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th Mental Health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4초

청년의 물질적 박탈감이 주관적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Material Deprivation on Subjective Mental Health of Youth: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박동진;김송미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71-78
    • /
    • 2022
  • 본 연구는 청년의 물질적 박탈감이 주관적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 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21 청년 사회·경제 실태조사'에 참여한 청년 2,041명의 응답데이터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조절효과 모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청년의 물질적 박탈감이 주관적 정신건강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의 물질적 박탈감이 주관적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청년의 주관적 정신건강 수준 제고를 위해서는 청년의 물질적 박탈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공공정책 및 제도를 보다 강화할 뿐 아니라 사회적 지지수준을 높여 사회적 지지체계를 강화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Eating Habits and Mental Health in Gangwon-do Youth

  • Ji-Woo H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3호
    • /
    • pp.192-199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ting habits, physical activity, and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which can affect the mental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and to examine whether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se relationships. In this study, raw data from the "17th 2021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were used, and a total of 1,998 people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Gangwon-do adolescents, except for data with missing values. For analysis, SPSS 25.0 and AMOS 25.0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SEM). Physical activ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mental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cognition showed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mediating mental health status.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과 건강행태 및 정신건강 요인 - 2010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Internet Addiction and Health Behaviors &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 The 2010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김대환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0
    • /
    • 2013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health behaviors & mental health among Korean adolescents. Methods: Data from the 2010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as analyzed. Using the Korean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Short Form: Self Report developed by the Korean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in 2008,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for internet addiction including general user, potential-risk group, and high-risk group. The health behaviors and mental health were compared among the groups for internet addiction by gender.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internet addiction including potential-risk group and high-risk group in boys(14.1%) than in girls(8.8%). There were significant odds ratios of perceived stress, perceived depression, perceived health and happiness, and satisfaction of sleeping in both genders at potential-risk group and high-risk group compared to general user for the internet addiction. The odds ratios of smoking at high risk group, alcohol drinking at potential risk group, eating breakfast at high risk group, and moderate physical activity at both risk groups among boys were significant. Among girls at both risk group, the odds ratios of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eating breakfast were 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s a significant association among internet addiction, and health behaviors,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olescents.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성향 (Subjective Health Status, Mental Health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Compared to General Families)

  • 채명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383-39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가정과 비교하여 다문화가정이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 및 인터넷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2017년 제 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해 복합표본분석을 하였다. 대상자는 일반가정 61,320명(98.5%), 다문화가정 956명(1.5%)이었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일반가정 청소년보다 건강하지 못한 편, 불행한 편, 우울 경험, 자살생각, 주중과 주말 스마트폰 과의존, 친구나 선후배 관계에서 스마트폰 관련 문제적 경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일반가정 청소년에 비해 자살생각 1.270배, 주중과 주말 스마트폰 과의존 각각 1.359배, 1.297배, 친구나 선후배 관계에서 스마트폰 관련 문제 경험이 1.60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인터넷 중독 성향을 개선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A Study on the Mental Health and Parental Efficacy of Mother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ocusing on Latent Profile Analysis

  • Hyoung-Ha,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137-14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적용하여 다문화청소년 어머니의 정신건강의 잠재유형을 분류하고 예측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한 후 잠재유형의 차이가 부모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APS) 9차년도(2019년)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청소년 어머니의 정신건강 유형은 '정신건강 중간 위험형'(class3) > '자아존중감 상위형'(class1) > '정신건강 고 위험형'(class4) > '문화적응과 일상생활 스트레스 상위형'(class2) 순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자아존중감 상위형'(class1) 집단과 비교해 다문화청소년 어머니의 가정경제 수준이 낮을수록, 다문화청소년 아버지(남편)의 학력이 중학교졸업 이하일수록, 한국어 수준이 낮을수록, 자녀와의 의사소통 정도가 낮을수록 '정신건강 중간 위험형'(class3) 집단에 속할 승산(Odds)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정신건강 중간 위험형'(class3) 집단과 '정신건강 고 위험형'(class4) 집단과 비교해 '자아존중감 상위형'(class1) 집단이 부모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Deterioration of Mental Health in Children and Adolesc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Eunkyung Jo;Kyoil Seo;Boram Nam;Deokyong Shin;Seohyun Kim;Youngil Jeong;Aeju Kim;Yeni Kim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1호
    • /
    • pp.21-29
    • /
    • 2023
  • This paper reviews the global effect of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on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outh Korea, the U.S., Japan, and China. We reviewed research on deteriorated mental health, including increased suicide, suicidal thoughts, and self-harm. Various studies have shown that students' mental health issue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have worsen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urthermore, the number of students who committed suicide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U.S. and Japan. Factors such as prior mental health status, change in daily routine, reduced physical activity, excessive screen time, overuse of electronic devices, and reduced social support have been report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 chain of deteriorating mental health among the youth began at the onset of COVID-19, social distancing, and school closure. As youths began to stay at home instead of going to school, they lost opportunities to connect with their friends or teachers, who could provide support outside of their homes. Young people spent less time on physical activity and more time online, which damaged their sleeping schedule and daily routine. In preparing for the post-pandemic phase, we should thoroughly analyze the long-term effects of the pandemic on youth mental health, while simultaneously tackling current imminent issues.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 : 자기통제 및 감정조절의 역할 (Academic Stress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 The Role of Self-control and Emotion Regulation)

  • 문경숙
    • 아동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285-299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self-control and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mental health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Korean Youth Panel Study (KYPS) was used as sample data with a total of 3121 $11^{th}$ grade students involved in this stud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applied to test the moderation model following Baron & Kenny's (1986) model. Results revealed that self-control (for male adolescents) and emotion regulation (for female adolescents) played the role of moder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mental health problems. Academic stress prov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 PDF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 -사회적 지지 매개 효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Mental Health of Multicultural Youth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 장선아;고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62-673
    • /
    • 2021
  •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다문화 청소년 패널 제4차(중1)~제6차(중3)의 1,573명을 AMOS 22.0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정신건강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는 정신건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청소년이 이중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로 인하여 사회적 지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런 사회적 지지는 다문화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구강자각증상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oral symptoms in youths of multicultural families)

  • Park, Sin-Young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49-356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구강자각증상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의 자료를 바탕으로 정신건강은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을 조사하였고, 구강자각증상은 외상, 통증, 잇몸출혈을 조사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 구강자각증상은 복합표본 교차분석을 시행하였고, 정신 건강과 구강자각증상의 관련성은 복합표본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스트레스와 우울은 통증과 잇몸출혈이 관련성이 있었고, 자살생각은 외상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따른 구강건강을 위한 구강보건계획 및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ssociations of Internet Use with Oral Hygiene Based on National Youth Risk Behavior Survey

  • Park, Subin;Lee, Jung Hyu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9권1호
    • /
    • pp.26-30
    • /
    • 2018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problematic Internet use with oral health behaviors and oral health status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 adolescents. Methods: Data from the 2010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73238 Korean adolescents; mean age $15.06{\pm}1.75years$; age range, 12-18 years) were used. Problematic Internet use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Short Form.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ssess oral health behaviors and oral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Results: Problematic Internet users were less likely to brush their teeth frequently [adjusted odds ratio (AOR)=0.59; 95% confidence interval (CI)=0.56-0.63] and at school after lunch (AOR=0.89; 95% CI=0.83-0.94) as well as more likely to perceive their oral health to be poorer (AOR=1.63, 95% CI=1.54-1.72) and experience oral symptoms (AOR=1.75, 95% CI=1.65-1.86) compared to usual Internet users.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problematic Internet use may adversely affect the oral health of Korean adolescents. Thus, oral health screening and Internet-based education are needed for adolescents experiencing problematic Internet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