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ngil Bay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5초

영일만내의 유동과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urrent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Yongil Bay)

  • 김헌덕;김종인;류청로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8-37
    • /
    • 2001
  • The water quality in Yongil Bay is getting worse due to the sewage and the waste water from the surrounding industrial complex. The study aims to simulate the current system that is necessary to build ecosystem model for the optium water quality control and clarify the correlation of current system characteristics with water quality in Yongil Bay.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coastal water movement system and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3-D model, the current system was simulated using 3-D model baroclinic model which considers tidal current and density effects. As the results of numerical experiments, it is proved the 3-D model is the most applicable on appearing the current system of the stratificated Yongil Bay difference of density. Form the results of simulation considered tidal current only, it can be clarified that the water body flows in the inner bay through the bottom layer and flows out the outer bay through the surface layer in Yongil Bay. And the fresh water from the Hyongsan river and the thermal discharge form POSCO have a little effect on the current system in Yongil Bay, but the diffusion of heat and salt has an important effect upon the formation of the density stratification of the water quality distribu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current structure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tidal residual current system in Yongil Bay.

  • PDF

영일만내의 유동과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urrent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Yongil Bay)

  • 김헌덕;김종인;류청로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6-252
    • /
    • 2000
  • The water quality in Yeongil Bay is getting worse due to the sewage and the waste water from the surrounding industrial complex The study aims to simulate the current system that is necessary to built ecosystem model for the optium water quality control and clarify the correlation of current system characteristics with water quality in Yongil Bay.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coastal water movement system and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3-D model, the current system was simulated using 3-D baroclinic model considered tidal current and density effects. As the results of numerical experiments, it is proved the 3-D model is the most appliable on the Yongil Bay where current flows slowly and the flow direction is varied by depths. From the results of simulation considered tidal current only, It am be clearly said the water in Yongil Bay flows in through the surface layer and flows out through the bottom layer. And the fresh water from the Hyongsan river and the heated discharge from POSCO have little effect on the current structure in Yonggil Bay, but have and important effect upon the density structure by diffusion of heat and salt. And the water quality distribu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current structure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tidal residual current system.

  • PDF

영일만 저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Fish in Yongil Bay, East Coast of Korea)

  • 이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12-519
    • /
    • 1999
  • 1991년 1월에서 10월 사이 영일만 3개 정점에서 otter trawl을 이용하여 계절별로 어류를 채집하여, 계절에 따른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총 59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돛양태 (Repomucenus lunatus), 두줄망둑 (Tridentiger trigonocephalus), 춤양태 (Repomucenus huguenini), 까나리 (Ammodytes personatus), 청보리멸 (Sillago japonica)가 개체수에서 우점하였다. 출현종수와 채집량은 겨울에는 적었고, 봄과 여름에 많았으며, 종조성은 정점 간의 차이는 적었고 계절에 따라 변하였다 영일만 저어류의 출현종수, 평균 개체수 ($630 inds./10^3\;m^2$) 및 평균 생물량 ($13,131g/10^3\;m^2$)이 서해나 남해 내만에 비하여 높았고, 종다양성지수도 2.00-2.54로 높았다.

  • PDF

한국 영일만에서 수산자원 종조성과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s of Fisheries Resources Composition in the Coastal Ecosystem of the Yongil Bay, Korea)

  • 이재봉;신영재;이수정;이종희;최영민;이동우;김상우;양재형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275-1286
    • /
    • 2012
  • Coastal marine ecosystem plays important role of spawning and nursery grounds for fisheries resources. Yongil Bay is one of major coastal marine ecosystems,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of Korea.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marine organism in the Yongil Bay were investigated by season from March to November 2009. Gill net and pot fisheries were used for survey of pelagic and demersal species composition, and collected 106 species, 67 families, and 7 taxa of fisheries resources from the coastal ecosystem. Species were included 2 species in Ascidiacea, 2 species in Bivalvia, 6 in Cephalopoda, 22 in Crustacea, 5 in Echinodermata, 12 in Gastropoda, and 57 in Pisces. Diversity indices (Shannon index, H') showed seasonal variation with low value of 2.11 in winter, and high value of 2.63 in autumn. Main dominant species were Asterias amurensis, Pleuronectes yokohamae, Siphonalia spadicea fuscolineata, Trachurus japonicas, Sillago japonica, Conger myriaster, Volutharpa ampullaceal, Engraulis japonicus, Asterina pectinifera, and Portunus (Portunus) sanguinolentus that were occupied over 71.5% of total individuals, and 52.9% of wet weight. Seasonal variations of fisheries resources composition were discussed on correlationships with those of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oastal ecosystem of the Yongil Bay in Korea. Thos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provide scientific data and information to develop the ecosystem-based coastal fisheries assessment and management system in Korea.

영일만 수질의 시공간적 변동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Yongil Bay)

  • 강양순;김귀영;심정민;성기탁;박진일;공재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31-437
    • /
    • 2002
  • 영일만 수질의 시공간적인 변동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영일만의 13개 조사정점의 1990년부터 1998년까지 9개년간 각 계절별 수질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수질의 시 $\cdot$공간적 변동상황을 조사하였다. 염분은 강수량이 많은 8월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고, 정점별로는 하천수가 유출되는 만내측인 St-2에서부터 만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염분의 양이 높아졌다. 용존무기질소 평균농도 중에서 질산질소가 $65.0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또한 염분이 낮고 강수량이 많은 8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만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양이 감소되었다. 염분과 영양염간의 상관을 종합해서 보면 모든 정점에서 질산질소와 유의적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형산강, 냉천등의 하천수의 유입이 질산질소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일만의 주오염원은 하천수 유입에 의한 질산질소인 것으로 생각된다. 주성분분석결과를 통해 영일만의 시$\cdot$공간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주된 요인은 하천수 유입에 따른 질산질소의 증가로 영일만의 계속되는 적조를 막고, 만내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하천으로부터 질산질소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 남동부 영일만의 천부 지질구조 (Shallow Geological Structure of the Yongil Bay, Southeast Coast of Korea)

  • 최동림;김성렬;석봉출;오재경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3-62
    • /
    • 1993
  • 영일만에서 획득한 고해상 천부탄성파 탐사자료의 정밀분석을 통해 지질구조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영일만의 해저는 구룡반도 쪽으로 좀 더 깊게 북동-남서 방향으로 깊어진다. 영일만 내해와 구룡반도의 인근해역은 하부의 제4기 하천성 퇴적물과 상부의 뻘질 퇴적층에 의해 평탄한 해저면을 형성한다. 우목리 외해역은 제3기 퇴적암이 침식작용을 받아 해저면에 노출되어 있다. 제3기 퇴적층에는 단층 및 습곡구조가 매우 잘 발달해 있다. 구조발달 경향은 동쪽지괴가 서쪽지괴를 고각도로 트러스트하는 역단층들이 주로 남-북 내지 북북서-남남동 방향성의 구조선을 보이며 우세하게 발달해 있다. 또한 정단층이 일부 지역에서 북서-남동 내지 서북서-동남동 방향으로 나타난다. 우목리 인근해역에는 북동-남서 방향성의 규모가 큰 습곡구조가 특징적으로 발달해 있다. 영일만에 발달한 지질구조들은 후기 마이오세 초 동-서 내지 북서-남동 방향으로 부터 압축응력작용을 받은 결과로 해석된다.

  • PDF

동해 영일만의 모래해변 쇄파대에 사는 곤쟁이류 Archaeomysis kokuboi와 Acanthomysis sp. 두 종의 주야 수평이동 (Diel Horizontal Migration of the Two Mysids Archaeomysis kokuboi and Acanthomysis sp. in the Sandy Shore Surf Zone of Yongil Bay, Eastern Korea)

  • 서해립;조수근;김광용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23-528
    • /
    • 1995
  • 동해 영일만의 모래해안 쇄파대에 사는 곤쟁이류 Archaeomysis kokuboi와 Acanthomysis sp.는 서로 다른 모습으로 주야 수평이동을 했다. Acanthomysis sp.는 어두워지면서 수심 1 m의 저층에서 유의하게 많이 잡혔고 해가 뜨면서 수심 1 m보다 깊은 곳으로 이동했다. 이때 생긴 빈 자리를 A. kokuboi가 차지했다. 한편 A. kokuboi도 오후가 되면서 수심 1 m보다 깊은 곳으로 이동했다. 파도가 강한 노출형 모래해안에서 A. kokuboi는 조간대에 사는 곤쟁이류로 알려졌으나, 영일만 모래해안에서는 조간대에 살지 않았다. 이 현상을 파도가 약한 차폐형 모래해안에 A. kokuboi가 적응한 결과로 해석했다. 쇄파대의 풍부한 먹이환경도 서식지를 바꾸는 데 기여한 듯 하다.

  • PDF

태풍파를 기준으로한 전설계수심의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Total Design Water Depth From Typhoon Waves)

  • 이종우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5-65
    • /
    • 1989
  • Various typhoon data near Yongil Bay, Korea from 1961 to 1985 were collected with some critria and analyzed with the help of the computer. Introducing the pressure profile models and predicting the typhoon wind and wave fields, the 100-year design wave parameters were calculated. Additionally, the wave data at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deep water wave climate of this bay indicated that Typhoon Brenda, 1985 had wave characteristics of 100-year return period, Typhoon model and storm surge model studies were made for this typhoon. These, including other design parameters, were introduced into the calculation of total design water depth.

  • PDF

Seasonal Change in the Reproductive Pattern of the Marine Cladoceran Podon polyphemoides in Korean Waters

  • YOO Kwang-Il;KIM Se-Wha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1-144
    • /
    • 1990
  • Seasonal change in the reproductive pattern of the marine Cladoceran Podon polyphemoides, was studied using materials collected monthly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to December 1986 in Yongil Bay, Korea. The relative abundance of P. polyphemoides exceeded $10\%$ of total zooplankton in July. While the species remained as a minor components of the zooplankton community during the other periods of occurrence from June to December. Occurrence of sexual individuals of P. polyphemoides (males and gamogenetic females) in higher proportion in cold months ($30\%$ in November and $40\%$ in December) suggests that resting egg production of this species is largely confined to cold monthis in Korean waters as an overwintering strategy.

  • PDF

영일만 표영군집내의 $^{210}Po$ 축적 ([ $^{210}Po$ ] Accumulation in the Pelagic Community of Yongil Bay, Korea)

  • 서해립;김성수;고유봉;남기완;윤성규;윤양호;조수근;홍재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9-226
    • /
    • 1995
  • 1993년 여름 영일만에서 채집한 해수, 플랑크톤, 어류 내의 천연 방사성 핵종 $^{210}Po$ 농도를 조사했다. 해수중의 평균농도는 $1.9mBq/l$이었고, 용존성의 비율은 $46\%$였다. 식물플랑크톤 세포수의 $95\%$이상을 차지한 중심목 규조 Skeletonema costatum의 농축계수는 $7.6\times10^4$이었다. 동물플랑크톤 다섯 종을 조사했는데, 그 가운데 요각류와 곤쟁이류 두 종씩 모두 네 종의 농도범위는 $210-584mBq/g$ (건조중량)이었으나, 요각류 Labidocera bipinnata는 2,070mBq/g으로 예외적으로 매우 높았다. 이 자료에서 L. bipinnata가 육식성 포식자로 나타났다. 어류 유문맹낭의 $^{210}Po$이 농도와 농축계수는 따로따로 2,979-3,810mBq/g과 $3.4-4.3\times10^6$이었다. 생물체내 $^{210}Po$의 농축계수는 식물플랑크톤 < 여과섭식 요각류 < 잡식성 곤쟁이류 < 육식성 요각류 < 부어류 순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