사이에 분포했다. S. lenorostralum과 A. angusta는 썰물때만 나타났으며, 분포범위는 전자가 MSL 150cm보다 아래쪽, 후자가 MSL부근부터 MSL 아래 150 cm 사이였다. P. rostrata와 S. lenorostralum과 A. angusta의 최고 밀도는 각각 32, 26, 3마리/$m^2$였다. 그리고, 모래해안에 사는 단각류의 분포양상과 생활양식의 관계를 논의했다.

  • PDF

공간 GIS 기반의 지반 정보 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전 지역의 부지 응답에 따른 지진재해 구역화 (Seismic Zonation on Site Responses in Daejeon by Building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Based on Spatial GIS Framework)

  • 선창국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5-19
    • /
    • 2009
  • 지진으로 인한 지반 재해의 대부분은 토사 두께나 기반암 심도 그리고 토사 강성과 같은 국부적 지질 조건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지반 운동 증폭과 관련된 부지 효과로 인해 발생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 자료에 관한 통합적 GIS-기반의 정보 시스템인 지반 정보 시스템(GTIS)이 국내 연구 개발의 거점 도시인 대진 지역에서의 지진 유발 재해에 대한 지역적 종합 대책 수립의 일환으로 구축되었다. 관심 대상 영역에 대한 지반 정보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연구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확장 영역에 대해 기존 지반공학 관련 자료 수집이 이루어 졌고 지표 지반-지식 자료의 확보를 위한 부지 방문 조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었다. 관심 대상 영역의 부지 효과 평가를 위한 실질적 적용 목적으로 부지 주기에 관한 지진재해 구역지도를 작성하고 지진 유발 재해 예측을 위한 지역적 종합 대책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 영역 내 임의 부지에서의 내진 설계 및 내진 성능 평가를 위한 부지 증폭계수의 결정 수단으로 부지 주기의 공간 분포 따른 부지 분류의 지진재해 구역화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대전 지역에서의 지진재해 구역화로부터 GIS 기반의 지반 정보 시스템이 지진재해의 지역적 예측 뿐만 아니라 지진재해 저감을 위한 의사 결정에서의 높은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설악산 대청봉의 식생 (Vegetation of Daecheong-bong. Mt. Seolag)

  • Baek, Soon-Dal;Yang-Jai Y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1호
    • /
    • pp.1-13
    • /
    • 1983
  •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vegetation of southern slope of Daecheong-bong, Mt. Seolag, Located at the northern part of Taebaek mountain chain in the Central Korea. The altitudinal zonation of the vegetation was analyzed by distribution pattern of dominant species along thermal gradient, In additiion to these procedure th plant sociological studies by Braun-Blanquet(1964) were carried out. It was recognized that the vegetation is consist of 16 associations including Quercus mongolica-Lindera obtusiloba. association and the forest zone is classified into southern, central and northern part of cool temperate forest and subarctic forest.

  • PDF

안면도 사질 조간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 및 군집구조 (Spatial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on the Sandy Shore of Anmyeondo, Korea)

  • 정윤환;윤건탁;박흥식;마채우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1호
    • /
    • pp.27-37
    • /
    • 2013
  • The western coast of Anmyeondo is open toward the Yellow sea and the northern and southern coasts are sandy and have simple coastlin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macrobenthos that inhabit the sandy shore of Anmyeondo. For the study, we chose 8 sites encompassing 44 stations. In total, we have recorded 62 species, and collected 747 inds./$m^2$ on average. Zonation pattern did not appear because the mean grain size and organic contents of the study sites were similar among the macrobenthos. Polychaetes were most frequently recorded, but amphipods appeared in higher mean density. Macrobenthic community is classified into 3 groups largely based on the density difference among the dominant species and the groups were not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The aggregated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did not show a clear regional spatial difference but exhibited classification pattern emphasizing the density difference of the dominant species. The sandy shores of Anmyeondo are relatively more influenced by waves compared to other regions and the sediment moves more due to strong winds, etc. at low tide. We presume that the movement of sediment resulted in a relatively even sedimentary environment and consequently weakened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change with the tide level. We concluded that the macrobenthic community does not show the zonation pattern in the sandy shores of Anmyeondo due to such influences.

페루 남동부 아뿌리막주 트라피체 동-몰리브데늄 광상의 지질 및 광화작용 (Geology and Mineralization in Trapiche Cu-Mo Deposit, Apurimac State in Southeastern Peru)

  • 양석준;허철호;김유동
    • 자원환경지질
    • /
    • 제48권6호
    • /
    • pp.525-536
    • /
    • 2015
  • 트라피체 프로젝트는 현재 탐사단계 중 후기(Advanced exploration)단계의 프로젝트이며 안다우아일라스-야우리 광상구 연변에 나타나는 다양한 반암 광상 중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이 광상은 몬조나이트 반암의 관입과 관계가 있으며, 또한, 올리고세 각력 파이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광상이다. 광화작용은 일차 유화광물인 황철석, 황동석, 반동석 및 휘수연석으로 구성된다. 2차 유화광물인 휘동석, 코벨라이트, 다이게나이트가 산출되며 산화동으로서 공작석, 흑동석, 적동석등이 산출된다. 침출작용(lixiviation)이나 부화과정 결과로서, 광화작용은 비전형적인 누대구조를 보여주기도 한다. 각력과 반암이 나타나는 구역에서는 수직적인 누대구조를 보여주는데, 북쪽 인근에서는 침출대, 2차부화대, 전이대 및 초생광화대가 나타나고 광상의 서쪽에서는 산화대 및 혼합대가 좁게 나타난다. 광상의 추정자원은 920 Mt @ 0.41% Cu이며 한계품위는 0.15%로 산정하고 있다.

밀양 고알루미나 점토광상 다이아스포아 단괴내의 진동누대 전기석의 화학적 특징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Oscillatory Zoned Tourmaline from Diaspore Nodule, an Aluminum-rich Clay Deposit, Milyang, South Korea)

  • 추창오;김영규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7-236
    • /
    • 2005
  • 밀양점토광상의 알루미늄이 풍부한 다이아스포아 단괴에서 열수변질 기원 전기석은 집합체나 미립으로 산출한다 대부분의 전기석 결정은 미세한 대구조가 특징적인데, 이는 열수변질 작용동안 개방계의 유체혼합과 같은 변동이 심한 환경에서 형성되었음을 지시한다. 본 전기석의 화학적 진동누대 구조의 양상은 결정축의 방향과는 무관하게 흡사한 특징을 보인다. Mg는 결정성장 초기, Fe는 후기 단계동안에 부화되었으며, Fe/Mg의 비는 규칙적으로 진동함을 보여 준다. 화학분석, 후방산란영상(BSE), X-선 화학분석도에 따르면 전기석내 진동누대구조는 Fe와 Mg 함량변화에 주로 제어되었으며 봉소함량의 기여도는 미미하다. 전기석이 다이아스포아와 딕카이트로 변질되는 것으로 볼 때 전기석은 B, Fe, Mg의 활동도가 감소하면서 이들 고알루미나 광물에 비하여 불안정해 진다. 그러므로 열수계내 알루미늄 활동도가 전기석의 안정성을 제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