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lk index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6초

산란계에 있어 Fermkito 50의 첨가가 혈청 및 난황내 콜레스테롤 함량과 계란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kito 50 Supplementation on Serum and Egg Yolk Cholesterol Levels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 홍종옥;문태현;권오석;이상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13
    • /
    • 2001
  • This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Fermkito 50 on the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hens. One hundred forty four, 50 weeks old ISA brown commercial layer, were used in a 28 d growth assay. Dietary treatments included 1) control(basal diet), 2) FERMO.5(based diet+0.5% Fermkito), 2) FERM1.0(basal diet+1.0% Fermkito), 3) FERM+YU(basal diet+0.5% Fermkito and 0.05% yucca extract). Overall (d 0 to 28), egg production tended to increase as the concentration of Fermkito 50 in the diets was increased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P〈0.05). As adding level of Fermkito 50 increased in the diets, egg weight tended to increase. Laying hens fed FERM+YU diet were higher egg weight than laying hens fed control diet(P〈0.05). Egg shell breaking strength was not influenced by Fermkito 50. As adding level of Fermkito 50 was increased in the diets, yolk color tended to increase. Laying hens fed FERM+YU diet had improved egg yolk index compared to laying hens fed control diet. Total-cholesterol of egg yolk in FERM1.0 and FERM+YU treatmen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in control diet(p〈0.05). Tota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in serum tended to increase as the concentration of Fermkito 50 in the diets was decreased(P〈0.05). Also,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in serum with FERM1.0 and FEUM+YU treatm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diet(P〈0.05). However, LDL-cholesterol concentration in serum with FERM1.0 and FERM0.5+YU treatm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diet(P〈0.05). In conclusion, supplemental Fermkito 50 in laying hen diets can be used to improve egg quality.

  • PDF

Effect of dietary lutein on the egg production, fertility, and oxidative injury indexes of aged hens

  • N. Liu;X. Ji;Z. Song;X. Deng;J. Wang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8호
    • /
    • pp.1221-1227
    • /
    • 2023
  • Objectiv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lutein on egg production, follicles, reproductive hormones, fertility, hatchability, and oxidative injury indexes of hens. Methods: Treatments consisted of a control diet (CON) and three lutein-supplementing diets at 25 (L1), 50 (L2), or 75 (L3) mg/kg of diet. Egg production was measured using 576 Arbor Acres breeder hens at 61 to 65 wk and follicles grades, reproductive hormones, fertility, hatchability, tissue lutein contents, and oxidative injury indexes were determined at 65 wk.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at 65 wk, lutein- supplementing diets increased (p<0.05) egg production, follicular grades, fertility, hatchability, estradiol (E2), luteinizing hormone, progesterone (PROG), lutein content in the serum and yolk, compared to CON. L2 and L3 showed more pronounced (p<0.05) effects on egg production, PROG, and yolk lutein content than L1. With the increase of lutein doses from 25 to 75 mg/kg, there were linear increases (p<0.05) in egg production, lutein content, and PROG, and a quadratic trend (p<0.05) in E2. For the oxidative injury products, lutein-supplementing diets decreased (p<0.05) malondialdehyde (MDA) and protein carbonyl (PCO) in the serum, MDA and 8-hydroxy 2 deoxyguanosine (8-OHdG) in the yolk. There were linear decreases (p<0.05) in 8-OHdG in the serum, MDA, PCO, and 8-OHdG in the yolk, a quadratic trend (p<0.05) on serum 8-OHdG.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lutein supplementation can improve egg production and fertility by beneficially regulating reproductive hormones and oxidative status in aged hens.

고선량 감마선 조사가 신선란의 저장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 Dose ${\gamma}-irradia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hell Eggs during Storage)

  • 문선애;송경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4호
    • /
    • pp.260-265
    • /
    • 2000
  • 고선량 감마선 조사에 의한 계란의 저장 중 품질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신선란을 $^{60}Co$를 이용하여 조사선량을 0, 1, 5, 10, 30 kGy로 하여 조사한 후 30일간 저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조사된 계란의 품질 변화는 난황계수, 난황 색깔, 난백 pH, 난백 점도, 계란 중량, 난백 단백질의 SDS-PAGE 패턴, circular dichroism(CD), fluorescence spectroscopy 등을 측정함으로써 살펴보았다. 저장기간 중 난황계수는 감마선 조사된 계란과 대조구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선량이 증가할수록 난황계수는 감소하였고 10 kGy와 30 kGy 등 고선량으로 조사된 계란에서 난황계수가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난황 색깔은 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밝은 노란색을 나타냈으나 저장 기간 동안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난백 점도는 선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저장 중 점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조사된 계란의 난백 pH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고 저장 중 pH는 증가를 보였다. 저장 중 난중 감소율은 증가하였고 선량별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난백 단백질의 SDS-PAGE 패턴은 조사 선량이 증가할수록 단백질의 변화가 켰는데 10 kGy 이상 고선량 조사에서는 저분자화 뿐만 아니라 고분자화 패턴도 보였다. CD와 fluorescence spectroscopy 결과 또한 감마선조사에 의한 단백질의 2차, 3차구조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계란의 감마선조사에 있어 품질 유지를 위해서는 선량 범위에 있어 보다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산란계에 있어 생균제의 첨가가 계란품질 및 배설물내 유해가스 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obiotics Supplementation on Egg Quality and Excretal Noxious Gas in Laying Hens)

  • 홍종욱;김인호;권오석;한영근;이상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213-220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생균제를 산란계에 급여하였을 때 계란품질 및 배설물내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36주령 ISA brown 산란계 144수를 공시하였으며, 처리구로는 옥수수-대두박 기초 사료구(Con; basal diet), 기초 사료구에 생균제를 0.3%(PB0.3; basal diet + 0.3% probiotics)와 0.6%(PB0.6; basal diet + 0.6% probiotics) 첨가한 구로 구성되었다. 총 28일간의 사양시험 기간동안, 산란율, 난중 그리고 난각 강도에 있어서는 처리간에 차이는 있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난각의 두께에 있어서는 PB0.6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linear effect, P$<$0.01). 난황색에 있어서는 생균제를 첨가함에 따라 대조구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linear effect, P$<$0.02), 난황계수에 있어서도 생균제를 첨가함에 따라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linear effect, P$<$0.04). 배설물내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에 있어서는 PB0.6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linear effect, P$<$0.04). 결론적으로, 산란계 사료내 생균제의 첨가가 난각두께, 난황색 및 난황계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되며, 배설물내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농어목 어류, Caesio diagramma 암컷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in Female Fusilier, Caesio diagramma)

  • 최철영;장영진;죽촌명양;고야화칙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3-81
    • /
    • 1996
  • 농어목 어류인 Caesio diagramma의 생식주기를 밝히기 위하여 난모세포의 발달과정을 조직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난모세포의 발달과정은 염색인기, 주변인기, 유구기, 제1차 난황구기, 제2차 난황구기 및 제3차 난황구기의 6단계로 구분되었다. 염색인기와 주변인기의 난모세포는 연중 관찰되었으며, 난모세포 발달과정에서의 특징은 난소 내에서 유구가 초기에 형성되며, PAS 염색 결과 난황포는 타어류에 비하여 크기가 작았고 양도 적었다. 4월에 채집된 어류의 난소에서는 난황 형성기의 난모세포가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5\~6$월의 난소에서는 제3차 난황구기 난모세포가 관찰되었으며, 연중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또한, 이 시기부터 난소의 일부에서는 배란을 마친 여포와 퇴화중인 난모세포도 다수 관찰되었으며, 7월까지 이어졌다. 9월 이후의 난소에서는 난황 형성기의 난모세포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12월까지 염색인기 및 주변인기의 난모세포가 주류를 이루었다. 생식소중량지수(GSI)와 간중량지수(HSI)는 4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5\~6$월에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GSI와 HSI의 변화는 난모세포의 발달과정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C. diagramma의 주산란기는 $5\~6$월이며, 난소의 발달과정과 여러 형태의 여포가 존재하는 점으로 미루어, 본 종은 비동기발달형의 난소를 가지며 다회산란 어류에 속한다.

  • PDF

2~5월 사이의 이스라엘 잉어(Cyprinus carpio) 난모세포의 조직학적 변화 및 호르몬 수준의 변화 (Histological Changes of Oocytes Development and Hormone Levels in the Israeli carp (Cyprinus carpio) from February to May)

  • 이재현;윤종만;박홍양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1-32
    • /
    • 1989
  • 이스라엘 잉어 난모세포의 발달단계와 혈청중 호르몬 농도의 변화를 알기 위해서 2월부터 3월까지 본 연구를 수행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소가 발달되는 3월에 들어와서 혈청중 LH 수준이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했다. 2. LH 수준은 G.S.I.의 변화와 높은 상관관계에 있었다. 3. 3월경부터 G.S.I.가 급격하게 증가했다 4. 3월중에는 성숙단계가 상당히 증가했다. 5. Early Perinuclcolus oocyte가 late perinucleolus core로의 빠른 발달을 나타냈다. 6. 난황이 축적됨으로써 late perinucleolus oocyte가 초기성숙단계인 oocyte로 되는 시기에 vitellogenesis가 시작되었다. 7. Oocyte가 후기성숙단계에 도달했을 때 세포질내에 난황으로 가득 채워졌다. 8. 이스라엘 잉어 난소의 헌미경적 형태의 변화는 G.S.I. 외관상의 변화와 연관성이 깊었다 9. LH는 이스라엘 잉어의 성성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목초액 함유 활성탄의 급여가 산란계에서 계란의 품질과 화학적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Activated Charcoal Mixed with Wood Vinegar on Qual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Egg in Laying Hens)

  • 김관응;유선종;안병기;조태수;안병준;최돈하;강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59-68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목초액 함유 활성탄(activated charcoal, AC)의 급여가 산란계에서 난생산성, 난질과 난각질, 혈액 내 콜레스테롤 분획과 효소 활성 및 난황 내 지질 조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총 192수의 56주령 Lohmann 갈색 계통의 실용 산란계를 4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0% AC, 0.5% AC, 1% AC 및 2% AC를 함유하는 실험 사료를 각각 5주간 급여하였다. 사료 섭취량과 난 생산성은 매일 기록하였으며 할란 검사는 주 단위로 실시하였다. 사양실험 종료 시 각 공시계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 GOT 및 GPT 활성을 조사하였다. 실험 종료일에 수거한 계란을 할란하여 난질을 검사한 후 난황을 채취하여 난황 내 콜레스테롤 함량과 지방산 조성을 측정하였고, 실험 3주와 5주의 계란을 1일, 7일, 14일간 저장 한 후 난황막 강도를 측정하였다. 난 생산성, 사료 섭취량 및 난황막 강도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AC 2% 첨가구에서 난각강도와 Haugh unit의 유의한 개선이 관찰되었다(P<0.05). 난황계수 역시 AC 2%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난황색은 대조구에 비해 AC를 첨가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저장시간의 경과에 따른 계란의 보존성을 난황막 강도를 지표로 조사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활성탄의 첨가가 난황막 강도의 저하를 다소 완화시키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혈청 내 GOT 및 GPT 농도에서는 처리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혈청 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 농도에서도 AC 첨가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난황 내 총지질 함량은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는데, AC 1%와 2%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난황 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과 지방산 조성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본 연구에서는 산란계 사료 내 AC의 첨가 급여가 난각 강도, Haugh unit 및 난황색, 난황계수를 개선시킴으로서 고품질 계란 생산을 위한 기능성 첨가제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색인어 : 활성탄, 목초액, 생산성, 난각강도, 호우유니트, 산란계)

계란의 유통 중 품질예측을 위한 품질지표 선정 (Choosing quality indicators for quality prediction of egg in circulation)

  • 이혜옥;김지영;김병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09-617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계란의 유통 중 신선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적정 품질지표를 선정하고자 수행되었다. 산란 직후 0, 10, 20 및 $30^{\circ}C$에서 저장하면서 중량감모율, 비중, 색도, 난황계수, 난백계수, Haugh unit(HU), pH 및 관능특성 변화를 조사한 후 각 품질특성과 관능적 기호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저장온도에 따른 중량감모율, 비중, 난황계수, 난백계수 및 HU와 기호도와의 상관관계는 모든 온도 조건에서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5). 특히 중량감모율과 기호도와의 상관관계는 0, 10, 20 및 $30^{\circ}C$에서 각각 r = -0.78, r = -0.93, r = -0.95 및 r = -0.99로 난백계수와 기호도와의 상관관계는 r = 0.66, r = 0.89, r = 0.89 및 r = 0.93으로 그리고 HU와 기호도와의 상관계수는 r = 0.64, r = 0.92, r = 0.96 및 r = 0.98로 유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p<0.01). 반면에 색도와 pH는 각기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어 품질평가 자료로 이용하기에는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모든 저장온도에서 관능적 기호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중량감모율, 비중, 난황계수, 난백계수 및 HU의 변화를 계란의 유통 중 신선도 예측을 위한 품질지표로 선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Dietary Protein Sources Affect Internal Quality of Raw and Cooked Shell Eggs under Refrigerated Conditions

  • Wang, X.C.;Zhang, H.J.;Wu, S.G.;Yue, H.Y.;Wang, J.;Li, Jie;Qi, Guang-H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1호
    • /
    • pp.1641-1648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various protein sources (soybean meal, SBM; cottonseed protein, CSP; double-zero rapeseed meal, DRM) on the internal quality of refrigerated eggs. A total of 360 laying hens (32 wk of age) were randomly allotted to six treatment groups (five replicates per treatment) and fed diets containing SBM, CSP, or DRM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with equal crude protein content (SBM-CSP, SBM-DRM, and CSP-DRM) as the protein ingredient(s). A $6{\times}3$ factorial arrangement was employed with dietary types and storage time (0 d, 2 wk, and 4 wk) as the main effects. After 12 wk of diet feeding, a total of 270 eggs were collected for egg quality determination. The egg Haugh unit (HU) in the CSP, SBM-DRM, and DRM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SBM and SBM-CSP groups. The hardness and springiness of the cooked yolk in the CSP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treatment groups. A lower HU, lower yolk index and higher albumen pH were observed in the DRM group compared to the SBM and SBM-CSP groups when the eggs were stored to 4 wk, and the HU was improved in the CSP-DRM group compared to the DRM group (p<0.05). Higher yolk hardness was observed in the CSP grou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during storage (p<0.05), but the hardness of the cooked yolk in the SBM-CSP and CSP-DRM groups showed no difference in comparison to the SBM group. In conclusion, CSP may ameliorate the negative effects of DRM on the HU of refrigerated eggs, and SBM or DRM may alleviate the adverse effects of CSP on yolk hardness.

Humic Substances의 급여가 산란계의 산란율과 난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l Humic Substances on Egg Production and Quality in Laying Hens)

  • 왕기;유종상;진영걸;김해진;조진호;민병준;박병철;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17-321
    • /
    • 2006
  • 본 연구는 humic substances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난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55주령 ISA brown 갈색계 252수를 공시하였고, 6주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1) CON (basal diet),2) HS5 (basal diet added humic substances 5%), and 3) HS10 (basal diet added humic sudstances 10%)으로 처리구당 7반복 반복당 12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전 시험 기간 동안 hmic substances을 10% 첨가한 처리구는 난 생산성과 난황 직경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난황색은 HS10 처리구가 CON처리구와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다(P<0.05). 개시시 난중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난각 강도에서는 HS5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산란계 사료내 HS 5% 또는 10%의 첨가는 난황색 및 난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