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th Migrants in Korea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34초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습권 실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학부모, 교사 등 관계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pport Policy for the Realization of Right to Learn of Youth Migrants in Korea: Focusing on Parents, Teachers and Experts)

  • 김현진;노기섭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533-538
    • /
    • 2021
  • 본 연구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습권 보장과 관련하여 교육 관련 종사자와 학부모의 인식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 교육기회와 적응 실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 수집 및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초기정착, 기본권으로서 사회보장 지원, 학습권 보장, 심리지원의 4개의 범주와 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첫째,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습지원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둘째, 학교 부적응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 셋째, 개별 맞춤형 지원 제도 수립, 넷째, 정보제공 등 지원 제도의 적극적인 홍보, 마지막, 심리적 안정을 위하여 제도의 다변화를 제안하였다.

초국적 이동성과 일 경험: 한국 청년들의 싱가포르 해외취업 사례 연구 (Exploring the Transnational Mobility and Work Experience of Young Koreans in Singapore)

  • 육주원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8권3호
    • /
    • pp.111-158
    • /
    • 2018
  • 최근 정부 및 교육기관 차원의 해외취업/인턴십 프로그램이 증가하면서 싱가포르의 저숙련 저임금 서비스 직종에서 일하는 한인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싱가포르 내 새로운 유형의 한인 이주자로 등장하고 있는 이 청년들과 싱가포르, 한국에서 진행한 심층면접조사를 바탕으로, 이들의 해외 취업 동기와 기대, 취업 이주 경로, 싱가포르에서의 일 경험, 귀국 후 생활을 살펴본다. 싱가포르 해외취업 경험이 있는 청년 중 다수는 싱가포르 취업 사증 중 가장 낮은 등급의 저숙련 사증인 WP(Work Permit)를 소지하고 서비스직에서 근무하며 탈숙련화를 경험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들이 취업 이주를 통해 자신들의 기대와 목표를 충족하고 있는지, 아니라면 어떻게 대응하며, 자신의 이주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청년단기 해외취업 현상에 대해 만족도 효용 평가, 프로그램 정책 평가 및 제언 등을 담은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이주 연구(migration studies)의 맥락에서 살펴보고, 청년들의 구체적인 경험들과 그에 대한 본인들의 해석에 집중하는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이들의 경험을 면밀히 살피고, 이를 탈숙련화와 이동성 자본(mobility capital) 개념을 통해 해석해 봄으로써, 청년 해외취업의 구조적인 문제를 드러냄과 동시에 이들의 행위자성에 주목한다.

Factors Affecting Scaling Experiences of Adolescen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and Native Families

  • Ahn, Eunsuk;Yang, Jin-Young;Kim, Ki-Eun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9-96
    • /
    • 2020
  • Background: Multicultural families are constantly on the rise as marriage migrants and foreign workers increase. Multicultural families appear to record poor health levels compared to native families. As health is a social issue, children of surviving generations of multicultural families are also a growing interes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parents' educational level on the scaling experience of children. Methods: For this study, the 2016~2018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data were used. In order to make the two groups of adolescents belonging to multicultural and native families similar, a total of 5,362 people were included in the survey, consisting of 2,681 individuals each from multicultural and native families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Logistic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scaling experience of adolescent children. Results: The results confirm that, even after controlling for factors such as parents' educational level, household income, and children's oral health behavior, parents' nationality appear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children's scaling experienc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Conclusion: Cultural heterogeneity and the lack of adequate language ability of immigrants affects health behavior and medical accessibility. Therefor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unhealthy environments compared to the children of native Korean familie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socioeconomic multicultural background of individuals, education and public policy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the awareness for the need for preventive oral health and provide unhindered accessibility to dental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