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 marina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3초

Production Ecology of the Seagrass Zostera marina in Jindong Bay, Korea

  • Lee, Kun-Seop;Park, Jung-Im;Chung, Ik-Kyo;Kang, Dong-Woo;Huh, Sung-Hoi
    • ALGAE
    • /
    • 제19권1호
    • /
    • pp.39-47
    • /
    • 2004
  • Production dynamics of eelgrass, Zostera marina was examined in Jindong Bay on the south of the Korea peninsula. Eelgrass leaf productivit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underwater photon flux density, water temperature, and nutrient availabilities in the water column and sediments were monitored from March 2002 to December 2003. While water temperature exhibited a distinct seasonal trend, underwater irradiance and nutrient availabilities exhibited high degree of fluctuation, and did not show a seasonal tren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s. Eelgrass leaf elongation and production rates showed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s. Leaf productivity was highest in May (30.0 mg dry wt sht$^{-1}$ d$^{-1}$ or 3.7g dry wt m$^{-2}$d$^{-1}$) and lowest in November (3.2 mg dry wt sht$^{-1}$ d$^{-1}$ or 0.12 g dry wt m $^{-2}$ d$^{-1}$). Eelgrass leaf productivities did not show a strong correlation with underwater irradiance or environmental nutrient availabilities. The production rates, howev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during spring periods, and were correlated negatively at high water temperature exceeded 20℃ during summer months. While relative growth rates were highest in spring and lowest in high water temperature periods, plastochrone interval was longest during summer and shortest during spring. These results imply that seasonal growth dynamics of eelgrass, Z. marina was mainly controlled by water temperature.

동해 덕산항에 생육하는 거머리말(Zostera marina L.) 개체군의 생물계절학과 형태 변이 (Phonology and Morphometrics Change of Zostera marina L. Population at Duksan Port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 이상룡;이성미;김정하;최청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2호
    • /
    • pp.70-77
    • /
    • 2003
  • 동해 덕산항에 생육하는 거머리말(Zostera matina L.) 개체군의 생물계절학과 형태 변이를 1998년 3월부터 2000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거머리말의 계절에 따른 생육관계, 생육밀도, 생물량과 환경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괴내 영양염 농도는 계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질산염은 하계에 낮았으나, 암모니아는 높은 농도로 나타났다. 거머리말 생육지에서 퇴적물의 유기물 함량은 하계보다 동계에 높게 나타났다. 영양지의 길이는 54.2(3월0~100.0cm (10월), 생식지의 길이는 97.8(3월)~213.0 cm(7월) 범위로 다양하였으며, 생식지는 3월 중순부터 9월초까지 출현하였다. 생식지의 개화는 수온이 12$^{\circ}C$부터 시작하여 21$^{\circ}C$까지 지속되었으며, 열매 성숙은 수온이 22~$25^{\circ}C$범위에서 나타났다. 영구 반형구(0.25$m^2$)내의 생육밀도는 38~136(평균 80.3$\pm$6.5), 생물량은 190(10월)~922 g dry wt m$^{-2}$ (6월)로 계절에 따라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다. 식물체의 형태적 형질과 이화학적 요인들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계절에 따른 수온의 변화는 거머리말 생식지의 생육단계와 영양지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화진포 기수호에 해산식물 거머리말 (Zostera marina L., Zosteraceae) (Seagrass (Zostera marina L., Zosteraceae) Bed in the Brackish Lake Hwajinpo, Korea)

  • 이상용;권천중;허승;최정일
    • 생태와환경
    • /
    • 제33권4호통권92호
    • /
    • pp.336-341
    • /
    • 2000
  • 자연 기수호인 화진포호에서 자생하는 거머리말(Zostera marina)의 분포와 생육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8년 6월과 2000년 7월에 식물체와 퇴적물을 채집하여 수질과 함께 분석하였다. 거머리말 초지의 분포는 해수와 담수의 수체의 소통이 원활한 지역으로 수심 $0.8{\sim}l.5\;m$에 서식하였으며, 초지의 면적은 약 $3,200\;m^2$로 해안과 연결되는 호수 입구 쪽을 따라 길게 분포하였다. 서식지의 염분은 $8.0{\sim}23.0%_o$, 수온은 $22.0{\sim}23.7{\circ}C$, pH는 $8.34{\sim}8.62$으로 나타났으며, 영양염의 농도는 인접한 해양의 거머리말 생육지 보다 낮았다($TN:\; 24.34\;{\mu}M$, NH_4-N:\;2.57\;{\mu}M$, $NO_3-N:\;0.56\;{\mu}M$, $NO_2-N:\;0.27\;{\mu}M,$, $TP:\;2.08\;{\mu}M$, $PO_4-P\;:\;0.34\;{\mu}M$). 조사지역의 부유형물질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SPM)의 농도는 62.8 mg/l이였으며, 입자성유기물질 (particulate organic matter, POM)은 평균 21.3mg/l로서 평균 33.9%의 부유 유기물 함량을 나타내었다. 서식지의 퇴적환경은 4 cm까지는 호기성이었으며, $3.13{\varphi}$의 세립한 사질로 구성되었다. 식물체의 외부 형태는 협엽성 거머리말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었으며,식물체의 길이는 $70.0{\sim}126.5\;cm$, 잎 너비는 $5{\sim}7\;mm$의 범위로 나타났다. 단위 면적당 서식밀도는 $264{\sim}296$개체이었으며, 개체당 건중량은 $1.26{\pm}0.75g$로 나타났다 화진포호의 거머리말 초지의 생물량은 $332.6{\sim}373.0g/m^2$의 범위이었다. 한반도에서 거머리말의 생육환경은 기수호인 화진포호까지 분포되었으며, 형태학적인 특징이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 PDF

포기거머리말(Zostera caespitosa Miki, 거머리말과)의 생물지리학적 연구: I. 서식환경과 형태적인 특징

  • 이상용;권천중;민원기;허승;최청일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06-407
    • /
    • 2000
  • 한반도에 서식하는 해초(Seagrass) 중 거머리말속(Zostera, Zosteraceae)은 거머말(Zostera marina), 애기거머리말(Z. japonica), 왕거머리말(Z. asiatica), 수거머리(Z. caulescens), 포기거머리말(Z. caespitosa) 5종이 기재되었다 (Miki, 1932). 이 해들은 연안의 사질 또는 사니질에 서식하며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연안의 매립과 개발로 인해 이들 해초지의 감소와 연안생태계의 붕괴가 진행되고 있으나 해초에 대한, 특히 Zostera속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중략)

  • PDF

울릉도 연안의 거머리말속 잘피 분포 (Distribution of the Seagrass, Zostera spp. in Ulleungdo)

  • 박정임;김재훈;송휘준;김구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5권4호
    • /
    • pp.106-116
    • /
    • 2020
  • 울릉도에 자생하는 거머리말속 잘피 분포 현황을 밝히기 위해 2019년 9월말 울릉도 연안과 항내에서 선박을 이용하여 잠수조사를 하였다. 잘피 생육 환경을 조사하기 위해 잘피가 서식하는 장소의 해수와 퇴적물 공극수의 영양염 농도, 염분 및 퇴적물의 유기물 함량을 분석하였다. 울릉도 천부리, 저동리, 사동리와 남양리 연안에는 비교적 깊은 수심(14~24 m)에서 수거머리말 군락지가 관찰되었고, 총 생육면적은 약 4.9 ha이었다. 현포리 현포항내에는 3~5 m의 수심에서 생육면적 약 0.9 ha의 거머리말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거머리말의 평균 생육밀도와 생체량은 각각 121.9±9.7 shoot m-2와 99.0±13.2 gDW m-2로 서식지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거머리말의 생육밀도와 생체량은 각각 193.8±18.8 shoot m-2와 102.6±6.8 gDW m-2로 나타났다. 울릉도의 수거머리말과 거머리말 군락지 퇴적물의 영양염 농도와 퇴적물 유기물 함량은 남해안과 동해안의 잘피군락지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울릉도 연안의 거머리말속 잘피 현황을 최초로 보고하며,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울릉도 해역의 보존과 해양보호생물인 수거머리말과 거머리말 보호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Zostera속 해초에 부착하는 규조류의 부착 특성과 해초 종별 군집 변화 (Attaching Nature and Community Variation of Epiphytic Diatoms on Leaf of Zostera spp.)

  • 정미희;윤석현;윤원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5권4호
    • /
    • pp.184-191
    • /
    • 2010
  • 부착규조류는 초기 부착 생물로서 부착 천이과정에서 부착성 박테리아 층 위 해초 잎 표면 맨 아래 층에 부착함으로써 잎 표면의 미세 지형을 결정하고 다른 부착 생물에게 알맞은 부착환경을 제공해 주는 중요 생물로 부착 기질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는 부착 생물 생태 연구에 기초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부착규조류가 해초에 부착 서식하는 형태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1) 해초 잎 세포에 평행하게 또는 세포 변형을 통한 부착 2) 해초 잎 끝부분에 주로 밀집하여 서식 3) 잎의 끝에서 2차 부착 규조류인 줄기를 이용한 규조류보다 1차 부착규조류인 타원형의 규조류 밀집 지역이 많은 것이었다. 또한, 해초의 종별 규조류의 부착 군집 변화를 살펴보면 우선 길이와 너비의 차이가 많으나 세포의 모양이나 크기가 비슷한 Z. marina와 Z. japonica는 규조류의 출현종수, 현존량, 우점종의 차이가 컸던 반면 길이와 너비는 비슷하나 세포의 모양과 크기가 다른 Z. marina와 Z. caespitosa의 경우에는 규조류의 출현종수, 현존량, 우점종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초의 미세지형이 될 수 있는 세포의 모양보다 해초의 길이와 너비 등 외형의 차이가 부착규조류 군집 변화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수거머리말(Zostera caulescens Miki.)의 형태 및 생태적 특성에 대한 연구 (Ec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Zostera caulescens Miki (Zosteraceae) in Korea)

  • 이상룡;서영배;김상태;최청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45-357
    • /
    • 2002
  • 한국에 자생하는 거머리말속(Zostera, Zosteraceae)에 포함되는 수거머리말(Z. caulescen Miki)의 형태 및 생태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생육환경, 외부형태학적 형질, 잎과 종자의 미세 구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해역에서는 남해연안의 거제 가배리와 진도 죽림리에서만 수거머리말의 실체가 확인되었으며, 생육지의 환경은 파랑의 영향이 적은 내만의 수심 $3.0{\sim}6.5m$의 사니질 또는 니사질의 퇴적환경에서 출현하였다. 생식지의 길이, 잎 너비, 엽맥 수, 잎 표피 세포의 크기와 수, 종피의 늑골 수, 생식지 상에 수관 형성 여부, 잎 가장자리와 중앙의 두께 및 색조의 차이, 종자 표면의 anthocyanin색소 집적에 따른 자주색의 반점,잎 표피세포의 기본모양에서 수거미리 말은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남해안 가배와 죽림의 집단에서 생육지에 따른 외부 형태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계의 생육밀도와 생물량은 가배리$(367.3m^{-2},\;725.7g\;dry\;wt\p;m^{-2})$에서 죽림리$(112.5m^{-2},\;392.0\;g\;dry\;wt\;m^{-2})$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상부의 생물량은 지하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생육밀도와 생물량은 생식지의 개체수와 개체 당 생물량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Growth dynamics of the seagrass, Zostera marina in Jindong Bay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Kim, Young-Kyun;Kim, Jong-Hyeob;Kim, Seung-Hyeon;Kim, Jae-Woo;Park, Sang-Rul;Lee, Kun-Seop
    • ALGAE
    • /
    • 제27권3호
    • /
    • pp.215-224
    • /
    • 2012
  • Growth dynamics of the seagrass, Zostera marina were examined at the two stations (Myungju and Dagu) in Jindong Bay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Eelgrass leaf productivities, underwater irradiance, water temperature,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in water column and sediments, and tissue carbon (C) and nitrogen (N) content were monitored monthly from March 2002 to January 2004. Underwater irradiance fluctuated highly without a clear seasonal trend, whereas water temperature showed a distinct seasonal trend at both study stations. Water column DIN concentrations were usually less than $5{\mu}M$ at both study sites. Sediment pore water $NH_4{^+}$ and $NO_3{^-}+NO_2{^-}$ concentrations were higher at the Myungju site than at the Dagu site. Eelgrass leaf productivity at both study sites exhibited a distinct seasonality, increasing during spring and decreasing during summer. Seasonal variation of eelgrass productivity was not consistent with seasonal patterns of underwater irradiance, or water temperature. Eelgrass tissue C and N content at both study sites also showed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s. Relationships between tissue C and N content and leaf productivities exhibited usually negative correlations at both study sites. These negative correlations implied that the growth of Z. marina at the study sites was probably limited by C and N supplies during the high growth periods.

Chlorophyll α fluorescence as an indicator of establishment of Zostera marina transplant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Li, Wen-Tao;Park, Jung-Im;Park, Sang-Rul;Zhang, Xiu-Mei;Lee, Kun-Seop
    • ALGAE
    • /
    • 제25권2호
    • /
    • pp.89-97
    • /
    • 2010
  • To test the feasibility of using chlorophyll ${\alpha}$ fluorescence to assess the establishment success of seagrass transplants,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eelgrass Zostera marina transplants were measured using a Diving-pulsed amplitude modulation fluorometer in Jindong Bay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Maximum quantum yield ($F_v/F_m$), photosynthetic efficiency ($\alpha$), saturating irradiance ($E_k$) and maximum electron transport rate ($ETR_{max}$) of transplants and reference plants in a nearby transplant site were measured using the fluorometer for 5 months. Additionally, shoot morphology, individual shoot weight and productivity of transplants and reference plants were also monitored. Shoot height, leaf weight and productivity of transplan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during the first two or three months after transplantation compared to those of reference plants, and then increased to the levels of reference plants Characteristics of chlorophyll a fluorescence, including $F_v/F_m$, $\alpha$, $E_k$ and $ETR_{max}$ of transplants we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initial period, but recovered slightly sooner than shoot morphology or leaf productivit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fter transplantation, Z. marina transplant photosynthesis recovered faster than shoot morphology, biomass or productivity. Thus, chlorophyll a fluorescence can be used as an indicator for early assessment of the status of eelgrass transplants without destructive sampling.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Korean eelgrass, Zostera mirina

  • Huh, Man-Kyu;Cui, Jin-Zi;Lee, Hak-Young;Lee, Kun-Seop;Lee, Bok-Kyu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77-278
    • /
    • 2003
  • The Korean populations of Z. marina are typically distributed in patches. Although molecular and biochemical approaches are now increasingly being applied to address the taxonomic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animals, plants, and other algal species in Korea (Huh 1998; Hwang et at. 1998; Huh 2001), no population genetic studies of this species have been conducted. (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