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 matrella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5초

몇몇 골프장에서 발견된 잔디선충 (Turfgrass Nematodes Isolated from Some Golf Courses)

  • 강영진;이동운;추호렬;권태웅;신종창;신홍균;최일근;최영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7권2_3호
    • /
    • pp.81-85
    • /
    • 2003
  • 골프장 잔디에 발생하는 식물기생선충의 종류를 알아보기 위하여 안양베네스트골프장과 동래베네스트골프장, 가평베네스트골프장의 금잔디와 크리핑벤트그라스, 켄터키블루그라스와 캐슬파인골프장의 크리핑 벤트그라스에서 조사하였다. 잔디 생육 부진지에서는 가는 주름선충(Criconema sp.)과 줄기구근선충(Ditylenchus sp.), 나선선충(Helicotylenchus sp.),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 뿌리썩이 선충(Pratylenchus sp.), 참선충(Tylenchus sp.), 위축선충(Tylenchorhynechus sp.)이 확인되었으며, 캐슬파인골프장 그린의 크리핑벤트그라스에서는 목초위축선충(Tylenchorhynechus dubius)에 의한 피해가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금잔디에서는 뿌리혹선충, 나선선충, 줄기구근선충, 뿌리썩이선충이 발견되었으며, 크리핑벤트그라스에서는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켄터키블루그라스에서는 뿌리혹선충과 참선충, 위축선충, 가는주름선충, 줄기구근선충, 나선선충이 확인되었다. 분리된 선충들 중 뿌리혹선충이 가장 심각한 선충이었으며 널리 분포하고 있었다.

Proline Accumulation and P5CS ($\Delta^1$-pyrroline-5-carboxylate synthetase) Gene Expression in Response to Salt Stress in Zoysiagrasses

  • Lee, Dong-Joon;Hwang, Cheol-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0-24
    • /
    • 2003
  • Proline is known as an osmotrotectant to enhance tolerance against both salt and dehydration stresses. A P5CS ($\Delta^1$-pyrroline-5-carboxylate synthetase) plays a major role in regulation of synthesis of proline. An overexpression of the mothbean P5CS gene in transgenic tobacco plant increased the levels of proline and osmotolerance. In an attempt to look for the possibility to use content of proline as well as a level of P5CS gene expression as molecular markers for salt tolerance, the amounts of proline and transcript levels of P5CS were measured as functions of either concentration of NaCl or length of treatment period among different species of zoysiagrass. Hybridzoysia showed the highest level of proline ($329\mu\textrm{g}$/g.f.w.) among five different species of zoysiagrass at 250 mM NaCl in 24 hours. The level of P5CS transcript was also the highest in the hybridzoysia at 250 mM NaCl in 24 hours. The transcriptions of P5CS gene were induced at the rates of 1.2, 1.2, 1.8, and 1.8, upon treatment of 250 mM NaCl in Z. japonica, Z. matrella, Z. sinica and hybridzoysia respectively. Based on a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P5CS transcript and the proline content among different species of zoysiagrass, a comparative structural analysis of the gene for P5CS from either Z. sinica or hybridzoysia may lead to an understanding of mechanism for salt tolerance shown differently among zoysiagrasses.

한국잔디 신품종 '그린에버'의 개발 및 특성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New Cultivar 'Green Ever' in Zoysiagrass)

  • 태현숙;홍범석;신종창;장공만;김경덕;박대섭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329-335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잔디 신품종 '그린에버'(품종보호출원 2014-02)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린에버'는 한국에서 수집한 100개의 자생 한국잔디에서 선발 육종된 품종이며 유전자 분석을 통해 '안양중지', '동래고려지'와 품종의 차별성을 확인하였다(1.48 kb with OPC14 and 1.05 kb with OPD5). '그린에버'의 형태적 특성 평가결과 잔디의 초장($6.8{\pm}0.5cm$), 엽폭($2.0{\pm}0.1mm$), 최하위 엽까지의 높이($1.9{\pm}0.1cm$) 및 종자의 길이($3.0{\pm}0.1mm$) 등은 금잔디의 특성을 띠는 것으로 분류되었으며, 형태적 특성은 '동래고려지'와 유사하였다. 골프장 페어웨이 관리 조건에서 '그린에버'의 잔디 품질, 밀도, 클로로필 등은 '안양중지' 및 '동래고려지' 보다 뛰어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조사기간 동안 그린에버의 밀도는 '안양중지' 및 '동래고려지' 보다 탁월하게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향후 '그린에버'의 내한성, 내마모성 등 다양한 환경적응성이 검증된다면 골프장 페어웨이, 티잉그라운드 및 정원 등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파라핀오일 처리가 한국잔디의 녹색기간 연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affin Oil on Prolongation of Green Period in Zoysiagrass)

  • 이동운;이석준;이채민;최태혁;이상훈;최대홍;장태현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5-43
    • /
    • 2012
  • 본 연구는 파라핀 오일 처리가 한국잔디의 녹색기간연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0월 초순에 파라핀 오일(순도 98%)을 50배와 100배, 200배로 희석하여 경남 합천과 경북 상주지역의 광엽형 한국잔디(Zoysia japonica)와 부산 금정 및 경기도 안성의 중엽형 한국잔디(Zoysia matrella)에 처리한 결과 50배액 처리시 엽색 감소 효과가 높았다. 광엽형 한국잔디에서는 처리 후 60일 후에까지 엽색도가 무처리에 비하여 높게 유지되었다. 파라핀 오일10월 중순 처리 시에도 경기 안성과 경남 합천, 경북 상주 지역의 엽색도가 60일째까지 높게 나타났다. 파라핀 오일 10월 초순 처리 시 엽록소 함량은 무처리에 비하여 높았다. 파라핀 오일 처리 후 절단한 잔디의 지상부 무게 감소율은 10월 초순 부산 금정처리와 10월 중순 경기 안성지역 파라핀 오일 처리에서 낮았다. 미국 켄터키주 렉싱턴의 들잔디에서 동일 농도의 파라핀 오일 처리시, 처리 물량이 많아질수록 엽록소 함량이 높게 유지 되었다. 따라서 파라핀 오일은 가을철 들잔디의 녹색기간 연장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억새 EST 정보 유래 전사요소 WRKY의 난지형 잔디의 저온 발현 반응성 (Miscanthus EST-originated Transcription Factor WRKY Expression in Response to Low Temperature in Warm-season Turfgrasses)

  • 정성진;최영인;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4호
    • /
    • pp.368-375
    • /
    • 2013
  • 국내에 자생하는 참억새(M. sinensis)와 물억새(M. sacchariflorus)의 잎과 지하경 조직 EST로부터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전사요소 탐색하여 저온에 반응하는 유전자를 분리하고 난지형 잔디에서 저온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탐색된 전사조절 요소의 종류는 총 50 종류로 나타났고, 그 중 WRKY family에 속하는 EST 절편이 226개로 가장 많이 발견되었다(9.6%). 그 중 억새 WRKY family를 기능이 밝혀진 다른 작물의 WRKY 유전자들과 비교 검색한 결과 약 80개의 억새 isotig가 저온에 반응하여 발현이 유도 또는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애기장대와 벼에서 저온 처리 후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진 억새의 MSIR7180_ WRKY4 유전자를 대상으로 그 발현양상을 조사한 결과 버뮤다그래스는 비교구에서와 비슷하게 처리기간 동안 높은 유전자의 발현을 보였고, 금잔디(Z. matrella)간의 교배를 통해 얻어진 세밀 품종은 처리기간 내내 발현이 미약하였다. St. Augustinegrass는 3일 동안은 비교구와 큰 차이가 없다가 5일째부터 발현이 증가하였고, Seashore paspalum은 처리 초기에 발현이 높다가 처리가 진행되면서 약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버뮤다그래스와 St. Augustine grass는 저온 반응성이 신속하여 휴면을 준비하지만 금잔디와 Seashore paspalum은 휴면 돌입이 늦어 녹색이 상대적으로 늦게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어 저온 적응을 위한 또 다른 환경요인의 작용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녹색 기간이 길고 내한성이 높은 품종의 개발을 위해서는 더 많은 유전자의 종합적인 고찰과 판단이 요구된다.

골프장 잔디 해충과 천적의 종류 (Turfgrass Insect Pests and Natural Enemies in Golf Courses)

  • 추호렬;이동운;이상명;이태우;최우근;정영기;성영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71-179
    • /
    • 2000
  • 우리 나라 골프장의 잔디 가해 해충과 천적에 관한 조사에서 잔디를 가해하는 해충은 6목 10과 28종이 확인되었고, 잔디흑응애(Eriophydae zoysiae)와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도 피해를 주고 있었다. 풍뎅이 유충인 굼벵이는 전 조사 골프장의 모든 코스에서 피해를 조고 있었으며, 검거세미나방이나 거세미나방도 많은 피해를 주고 있었다. 그리고 푸충나방류(Crambus sp.)와 깍지벌레류, 각다귀(Tipula sp.)도 잔디에 피해를 주고 있었다. 반면, 일본왕개미(Camponitus japonicus), 곰개비(Formica japonica), 고동털개미(Lasins japonicus)는 직접적인 잔디 피해보다는 간접적인 피해가 많았다. 즉, 잔디나 골프장 군데군데에 집을 만들거나 골퍼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었다. 잔디 해충의 천적으로는 곤충병원성 선충과 곤충변원성 곰팡이 및 유화병균등의 곤충 병원미생물과 파리매와 같은 포식성 천적류, 그리고 굼벵이벌 등과 같은 기생성 곤충류가 채집되었다. 병원성 선충으로는 Heterorhabditidae과의 Heterorhabditis sp.와 Steinernematidae과의 Steinernema glaseri와 S. longicaudum이 굼벵이와 잔다밭에서 발견되었다. 특히, 경산의 대구골프장에서 발견된 Heterorhabditia sp,는 동얼룩풍뎅이와 주둥무늬차색풍뎅이 유충에서 분리되었는데 병원성이 매우 뛰어났다. 병원성 곰팡이는 Beauveria bassiana와 Metarhizium anisopliae가 등얼룩풍뎅이에서 확인되었다. 그리고 유화병(milky disease)을 일으키는 Paenibacillus popilliae가 주둥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와 등얼룩풍뎅이(Exomala orientalis), 주황긴다리풍뎅이(Ectinohoplia rufipes), 녹색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에서 발견되었다. 특히, 경산의 대구 골프장에서 발견되 Heterorhabditis sp.는 등얼룩풍뎅이와 주둥무늬차색?뎅이 유층에서 분리되었는데 병원성이 매우 뛰어났다. 병원성 곰팡이는 Beauveria bassiana와 Metarhizium anisopliae가 등얼룩풍뎅이에서 확인되었다. 그리고 유화병(milky disease)을 일으키는 Paenibacillus popilliae가 주둥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아 등얼룩풍뎅이(Exomala orentalis), 주황긴다리풍뎅이(Ectinohoplia rufipes), 녹색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에서 발견되었다. 관찰된 파리매 3종 중 파리매(Promachus yesonicus)의 활동이 가장 활발하였다. 굼벵이벌(Tiphia sp.)은 주둥무늬차색풍뎅이와 등얼룩풍뎅이의 유충에서 확인되었는데 발견된 개체수는 많지 않았다. 식무 기생선충으로는 고구마뿌리혹선충이 들잔디(Zoysia japonica)와 금잔디(Z.matrella), 버뮤다그라스(Cynodon dactylon)에서 발견되었다.

  • PDF

한반도에 자생하는 한국잔디류(Zoysia spp.)의 분포 및 형태적 특성 (Distribution and Morphology Characteristics of Native Zoysiagrasses (Zoysia spp.) Grown in South Korea)

  • 배은지;박남참;이광수;이상명;최준수;양근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7-105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 해안 및 도서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한국잔디류를 지역별로 수집하여 형태적 특성 및 지역별 변이 정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으며, 수집된 유전자원 보존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목적이다. 16개시 군 단위에서 159개체 자생 한국잔디를 수집하였으며, 이들의 초장, 엽폭, 엽장, 엽각도, 종자길이, 종자폭, 종자길이와 폭의 비 및 화수당 종자수 등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Z. japonica류, Z. sinica류, Z. macrostachya류, Z. matrella류 등은 수집된 지역에 따라 초장, 엽장, 엽각도, 화수당 종자수 등에서 큰 변이를 보였다. 반면에 엽폭, 종자길이, 종자폭, 종자길이와 폭의 비율 등에서는 큰 변이를 보이지않았다. 중간적 형태를 보이고 있는 hybrid zoysiagrass류는 조사 형질 간에 다양한 변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상기 형태적 특성 조사 결과 및 수집된 유전 자원들은 앞으로 고품질 잔디육종을 위한 귀중한 자료로 활용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Growth of Zoysiagrass and Seashore Paspalum on Volcano Eruption Sand and Clayey Soil with Organic and Inorganic Fertilizers in Indonesia

  • Rahayu, Rahayu;Zuamah, Hidayatuz;Yang, Geun-Mo;Choi, Joon-Soo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3호
    • /
    • pp.240-245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ossible use of volcano eruption sand at Merapi mountain area compared with clayey soil, alfisol as turfgrass growing media. Indonesia has abundant source of eruption sand and clayey soil. Native zoysiagrass (Z. matrella) was collected from Sleman district and seashore paspalum (P. vaginatum) from Solo region. The experimental plots were treated with both organic and inorganic fertilizers. Zoysiagrass and seashore paspalum can grow on the mixture of eruption volcano sand and alfisol soil. Fertilizers application increased turf color, surface coverage rate and recovery rate of turfgrass. While fertilizer treated alfisol have no effect on the length and dry weight of zoysiagrass root. Mixing of volcano eruption sand on growing media resulted in longer root length, higher shoot dry weight of zoysiagrass than in alfisol soil. Type of fertilizer affected the pH, soil organic matter, total N, available P, available K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sand and alfisol after cultivation. Similarly to zoysiagrass, the recovery of seashore paspalum was increased by application of fertilizer, even the inorganic fertilizer showed faster recovery than organic fertilizer. Surface coverage of seashore paspalum was faster than that of zoysiagrass with or without fertilizer.

한국잔디 신품종 '밀록' 개발 (Development of New Cultivar 'Millock' in Zoysiagrass)

  • 최준수;양근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0
    • /
    • 2006
  • 본 실험은 한국잔디 신품종 '밀록'(특허출원: 10-2005-0110051)의 개발에 관한 것으로, 국내외에서 수집한 한국잔디류중 우수계통 MJ8를 선발 한 후, 인공자식을 통하여 변이를 확대하였으며, 이들 중에서 품질이 우수한 계통(MJ8S-9)을 선발한 것이다. 신품종 '밀록'은 밀도가 기존의 한국잔디류와 비교해 가장 높았고, 또한 녹색도가 높아 우수한 잔디 품질을 보이며, 녹병에 대한 저항성이 높았다. 형태적 특성으로 엽폭은 4.2rnm로 중엽형이며, 잎 각도는 52.5도로 넓어 광합성 효율이 높다. 지면으로부터 최하위 엽의 잎몸 기부까지의 길이가 1.9cm로 짧아 낮게 깎을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밀록'은 지상 포복경의 색이 황록색이며, RAPD 분석에서 특이밴드를 갖고 있어 다른 잔디류와 식별성이 높은 영양 번식형 신품종이다.

국내 골프장 한국잔디의 라이족토니아마름병 발생 (Occurrence of Rhizoctonia Blight of Zoysiagrasses in Golf Courses in Korea)

  • 심규열;김진원;김희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4-60
    • /
    • 1994
  • Incidence of Rhizoctonia blight ranged from 22.2% to 100% in the golf courses at six geographical locations in Korea from 1989 to 1993. Rhizoctonia blight occurred more severly in southern area than in northern area. Fifty seven isolates of Rhizoctonia solani obtained from diseased parts of zoysiagrasses were grouped to AG2-2 by anastomosis test. Pathogenicity testes revealed that this pathogen was strongly pathogenic to Korean lawngrasses(Zoysia japonica, Z. matrella, Z. tenuifolia), but not pathogenic to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bermuldagrass(Cynodon dactylon), Kentucky bluegrass(Poa pratensis), perennial ryegrass(Lolium prenne), and creeping red fescue(Festuca rubra subsp. rubra L.). The isolation frequency of R. solani AG2-2 fro sheaths of the infected plants was the highest by 91.67%, and that from stolons and roots was 11.13% and 5.63% respectively. The pathogen was not isolated from the leaves. Population density of R. solani in the lawn of large circular patch was highest on surface soils down to 1 cm deep with the value of 4.9$\times$104 (CFU/g soil), but below 1 cm population density decreased sharply down to 0.8~9.8$\times$103 (CFU/g soil). Horizontal distribution of propagules in turfgrass soil was higher in the margin than in center of patch, where the number of propagules was similar to these of healthy looking soils close to the margin of diseased patch. The meteorological factors influencing the outbreak of the disease were temperature, the number of rainy days and precipitation. Optimum temperature for disease development of Rhizoctonia blight in field was 20~22$^{\circ}C$, and that for hyphal growth of R. solani AG2-2 in vitro was 25~3$0^{\circ}C$. In Pusan area, Rhizoctonia blight first occurred in late April and rapidly developed in late June. The disease slightly decreased during July to August and developed again in late September in 1993. The monthly disease progress in Pusan area was similar to that in Kyeonggi provi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