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ng-il

검색결과 13,576건 처리시간 0.052초

Effect of Korean folk medicine 'SecSec' on inflammatory cytokine secretion in HMC-1 cells

  • Choi, In-Young;Kim, Mi-Sun;Koo, Hyoun-Na;Hong, Seung-Hun;Kim, Hyung-Min;Um, Jae-Young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5권1호
    • /
    • pp.69-74
    • /
    • 2005
  • 'SecSec' has been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roat diseases such as sore throat, cough, bronchial asthma and allergic asthma in Korea. However, its effect in experimental models remains unknown.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effect of SecSec, we examined cytotoxicity and secre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on human leukemic mast cell line, HMC-1, stimulated with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and calcium ionophore A23187. SecSec by itself had no cytotoxicity on HMC-1. When SecSec (1 mg/ml) was added, the secre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 (IL)-6, and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bout 47.20%, 25.55%, and 46.43%, respectively on PMA plus A23187-stimulated HMC-1 cells. But SecSec did not inhibit IL-8 secretion. These findings may help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action of this medicine leading to control activated mast cells on allergic inflammatory condition like asthma.

The Anti-allergic Effect of Vinegar Treated Small Black Soybean (Glycine max Merr.) is Mediated Through Inhibition of Histamine Release and Inflammatory Cytokine Secretion

  • Shin, Tae-Yong;Shin, Hye-Young;Lim, Jong-Pil;Jeon, Hoon;Kim, Dae-Keun;Chae, Byeong-Suk;Kwon, Young-Ee;Kang, Sin-Myoung;Chang, Ik-Jun;Park, Jeong-Suk;Lee, Jae-Hyeo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3권4호
    • /
    • pp.337-341
    • /
    • 2007
  • In this report,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vinegar treated small black soybean (Glycine max Merr.) (Leguminosae) (VSBS) on mast cell-mediated allergic reaction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secretion. VSBS inhibited compound 48/80-induced systemic reactions. VSBS attenuated immunoglobulin (Ig) E-mediate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In addition, VSBS decreased the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lus calcium ionophore A23187-stimulated secre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6 and interleukin (IL)-8 in human mast cells. Our findings provide evidence that VSBS inhibits mast cell-derived allergic reactions.

폐상피세포에서 Triptolide에 의한 NF-${\kappa}B$ 의존성 IL-8 유전자 전사활성 억제기전 (Triptolide-induced Transrepression of IL-8 NF-${\kappa}B$ in Lung Epithelial Cells)

  • 지영구;김윤섭;윤세영;김용호;최은경;박재석;김건열;채기남;곽상준;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1호
    • /
    • pp.52-66
    • /
    • 2001
  • 연구배경 : 폐상피세포가 능동적으로 IL-8을 분비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NF-${\kappa}B$는 IL-8 발현 조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전사인자이다. Triptolide는 최근 밝혀진 NF-${\kappa}B$ 억제제로서 중국한약제인 뇌공등 (Tripterygium Wilfordii)에서 추출된약제이다. 연자들은 새로운 NF-${\kappa}B$ 억제제인 triptolide가 폐상피세포에서 NF-${\kappa}B$ 의존성 IL-8 유전자의triptolide가 염증성 폐질환에서 새로운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폐상피세포로서 A549 사용하였고 triptolide는 미국의 Pharamagenesis(Palo Alto, CA)사로부터 제공받았다. NF-${\kappa}B$ 활성유도물질로는 IL-$1{\beta}$(R&D)와 PMA(Sigma)를 이용하였다. IL-8 유전자의 발현은 RT-PCR과 ELISA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NF-${\kappa}B$의존성 IL-8 유전자의 전사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는 IL-8 NF-${\kappa}B$ luciferase construct를 안정적으로 유전자주입한 A549 IL-8 NF-${\kappa}B$ luciferase 세포주를 제조해 사용하였고 NF-${\kappa}B$ DNA 결합은 electromobility shift assay(EMSA)를 이용하였다. p65 전사활성을 assay하기 위해서는 Gal4-p65 fusion protein expression system을 유전자주입과 luciferase assay를 통하여 시행하였다. Transcriptional coactivator의 역할을 규명 하가 위하여서는 CBP(CREB-binding protein)와 SRC-1(steroid receptor coactivator-1) 발현 벡터를 유전자 주입하고 luciferase assay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 Luciferase assay로 triptolide가 PMA와 IL-$1{\beta}$자극에 의한 IL-8 NF-${\kappa}B$ 활성을 의미있게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IL-8 ELISA와 RT-PCR로 triptolide가 PMA와 IL-$1{\beta}$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IL-8 발현을 각각 단백질과 mRNA 수준에서 억제함을 관찰하였다. Triptolide가 PMA와 IL-$1{\beta}$에 의한 IL-8 NF-${\kappa}B$의 전사활성을 억제시킨 반면 EMSA와 $I{\kappa}B{\alpha}$ Western blot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triptolide가 NF-${\kappa}B$ DNA 결합과 $I{\kappa}B{\alpha}$의 분해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전사활성 억제와 DNA 결합 간의 불일치의 원인으로서는 DNA 결합 이후에 발생하는 핵내 에서의 transactivation에 triptolide가 영향을 미치리라고 생각되어 p65 transactivation study를 Gal4-p65T A(p65의 transactivation domain) fusion protein 발현 시스템과 luciferase assay를 이용하여 시행한 결과 triptolide가 p65 transactivation을 억제함으로써 NF-${\kappa}B$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CBP나 SRC-1과 같은 coactivator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한 유전자주입 실험에서 triptolide에 의한 p65 transactivation 억제에 대해 CBP나 SRC-1의 과발현이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결론 : Triptolide는 폐상피세포에서 NF-${\kappa}B$ 의존성 IL-8 유전자의 전사활성을 억제하고 그 기전은 $I{\kappa}B{\alpha}$ 경로가 아닌 핵내에서의 p65 transactivation 억제에 의해 발생하며 이에는 CBP나 SRC-1과 같은 coactivator가 관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PDF

Inhibitory effects of flavonoids on TNF-α-induced IL-8 gene expression in HEK 293 cells

  • Lee, Soo-Hyoung;Kim, Young-Jin;Kwon, Sang-Hoon;Lee, Young-Hee;Choi, Soo-Young;Park, Jin-Seu;Kwon, Hyung-Joo
    • BMB Reports
    • /
    • 제42권5호
    • /
    • pp.265-270
    • /
    • 2009
  • Due to their multiple biological activities, flavonoids have gained attention as potentially useful therapeutics for a variety of diseases including cancer, cardiovascular diseases, and autoimmune disease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several flavonoids, including kaempferol, quercetin, fisetin, and chrysin block TNF-$\alpha$ induced IL-8 promoter activation and gene expression in HEK 293 cells. In addition, phosphorylation and degradation of $I{\kappa}B{\alpha}$ and translocation of NF-${\kappa}B$ p65 were inhibited by these flavonoids in TNF-$\alpha$-stimulated HEK 293 cells. Furthermor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response to TNF-$\alpha$ was reduced by the flavonoids. Moreover, although pretreatment with fisetin, quercetin, or chrysin decreased cell viability, kaempferol did not.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kaempferol would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TNF-$\alpha$-induced inflammatory diseases.

Secretion of MCP-1, IL-8 and IL-6 Induced by House Dust Mite, Dermatophagoides pteronissinus in Human Eosinophilic EoL-1 Cells

  • Lee, Ji-Sook;Kim, In-Sik;Yun, Chi-Yo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3권4호
    • /
    • pp.391-397
    • /
    • 2009
  • The house dust mite (Dermatophagoides pteronissinus) is an important factor in triggering allergic diseases. The function of eosinophils, particularly in the production of cytokine or chemokine, is critical in understanding the pathogenesis of inflammatory diseases.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D. pteronissinus extract (DpE) induces the expression of monocyte chemotactic protein 1 (MCP-1)/CCL2, IL-8/CXCL8, and IL-6 that mediate in the infiltration and activation of immune cells and in its signaling mechanism in the human eosinophilic cell line, EoL-1. DpE increased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MCP-1, IL-8, and IL-6 in a time- and dose-dependent course in EoL-1 cells. In our experiments using signal-specific inhibitors, we found that the increased expression of MCP-1, IL-8, and IL-6 due to DpE is associated with Src family tyrosine kinase and protein kinase C $\delta$ (PKC $\delta$). In addition, the activation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is required for MCP-1 and IL-8 expression while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is involved in IL-6 expression. DpE induced the phosphorylation of ERK and p38 MAPK. PP2, an inhibitor of Src family tyrosine kinase, and rottlerin, an inhibitor of PKC $\delta$, blocked the activation of ERK and p38 MAPK. DpE induces the activation of ERK and p38 MAPK via Src family tyrosine kinase and PKC $\delta$ for MCP-1, IL-8, or IL-6 production. Increased cytokine release due to the house dust mite and the characterization of its signal transduction may be valuable in understanding the eosinophil-related pathogenic mechanism of inflammatory diseases.

말초 혈액 단핵구에서 IL-8 발현에 관한 연구 (Study on IL -8 Expression in Peripheral Blood Monocytes)

  • 김재열;이재철;강민종;박재석;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이재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5호
    • /
    • pp.703-712
    • /
    • 1995
  • 연구배경: 말초혈액 단핵구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에 중요한 세포로서 탐식 기능과 항원 제공 기능외에 다양한 종류의 Cytokine을 생성하며, 이중 IL-8은 호중구에 대한 강력한 주화 작용과 직접적인 활성화 작용 등을 통해서 염증 작용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었다. 따라서 IL-8 작용의 억제를 통하여 항염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용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는 Dexamethasone, $PGE_2$, Indomethacin 및 IFN-$\gamma$를 이용하여 이러한 약제들이 말초혈액 단핵구에서 내독소 자극에 의한 IL-8의 생성 자극 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방법: 말초혈액 단핵구는 자원자에게서 채취한 혈액을 Ficoll Hypaque density gradient method에 의해서 백혈구 층을 분리한 뒤에 플라스틱 접시에 부착함으로써 분리하였다. Dexamethasone, $PGE_2$, Indomethacin은 내독소로 자극하기 한 시간 전, 후에 처치하였고, IFN-$\gamma$는 내독소로 자극하기 한 시간 전에만 전처치 하였다. 내독소로 자극한 뒤 4시간 뒤에 RNA를 extraction한 뒤 North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여 IL-8 mRNA를 분석하였고, 24시간 뒤에 ELISA를 통하여 IL-8 단백을 정량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Dexamethasone의 전, 후 처치는 내독소 자극에 의한 IL-8 mRNA와 단백의 생성을 감소시켰다. 2) IFN-$\gamma$의 단독 투여는 내독소 자극을 받지 않은 군에서 IL-8 mRNA와 단백의 생성을 감소시켰다. 3) 내독소 투여 전에 IFN-$\gamma$를 전 처치 하였을 때, 내독소 단독 투여군에 비해 IL-8 mRNA 발현은 감소하였으나 IL-8 단백의 분비에는 차이가 없었다. 4) $PGE_2$와 Indomethacin은 각각 사용한 농도($10^{-6}M$, $10{\mu}M$)에서는 내독소 자극에 의한 IL-8 mRNA 및 단백의 생성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결론: Dexamethasone은 말초혈액 단핵구에서 내독소의 자극에 의한 IL-8 mRNA 발현 및 단백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반응을 억제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acrophage activation by glycoprotein isolated from Dioscorea batatas

  • Huong, Pham Thi Thu;Jeon, Young-Ji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167-172
    • /
    • 2011
  • We demonstrate that glycoprotein isolated from Dioscorea batatas (GDB) activates macrophage function. Analysis of the infiltration of macrophages into peritoneal cavity showed GDB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ecruitment of macrophages into the peritoneal cavity. In order to further confirm and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GDB on macrophage activation, we analyzed the effects of GDB on the cytokine expression including IL-$1{\beta}$, TNF-${\alpha}$, and IL-6 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GDB increased the expression of IL-$1{\beta}$, TNF-${\alpha}$, and IL-6. Cytokine induction by GDB was further confirmed by RT-PCR and ELISA in mous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cells. Treatment of RAW264.7 cells with GDB produced strong induction of NF-${\kappa}B$ DNA binding and MAPK phosphorylation, markers for macrophage activation and important factors for cytokine gene expression. Collectively, this series of experiments indicates that GDB stimulates macrophage activation.

The Facile and Efficient Synthesis of 8-Chloroadenosine $3^I,5^I$-cyclic monophosphate by phosphorylative cyclization of 8-chloroadenosine and its characterization by$^1 H and 13^C$ NMR spectroscopy

  • Woo, Nam-Tae;Jin, Sun-Yong;Cho, Dae-Jin;Kim, Nam-Sun;Bae, Eun-Hyung;Jung, Jee-Hyung;Ham, Won-Hun;Jung, Young-Ho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76-179
    • /
    • 1997
  • Purine nucleosides were chlorinated by the reaction of acyl chloride in DMF with MCPBA under mild conditions with moderate yields. And, satisfactory method for the synthesis of ribonucleoside-$3^{I},5^{I}$-cyclic phosphates and its characterization by$^{1}H$ and $^{13}C$ nmr spectroscopy is described.

  • PDF

호흡곤란증후군과 기관지폐이형성증 예측 인자로서의 미숙아 제대혈 IL-10, IL-12 (Cord blood IL-10, IL-12 in preterm newborns as predictors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d bronchopulmonary dysplasia)

  • 박지윤;김지영;조수진;김영주;박혜숙;하은희;박은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3호
    • /
    • pp.248-254
    • /
    • 2007
  • 목 적 : 최근 RDS나 BPD이 폐의 미성숙함 뿐만 아니라 손상과 재생, 염증 반응 기전이 관여할 것이라는 주장과 연구들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의 제대혈에서 IL-10, IL-12를 측정하여 RDS, BPD 발생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임신 중기부터 이대 목동 병원에서 산전 관리를 받고 보호자 동의하에 제대혈 검사가 가능하였던 재태 기간 34주 미만의 미숙아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출생 당시 제대혈을 채취하여 혈청 분리 후 영하 $70^{\circ}C$에 보관하였다가 ELISA법을 이용하여 IL-10, IL-12를 측정하였고, 각 주수 기간에 따라 RDS가 있는 군(RDS군)과 RDS가 없는 군(non-RDS군)으로, 그리고 RDS군내에서 BPD가 있는 군(BPD군)과 BPD가 없는 군(non-BPD군)으로 나누어 IL-10, IL-12 및 임상자료들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이들의 임상적인 자료는 의무기록을 통하여 후향적인 방법으로 얻었다. 결 과 : IL-10은 재태 연령(r=-0.391, P=0.005)이나 출생체중(r=-0.442, P=0.001)과 역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IL-12는 재태 연령이나 출생체중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30-34주 사이의 미숙아를 대상으로 보았을 때 RDS군에서 non-RDS군에 비해 의미 있게 높은 IL-10수치를 나타냈다(1.0 vs 0.1 pg/mL; P=0.001). 하지만 IL-12는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BPD군과 non-BPD군을 비교하면 IL-10, IL-12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제대혈 IL-10 농도는 태아의 성숙도를 예측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높은 IL-10의 수치로 RDS로의 이환을 예측하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제대혈 IL-10이 BPD로의 이환을 예측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Ulva lactuca Fucoidan and its Role in Ovariectomy

  • Nam, Chun-Suk;Park, Eun-Kyung;Kang, Kum-Suk;Shin, Cha-Young;Park, Jae-Il;Kim, Hee-Jin;Lee, Jin-Young;Kim, Jin-Wook;Kim, Nam-Young;Lee, Eo-Jin;Hyun, Lee-Sang;Ha, Bae-Jin
    • 한국생명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명과학회 2005년도 제45회 학술심포지움 및 추계학술대회
    • /
    • pp.54-54
    • /
    • 2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