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th Generation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4초

청소년(만 18-19세) 유권자의 정치 정보 이용행태와 정치효능감이 투표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Youth (18-19 years old) Voters' Use of Political Information and Political Efficacy on Voting Intentions)

  • 이성진;김응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344-355
    • /
    • 2021
  • 제21대 총선(2020년 4월 15일) 때부터 투표 연령이 만 18세로 낮아짐에 따라 투표를 처음 하는 유권자의 정치 뉴스 이용, 정치 관심의 동기, 정치 매체 신뢰도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이들의 정치효능감이 투표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참여 대상자의 설문을 통한 연구 결과 유권자의 정치 뉴스 이용은 TV와 포털을 중심으로 정치 정보를 획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은 전통적인 매체인 라디오와 신문의 이용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미디어가 전달하는 기사를 통해 정치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지상파 TV의 보도와 토론회의 통해 제공되는 정치 정보를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 세대들도 정치효능감이 높을수록 투표참여의지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치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낮은 것으로 평가받는 젊은 세대의 정치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미디어의 역할이 중요함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서울시 세대별 창업 분포와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청년층과 중년층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Startups and Influencing Factors by Generation in Seoul: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Young and Middle-aged)

  • 홍성표;임한려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3호
    • /
    • pp.13-29
    • /
    • 2021
  • 이 연구는 서울시 세대별(청년층, 중년층) 창업의 공간적 분포와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창업가의 연령대 자료를 포함하고 있는 서울시 사업체조사(2018) 데이터를 활용하여 서울시 424개 행정동의 세대별 창업 분포를 분석했으며, 산업, 인구구조 및 창업지원 기관 관련 변인이 포함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세대별 창업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서울시 행정동의 세대별 창업과 주요 변인들의 빈도, 평균 및 표준편차를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활용했으며, 전역적, 국지적 공간자기상관 분석을 통해 세대별 창업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특히 세대별 전체 창업과 주요 산업별 창업을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서울시 창업의 공간 분포를 심층적으로 확인하였다. 이후 라그랑주 검정을 통해 공간회귀분석 모형을 선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세대별 창업에 미치는 지역적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과 중년층 창업의 공간적 분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청년층은 서초·강남-용산-마포-강서구로 이어지는 벨트 지역에서 창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지만, 중년층은 서초·강남·송파·강동으로 대표되는 동남권 지역의 창업이 활발한 편이었다. 둘째, 서울시 세대별 창업은 업종에 따라 다양한 공간적 분포를 보였다. 지식첨단산업(정보통신, 전문서비스)은 세대 공통적으로 서초, 강남, 마포, 구로, 금천구가 중심지역이었으며, 제조업은 기존 집적지를 중심으로 창업이 집중되어 있었다. 반면 생활서비스업의 경우 청년층은 용산, 마포, 관악 등 대학과 문화 중심지역에서 창업이 활발했으며, 중년층은 신시가지 중심으로 창업이 집중되었다. 셋째, 서울시의 세대별 창업 입지에 대한 영향 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청년층은 첨단산업, 대학, 문화자본 및 인구 밀집이 창업에 유의미한 영향 요인이었으며, 중년층은 전문서비스 특화도, 낮은 평균연령, 창업지원 기관 밀집 수준이 창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러한 입지요인은 산업별로 차별적인 영향이 있었다. 연구를 통해 제시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지역, 산업 및 세대별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창업지원이 필요하다. 세대별 창업 지역과 산업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만큼 지역 및 산업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창업지원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 방법적 측면에서 데이터 축적을 통해 자치구 단위에서 문화, 재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1990년대 Jean 광과의 변화 - 광고유형과 jean의 미의식을 중심으로 - (The Changing Advertising Campaigns of Jeans Ads in 1990's)

  • 김미영;이충연
    • 복식문화연구
    • /
    • 제8권6호
    • /
    • pp.791-80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jeans advertising campaigns of the 1990's in South Korean magazine advertisements and their relation to the beauty trends of the 1990's in South Korea. There are three significant and varying periods in the 1990's. Each period will be dissected into four categories. The four categories are 1. Catchphrases 2. Pose selection of the models 3. Selection of models 4. Overall images and themes of the a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1990∼1993 ; Youth & Freedom From 1990 to 1993, jean ads emphasized the catchphrsase and the dynamic pose more and used the Korean model. The ads displayed youthful energy and the freedom of the younger generation. 2. 1994∼1997 ; Sex Appeal From 1994 to 1997, the second transition in jeans advertisements focus shifted from the youthful images of the early 90's to more sexually oriented ads. In terms of model selections and pose, Caucasian models instead of Korean models, and static pose were used more. The ads emphasized the image more than the catchphrase. 3. 1998∼1999 ; Diversity of Individuality & Naturalism During 1998 to the present day, the jeans ads no longer focused on groups but the diversity of individuality. The other focus of ads was the naturalism and the harmony with the nature. Both the static and dynamic pose, Korean model, and the image ads were used.

  • PDF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 대한 과보호 행동 탐색 연구: 양육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Childrearing Practices Perceived as Overprotective Behaviors for First to Third Grade Levels of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Cognition of the Guardians)

  • 신수희;이완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5호
    • /
    • pp.475-485
    • /
    • 2016
  • This study explored mothers' and grandmothers' perception regarding child rearing practices as overprotective behaviors for first to third grade levels of elementary school. The study was conducted on 202 mothers and grandmothers of first to thi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Questionnaires were made with 40 questions on overprotection behaviors selected from the existing questions for preschooler, high 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youth.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arget subjects to answer how they would perceive when each of question is applied to their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the collected responses and the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out that the overprotective behaviors were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such as "reduction in independence," "over-sensitiveness to safety," "interference in daily life," and "health anxie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overprotective behavior by the subjects depending on the generations, features of children and mothers. This study focused on the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been removed from studies due to the lack of intervention measures. It has the implication in that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giv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on overprotective behaviors in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차이연령에 따른 감각추구 성향과 패션 탐색적 행동 (The Sensation Seeking Tendency and the Fashion Exploratory Behavior according to the Difference Age)

  • 홍금희
    • 복식
    • /
    • 제60권1호
    • /
    • pp.43-55
    • /
    • 2010
  • To pursue youth and agelessness can be regarded as a global trend today. The younger a woman recognizes herself to be, the more sensation seeking tendency and the more active fashion exploratory behavior of younger generation she would show.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ation seeking behavior and fashion exploratory behavior according to the difference age in women in their 30's to 50s'. After the survey, a total of 480 questionnaires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very high correlation among cognitive ages, and the lower cognitive age a woman had, the higher difference age she showed. 2. Sensation seeking tendency of adult women was shown in two factors of change seeking and artistic sensation seeking, and these factors accounted for 73.99% of the total variances. Fashion exploratory behavior had 4 factors such as fashion leadership, behavior of hedonic shopping, behavior of clothing communication and behavior of clothing purchase with taking a risk, and these four factors accounted for 75.87% of the total variances. 3. The higher difference age and the higher tendency of sensation seeking an adult woman had, the higher fashion exploratory behavior was shown, and the higher the difference age, the higher tendency of change seeking and artistic sensation seeking.

주거지역에 따른 청소년 내 하위집단들의 복식문화 연구 (A Study on the Culture of Clothing of Subgroups among Adolescents by Residence)

  • 남궁윤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23-63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lture of clothing of subgroups among adolescents by residence. In this research informants were selected by selective sampling and ethnographic methods such as field work depth interviews and open-ended descriptions were employed to interpret their culture of clothing. The results were followed. First our adolescents enjoyed the popular song as leisure and these popular culture was their inspiration source of style. Second adolescents were grouping the Kang-Bouk and the adolescents group preferred the style of popular singers and the Kang-Nam adolescents group preferred the musical competence of singers and specific type particularly Hip-Hop style. And in acception pattern of fashion style the Kang-Bouk groups accepted the recent fashion style continuously and wanted to be striking while the Kang-Nam groups accepted the various Hip-Hop styles and sought to comfort and suitability of that style. Third to consider the connotations of marketing the Kan-Bouk groups shopped on the street perceived as fashionable among peer groups and sought to the lower price but the Kang-Nam groups used the shops selling their original ip-Hop style without regard to the price and sites. Although there existed a two years'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research(1996-1998) subgroups among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residence have had their own culture of clothing constantly. And a segmentation tendency by clothing behavior within the same adolescent generation is revealed more visibly.

  • PDF

럭셔리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하위문화 양상의 의미 분석 (Analysis of the Meaning of Subculture Aspects in Luxury Fashion Brands)

  • 한자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3-98
    • /
    • 2022
  •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culture aspects that led to the success of luxury brands and analyzed the implications of those aspects. For this, semantic analysis in a socio-cultural context was performed. Additionally, this study took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hange in subculture and post-subculture, the digital youth generation, and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subculture style into consideration. The subculture style aspect and its meaning in luxury fashion brands were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challenges that betray the legitimacy or values of luxury brands. Through this, the brand gained recognition and increased sales, and the designer gained a reputation as an innovative creative director. It can be seen that more successful branding was promoted by securing a more subcultured fandom. Second, by combining subculture image fragments, these brands cater to the diverse tastes of a myriad of subcultures. This maximizes commercial profits. Third, most promotional marketing activities are collaborative and done digitally, which allows for a wider customer base, but the difference is in digital capabilities. Limited editions or application use on social networks can act as another driver. It is said that the distinction in high-priced luxury brands is not only driven by economic power but also by sub-cultural capital and digital ability.

Unity기반의 탐색적 VR 360도 콘텐츠 구현 (Unity VR 360 Degree Content Implementation)

  • 신유철;김민근;이효원;강하람;박철우;이영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6-438
    • /
    • 2021
  • 본 콘텐츠는 현재 메타버스의 세대가 도래함에 따라 IT 디지털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액티브 시니어를 위해 구현되었다. 요양원의 거주 노인들은 사용자 시나리오를 통해 직접 맵 곳곳을 탐색을 함으로써 자신의 젊은 시절을 회상하거나 과거의 자신의 일생을 보냈던 장소 혹은 직업을 체험할 수 있는 장소와 같이 여러 전경을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코로나의 여파가 거세지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본 콘텐츠를 이용하여 요양원의 거주노인들은 심리적 안정감 및 우울증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온라인 중고 거래 플랫폼을 활용한 리셀의 의미 (The Meaning of Resell Activities Using the Online Second-hand Platform)

  • 박주하;전재훈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822-838
    • /
    • 2023
  • Reselling, an activity of purchasing high-scarcity products and selling them back at high prices, has gained popularity among those in their 20s and 30s in recent years. This study examines the resell activity process of the MZ generation using the online second-hand platform and its inherent meaning. Interviews with 15 participants in their 20s and 30s showed that respondents have four purchase stages: being influenced by social media, collecting and comparing information using various social media, purchasing efforts, and post-purchase behavior. The research derived three inherent meanings of resell activities: (1) means of self-presentation and differentiation, (2) confirmation of investment skills and aptitude to lead fashion trends, and (3) pleasure of consumption. Respondents indicated meeting self-satisfaction through public selfies on social media. In addition, they emphasized the empirical pleasure during the buying journey by collecting product information, comparing prices, and negotiating with buyers. Our findings confirm the spread of resell activities from minority groups to enthusiastic youth.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focusing on fashion products that attract attention in the resell market and examining the respondents' consumption experiences from various perspectives.

한국의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이 삶에서 추구하는 가치에 대한 질적연구 - 서울 거주 중산층을 중심으로 - (Qualitative Research on Korean Baby-Boomer Generation Middle-Aged Women's Attitude Toward Their Lives - Based on Middle-Class Seoul Residents -)

  • 이지현;김선우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127-15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가족 내 높은 의사결정권을 가진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이 소비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이들이 삶에서 추구하는 가치를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시간, 관계, 젊음과 건강, 자아실현, 의식의 총 5개의 핵심가치를 도출했다. 상위범주들의 맥락적 관계를 구축하여 모형을 도출한 결과,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은 시간적 여유의 증가와 이전/이후세대와는 다른 의식을 인과적 조건으로 하여 자아실현과 타인과의 관계맺기 현상을 나타내며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이들은 이와 같은 현상을 대처하기 위해 건강과 젊음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취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시간적 여유가 있고 경제적으로 크게 고통 받지 않는 현재의 삶에 감사하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모형을 보다 추상적인 중심현상으로 축약화하여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구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베이비부머 중년여성이 여러 가지 활동과 노력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건강하고 젊고 행복한 삶'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시간을 잘 활용하도록 도와주는 상품, 서비스가 필요하다. 둘째, 자아실현 욕구가 높은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이 자아효능감을 느낄 수 있도록 이들의 감각, 능력, 인맥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이들의 집안과 외모 가꾸기는 자아실현의 방법이므로 이 시장에 대한 세분화가 필요하다. 질적인 방법으로 진행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역과 소득계층을 포함하는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상의 결과를 확인하고 보완하는 차원의 양적연구가 후속으로 진행되어야할 것이며, 이들 삶의 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여 더욱 깊이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