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llow Geological Structure of the Yongil Bay, Southeast Coast of Korea

한국 남동부 영일만의 천부 지질구조

  • 최동림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지구물리연구그룹) ;
  • 김성렬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지구물리연구그룹) ;
  • 석봉출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지구물리연구그룹) ;
  • 오재경 (인하대학교 해양학과)
  • Published : 1993.12.01

Abstract

The geologic structure of the Yongil Bay was studied in detail based on high resolution seismic profiles. The seafloor trends NE to SW with a deeper part off the Kuryong Peninsula. The seafloor is rather smooth due to the Quaternary fluvial deposits in the lower part and muddy sediments in the upper part. The seafloor off Umockri is very irregular due to erosion where Tertiary sedimentary rocks crop out. The underlying basement rocks were strongly deformed with faults and folds. High-angled reverse faults mostly trend N-S and NNW-SSE and are indicative of westward thrusting. Normal faults in NW-SE and WNW-ESE directions occur locally. Large folding structures trend NE-SW nearshore area of Umockri. The geologic structure suggests that the bay was subject to compressional stress regimes trending E-W and/or NW-SE prior to the early Late Miocene.

영일만에서 획득한 고해상 천부탄성파 탐사자료의 정밀분석을 통해 지질구조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영일만의 해저는 구룡반도 쪽으로 좀 더 깊게 북동-남서 방향으로 깊어진다. 영일만 내해와 구룡반도의 인근해역은 하부의 제4기 하천성 퇴적물과 상부의 뻘질 퇴적층에 의해 평탄한 해저면을 형성한다. 우목리 외해역은 제3기 퇴적암이 침식작용을 받아 해저면에 노출되어 있다. 제3기 퇴적층에는 단층 및 습곡구조가 매우 잘 발달해 있다. 구조발달 경향은 동쪽지괴가 서쪽지괴를 고각도로 트러스트하는 역단층들이 주로 남-북 내지 북북서-남남동 방향성의 구조선을 보이며 우세하게 발달해 있다. 또한 정단층이 일부 지역에서 북서-남동 내지 서북서-동남동 방향으로 나타난다. 우목리 인근해역에는 북동-남서 방향성의 규모가 큰 습곡구조가 특징적으로 발달해 있다. 영일만에 발달한 지질구조들은 후기 마이오세 초 동-서 내지 북서-남동 방향으로 부터 압축응력작용을 받은 결과로 해석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