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th career development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 공학계열과 비공학계열 진로 희망 고등학생들의 메이커 활동 선호 분야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Maker Participation Patterns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Engineering and Non-Engineering)

  • 변문경;권해연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5호
    • /
    • pp.68-75
    • /
    • 2020
  • In order to cultivate the talents acquire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eveloped countries' government are actively engaged in the campaigns encouraging K-12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maker movement. Maker education is regarded as one possible solution based on high tech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 is spreading widely along with STEM education. In South Korea, STEAM education was actively conducted nationwide, and since 2017, STEAM and maker education have been linked showing mutual development. However, compared to STEAM education linked to the curriculum, comparison and activity-based research on maker education for teenagers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STEAM education and maker education by analyzing the motivation of Korean youth to participate in maker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maker education programs in student community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this study,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engineering-related career group and non-engineering-related career groups based on their career intentions, and the motivation and understanding of participation in maker activities were compared. As a result of the study, male students participated more in maker education community activities than female students, and the engineering-related career group had a highe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games, outdoor activities, IT equipment, digital production, and electrical/electronic production activities than the non-engineering-related career group. In addition, in the fields of handicraft/art, home baking, installing, and horticultural agricultur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tention of participate in the engineering-related career group and the non-engineering-related career group. It was found that the engineering-related career group believed that there wa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ker education community activity, career exploration and future career choice, while the non-engineering-related career group believed that the relationship is less strong. It was also found that the engineering-related career group was participating more actively in the maker activity than the other group.

서울지역 의류학 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 관한 연구 (Career Decision Level of Clothing and Textile Major College Students in Seoul Area)

  • 이민선;이윤정;문희강;이예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11호
    • /
    • pp.1870-1879
    • /
    • 2010
  •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Clothing and Textile major college students in Seoul area. With the increasing rates of youth unemployment, preparing college students for their future career and guiding them in making career decision is imperativ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motivation orientation were considered as influencing factors, as well as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survey was conducted to 282 students majoring Clothing and Textiles at seven universities and 277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measured respondents' major satisfaction, motivational orientation, career decision level, and demographics (gender, age, school and department names, class standing, expected graduation date, subjective social status, and GPA). Descriptive statistics, K-means cluster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followed by Duncan multiple comparisons were condu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Clothing and Textiles majors were overall satisfied with their major, but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for female than male students. Those who we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were less likely to feel anxious about career decision-making. The High-Motivation group and the Intrinsic-Motivation group showed lower anxiety over career decision-making compared to Low-Motivation and Extrinsic-Motivation group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college advisors in that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influencing factors.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Career Barrier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 정철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15-22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진로장벽 간에서 회복탄력성이라는 심리내적 역량의 관계성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대학생의 진로장벽 수준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질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전국 4년제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10일부터 11월 20일까지 전문 리서치 전문기관을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AMOS 23.0과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은 회복탄력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애착은 진로장벽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진로장변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애착이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이 매개역할을 하여 진로장벽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가정, 학교에서의 바람직한 애착에 대한 정보제공 및 훈련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진로교육을 비롯하여 자기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교육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청년 농업인 정착을 위한 사회적 농업의 역할 탐색 (The Roles of Social Farming for Young Beginning farmers)

  • 정성지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7권2호
    • /
    • pp.89-110
    • /
    • 2020
  • This study aims to explore field cases of social farming programs for the youth's rural in-migration and to suggest the political and practical directions of the initiative of social farming in Korea. Two cases of social farm were selected and one operators and two participants of each farm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had a firm priority that social farming is based on farming activities and places, and recognized it as the practice of embracing socially vulnerable groups. Second, the hosts were running their social farms based on their own understanding of social farming, which turns out to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Third, the participants joined the program with the motivation of having an experience of rural life, exploration of career paths, and a need a need of community settlement, restructuring their experienc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 of social farming for youth's rural in-migration was suggested.

저소득층 대학생들의 진로준비과정에서의 성별·전공별 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텍스트 빈도분석과 연관분석의 적용 (A Cas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Gender and Major in Career Prepa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Application of Text Frequency Analysis and Association Rules)

  • 이지혜;이신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61-69
    • /
    • 2018
  • 이 연구는 청년들의 높은 비정규직 비율과 계층 양극화의 우려 속에서 저소득층 대학생의 진로준비과정에 대해 이해하고 시사점을 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S 장학재단에서 장학금 지원을 받는 13명의 대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6회의 인터뷰를 진행하여 그 축어록을 바탕으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들은 인터뷰 과정에서 이전의 학업 경험을 회상하거나 진로를 설계할 때, 가정환경과 소득수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차이는 성별, 전공별로 다른 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축적된 자료에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융합적으로 적용하여 분석한 연구로 종래의 진로연구에 비하여 방법론적 확장을 시도했다는 의의를 갖고 있다. 그 결과, 저소득층 대학교 장학생들의 성별 및 전공별 진로준비과정의 차이를 대학생활 및 진로준비와 관련된 단어들의 관계를 통해 탐색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초·중등 기업가정신 교육 현황과 교육요구도 분석: 초·중등 교사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 Focused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 백민정;강경균;이범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64-574
    • /
    • 2017
  • 최근 세계적으로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주요 이슈로 기업가정신과 창업 활성화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창업에 대한 긍정적인 사회분위기를 조성하고 기회를 지속적으로 탐색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가정신 발현을 통한 양질의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시기부터 체계적인 교육을 편성 운영하여 학생들의 기업가정신을 함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현재 초 중등학교에서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 교사들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에 대한 필요수준이 매우 높았다. 둘째,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에 대한 필요 수준에 비해 현재 진로 교사들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에 대한 수준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에 대한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을 비교하여 Borich의 교육 요구도 산출 결과,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의 함양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구성원의 인식에 대한 요구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을 위한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에 대하여 교사 전문성, 교육 환경, 교육 지원, 구성원들의 인식 등 기업가정신 교육 전반에 걸쳐 교육 여건이 미흡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회 및 학교 구성원들의 연수 및 홍보를 활성화 하고, 연수를 통해 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함양하여야 한다. 또한 청소년들이 진로를 스스로 혁신하여 개척할 수 있도록 정부 기관에서 협력하여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 져야 한다.

창업교육(Bizcool) 만족도가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Bizcool Education Satisfaction to Career Awareness - Focused on the Differences among Students)

  • 문경목;양영석;김명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4호
    • /
    • pp.9-23
    • /
    • 2013
  • 연구는 창업교육 만족도가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초 중 고등학교 학생 간 차이에 따른 영향도 함께 분석해 보다 효과적인 창업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창업교육 교육내용 만족도는 진로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창업교육 교육방법 만족도는 진로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창업교육 운영방식 만족도는 진로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창업교육 만족도에 따른 진로인식은 교육수준(학생)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창업교육이 진로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여 비즈쿨 교육 참여 효과가 긍정적인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다만 학생 간 차이에 따른 진로인식의 차이를 나타내는 결과가 나오지 않아, 학생 간 차이를 대상으로 교육의 내용 및 방법, 그리고 운영방식 등에 대한 좀 더 구체화된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고졸 청년노동자의 노동관에 관한 구조적 분석: 학습동기 매개효과 중심으로 (Structural Analysis of the Perspective on Work of Young Workers with High School Diplomas: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 박근수;송병국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3호
    • /
    • pp.113-131
    • /
    • 2018
  • 이 연구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청년노동자의 노동관에 영향을 준 진로발달시기의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하고, 그 요인별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패널데이터(panel data)이고, 구체적으로는 7차년도(2011)의 원자료에서 추출한 취업자 30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청년노동자들의 노동관은 그들의 진로발달시기에 형성된 자아인식 관련 변인의 사회성자아, 가정환경 관련 변인의 부 학력, 그리고 학습동기인 외재적 학습동기와 내재적 학습동기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외재적 학습동기의 경우 향후 노동에 대해 동기와 가치 부여에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발달시기의 자아인식 관련 변인과 가정환경 관련 변인은 학습동기를 매개로 청년노동자의 노동관에 인과관계를 갖고, 영향을 준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진로발달시기에 형성된 학습동기는 청년노동자들의 노동관 형성에 매우 의미 있고,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는 데 의의가 있다.

일본 노동시장의 변화와 정책대응 (Youth Unemployment and Labor Policy in Contemporary Japan)

  • 신곡호부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96-40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거품경제의 붕괴 이후 일본 노동시장의 변화를 개관하고, 점차 늘어나는 청년실업대책으로써 2004년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실시한 $\ulcorner$Job-cafe사업$\lrcorner$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역정책으로서의 노동정책은 앞으로 어떻게 수립되고 실시되어야 하는가를 논의하였다. 일본에서는 거품경제의 붕괴 이후 청년 실업률이 상승하여 $\ulcorner$신졸무업(新卒無業)$\lrcorner$$\ulcorner$NEET$\lrcorner$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 결과 졸업 후에 원활하게 취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ulcorner$Job-cafe사업$\lrcorner$을 실시하게 되었다. $\ulcorner$Job-cafe사업$\lrcorner$은 후생성의 구직정보 서비스, 경제산업성의 취직인턴정보 서비스, 문부과학성의 취업알선 서비스를 통합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정부의 각 부처별로 실시하던 사업을 지방자치단체가 통합하여, 이러한 서비스를 한 자리에서 젊은이들에게 제공하는, 소위$\ulcorner$One Stop Service$\lrcorner$이다. $\ulcorner$One Stop Service$\lrcorner$에 대해서는 편리성에 있어서는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나 그 이용자 수와 소개 건수 등 지나치게 실적을 중시하고 있다는 비판도 동시에 받고 있다. 마지막으로 $\ulcorner$지역노동시장$\lrcorner$의 개념, 혹은 고용정책을 실시함에 있어서 의미 있는 공간단위와 보다 구체적인 구직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일부 치위생과 신입생의 전공선택과 직업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Survey of the Major Selection by and Occupational Consciousness of Freshmen Majoring in Dental Hygiene)

  • 장성연;최은정;황선영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9-37
    • /
    • 2021
  • Background: The selection of an occupation is typically based on individuals' personal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s, which significantly affect occupational consciousness. The present study aimed to enhance the occupational achievement level of and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student counseling in order to develop competitive professional workers by understanding the occupational consciousness of freshmen and motivating them as dental hygienists with career development plans, as freshmen majoring in dental hygiene eventually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field of dentistry as dental hygienists. Methods: The surveys were distributed to 160 freshmen in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and were subsequently collected. The data from 142 surveys were used for analysis, as 18 surveys were excluded due to insincere responses. The survey contents included questions related to major selection and satisfaction, including motives for selecting a dental hygiene major, prior knowledge on a dental hygiene major and a career as a dental hygienist, satisfaction level of the major, and reasons for dissatisfaction in cases if applicable, as well as questions related to occupational consciousness, including career prospects for dental hygienists, opinions on the occupation, and conditions of job selection. Results: High employment rate with good salary level ranked highest (43.7%) among motives to apply the dental hygiene major, followed by the desire to be a professional worker (21.1%) and recommendation by acquaintances. Of those who responded, 50.7% indicated a normal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major, and 69.9% responded that they had prior knowledge regarding the dental hygiene major and/or field of dental hygiene. These results may be due to youth unemployment and the occurrence of job preparation immediately after students enter university, which is a result of the difficulty in job seeking. In terms of career prospects, 48.6% of students responded with "growing a little bit," followed by "growing a lot" (28.9%), "no difference from now" (21.1%), and "other" (1.4%). Regarding opinions on the occupation, 65.5% responded that occupation was an tool with which to make and income or a living, 23.2% responded that occupation was for dreams and self-realization, and 11.3% responded that occupation was for success in life and maintaining social status. Regarding the conditions of job selection, the responses included that the workplace had good working conditions (39.4%),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21.8%), and a higher salary (18.3%). This may reflect the change in work ethics among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 found that educational guidance to enhanc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major, and career guidance to understand and apply the clear vision and long-term job security ar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