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ield component

검색결과 611건 처리시간 0.02초

단기간 침수처리 하에서 유채의 생리적 반응, 지방산 조성과 수확량 (Physiological Response, Fatty Acid Composition and Yield Component of Brassica napus L. under Short-term Waterlogging)

  • 구양규;박원;방진기;장영석;김용범;배현종;서미정;안성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2-147
    • /
    • 2009
  • 단기간 침수처리에 의한 유채의 영양생장과 생식생장기의 생리적 반응, 지방산 조성과 수확량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영양생장 단계에서 10일과 생식생장 단계에서 4일 침수한 결과를 영양생장과 생식생 장기 모두 광합성, 기공전도도와 증산량은 침수처리 기간과 회복시기에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침수처리가 끝난 처리구에서 광합성과 기공전도도는 $2{\sim}3$일 내에 대조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침수처리된 작품의 지방산 조성은 대조구에 비해 통계적 유의성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수확량과 관련된 요인들에서 현저하게 감소함으로 생식생장 단계에서의 단기간 침수처리가 수확량 요인에 큰 영향을 줌으로서 종자 수확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야콘의 재배지대 구분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Classification of Yacon Cultivation Areas in Korea)

  • 김수정;손황배;홍수영;남정환;장동칠;김기덕;서종택;구본철;김율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49-155
    • /
    • 2017
  • 본 연구는 야콘의 안정적 생산을 위한 재배지대 설정을 위해 2011년부터 2013년까지 4년간 8개 지역을 대상으로 생산성과 기능성 성분 함량을 조사하였고, 기상 등 재배환경과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이들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성분 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야콘 8재배지역에서 16개의 농업적 형질과 기상데이터을 조사한 결과 재배지대를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은 p < 0.001 수준에서 평균온도, 최고온도, 최저온도, 무상일수 및 프락토올리고당으로 나타났으며, p < 0.01 수준에서 총수량, 상품수량, 글루코스 및 환원당으로 나타났다. 2. 야콘 재배지대별 주성분 분석에 이용된 16개의 농업적 형질 및 기상자료 중 제 1주성분은 약 8개, 제 2 및 3주성분은 각각 약 4개의 형질을 대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야콘 재배지대를 분류하는데 있어서 생산성, 프락토올리고당, 기후변화와 관련된 요인이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야콘 재배지대별 주성분 분석한 결과, 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Group I에서는 상품수량이 2,622~3,196 kg/10a로 가장 많았고, 프락토올리고당 함량이 9.04~9.62%로 높았고, 평균온도가 $17.3{\sim}18.5^{\circ}C$로 서늘한 기후 조건을 나타내는 해발 500~560 m의 준고랭지 지역인 진부, 봉화 지역이었다. Group II에서는 상품수량이 가장 적었고, 프락토올리고당 함량이 비교적 적고, 최고온도가 가장 높은 해발 20~180 m의 평난지인 순천, 옥천, 여주, 강릉 지역이었다. Group III에서는 Group I과 Group II의 중간 값을 나타내었다. 4. 야콘 재배지역에 따라 기온환경에 따라 상품수량 및 프락토올리고당 함량이 차이를 나타내어 재배적지를 판단하는데 온도조건과 무상일수가 중요한 지표로 판단되므로 품질이 우수한 야콘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준고랭지인 해발 500~560 m에서 재배하는 것이 수량과 기능성 물질인 프락토올리고당 함량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육성연대가 다른 벼 품종들의 수량형질 연차간 변이와 안정성 (Yearly Variation and Stability of Yield Characters in Rice Varieties Released in Different fears)

  • 이점호;정국현;김홍열;양세준;최해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361-365
    • /
    • 2000
  • 20세기에 재배되었던 우리나라 벼 품종 중에서 육성년대별로 비교적 널리 보급되었던 15개 품종에 대하여 수량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수량의 연차간 안정성을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량구성요소 가운데 연차간 변이가 가장 작은 품종은 주당수수에서 다산벼, 수당립수에서 조동지, 등숙비율에서 용문벼, 천립중에서 낙동벼, 수량에서 다산벼였다. 2. Stroike and Johnson의 모델을 이용한 분석결과 자포니카에서 일품벼, 화성벼, 동진벼 통일형에서 안다벼, 다산벼가 평균 이상의 연차간 안정성을 보였다. 3. Grafius의 모델을 이용한 분석에서 universal variety의 만족조건을 충족시키는 품종으로는 자포니카에서 일품벼, 동진벼, 화성벼, 낙동벼, 조동지 등이었고, 통일형에서 다산벼와 삼강벼 등이었다. 4. Finlay and Wilkinson의 모델을 이용하여 안정성을 검정한 결과 자포니카에서 다마금. 동진벼, 화성벼, 일품벼 통일형에서 다산벼와 용문벼가 연차간 환경변이에 대하여 적응성이 높았다. 5. 이상의 3가지 검정방법으로 연차간 수량과 안정성을 추정하여 볼 때 공시품종 중에 최근 육성 품종들이 높은 안정성과 수량성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추락(秋落)의 원인(原因)과 그 대책(對策)에 관(關)한 연구(硏究) -V. 추락답(秋落畓)에서 미분탄회(微粉炭灰)의 시용(施用)이 수도수량(水稻收量) 구성요소(構成要素)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cause and control of the 'AKIOCHI' -V. The effects of the 'Green ash' application on the yield factors of rice in 'AKIOCHI' paddy-)

  • 이은웅;조재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권
    • /
    • pp.51-56
    • /
    • 1965
  • 누수과다답(漏水過多沓)에서 미분탄회(微粉炭灰)의 시용(施用)이 수도수량(水稻收量) 및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에 미치는 영향(影響) 및 규산고토석회(硅酸苦土石灰), 석회(石灰) 등(等)과의 비효(肥效)를 비교(比較)하고저 실험처리구(實驗處理區)로 10a당(當) 규산고토석회(硅酸苦土石灰) 75kg구(區), 석회(石灰) 150kg구(區), 미분탄회(微粉炭灰) 75kg구(區), 150kg구(區), 225kg구(區), 300kg구(區), 375kg구(區), 450kg구(區) 및 무처리대조구(無處理對照區)를 두고 수도품종(水稻品種) 팔달(八達)을 공시(公試)하여 실험(實驗)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미분탄회(微粉炭灰), 규산고토석회(硅酸苦土石灰) 및 석회(石灰)의 시용(施用)은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하여 각구(各區) 모두 수도생육(水稻生育) 및 수량(收量)을 증대(增大)시키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특히 수량구성요소적(收量構成要素的)으로 보면 임실율(稔實率)을 높이는데 효과(?果)가 컸다. 2. 미분탄회(微粉炭灰)의 시용(施用)은 그 양(量)을 증가(增加)시킬수록 수량(收量)도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는데 10a당(當) 300kg 이상(以上)의 시용구(施用區)에 있어서는 큰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며, 이것은 규산고토석회시용구(硅酸苦土石灰施用區)의 수량(收量)과 거의 비슷한 것이었고 미분탄회(微粉炭灰) 225kg 시용구(施用區)는 석회시용구(石灰施用區)와 거의 그 수량(收量)이 동등(同等)하였다. 3. 따라서 미분탄회(微粉炭灰)의 시용량(施用量)은 10a당(當) 300kg내외(內外)가 효과적(?果的)인 것으로 보인다.

  • PDF

초임계유체 $CO_{2}$를 이용한 참깨박 중 참기름 추출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Sesame oil Extraction from Sesame cake using Supercritical Fluid $CO_{2}$)

  • 김성주;김영종;장규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31-437
    • /
    • 2005
  • Overall experiments were planned by central composite design, and results were analyz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o determine effects of three independent variables, temperature ($X_{1}$), extraction time ($X_{3}$), and pressure ($X_{3}$), on yield of sesame oil extract (Y). Regression equation model optimized by response surface analysis was: Y (sesame oil) = $-3.89+0.07X_{1}+0.03X_{2}+0.0006X_{3}-0.0007X_{1}^{2}-0.0002X_{2}X_{1}-0.00008X_{2}^{2}+0.000004X_{3}X_{1}+0.0000009X_{3}X_{2}-0.00000009X_{3}^{2}$. According to RSM analysis, optimum extracting conditions of temperature, time, and pressure were $45.89^{\circ}C$, 131.89 min, and 34228.41 kPa, respectively, and statistical maximum yield of sesame oil was 96.27%. Fatty acid composition of sesame oil showed sesame oil extracted by Supereritical Fluid $CO_{2}$ contained lower levels of palmitic, stcaric, and oleic acids and higher levels or palmitoleic and linoleic acids than commercial sesame oil. Commercial and extracted sesame oils were analyzed by electronic nose composed of 12 different metal oxide sensors. Obtained data were interpreted by statistical method of MANOVA. Sensitivities of sensors from electronic nose were analys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roportion of first principal component was 99.92%. All sesame oils showed different odors (p < 0.05).

단삼의 수확시기에 따른 생육 특성 및 주요 성분 변이 (Changes of Major Components and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arvesting Times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 김영국;안태진;허목;이정훈;이윤지;차선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95-399
    • /
    • 2015
  • Background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harvesting time on the growth, yield characteristics, and major beneficial components in Salvia miltiorrhiza. Methods and Results : Although plant height, stem diameter and branch length were not affected by harvesting time, the number of stems was highest when harvested in mid Octob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oot length and thickness, however, the rhizome was thicker when it was harvested at the end of October or early November than when it was harvested in early and mid October. The dried root weight also showed a similar pattern.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to 408 kg (16%) in the rhizome weight when in late October and a rise to 455 kg (29%) when harvested in early November. Harvest time had little effect on the content of the major component of S. miltiorrhiza. For example, salvianolic acid content rose from 9.42 to 9.64% with later harvest times, and tanshinone ${\prod}A$ content was tended to be slightly more increased in mid October which S. miltiorrhiza has 0.22% tanshinon ${\prod}A$ than in early October.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S. miltiorrhiza is early November when plant or major component yields are high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harvest time effects on the major beneficial components.

수집 검정콩의 품종군 분류 (Classification of Black Soybean Collections in Korea)

  • 김수경;김대호;손범영;강동주;한경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02-213
    • /
    • 1997
  • 본 시험은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검정콩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고 우량계통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집한 검정콩 28개 재래종에 대하여 주성분 분석에 의한 품종군 분류와 품종군별 생산적 검정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집 검정콩의 결실일수는 58∼82일, 생육일수는 117∼148일로 변이폭이 컸으며, 결실일수와 생육일수가 길어질수록 100립중이 무거워지는 경향이었다. 2. 만숙군에서 비율이 낮았고, 생육일수는 개화일수, 결실일수, 100립중, 경장, 분지수 등과는 각각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3. 주성분분석 결과 상위 2개의 주성분만으로도 전체 변동의 76.5%를 표시할 수 있었으며, 품종간 유연도를 나타내는 single link cluster 분석으로 28개 수집재래종을 9개의 품종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4. 품종군 분류에 의해 다협, 소립, 다수성인 남해 -2, 함양-1을 나물콩용으로 선발하였다.

  • PDF

수도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기상영향의 해석적 연구 (Analysis of the Effects of Some Meteorological Factors on the Yield Components of Rice)

  • 박석홍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8권
    • /
    • pp.54-87
    • /
    • 1975
  • 수도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몇가지 기상요인의 기여율과 수량 구성요소의 지역내 년차 변이 및 년차내 지역 변이를 검토하여 수도 재배법 개선 및 작황 예측의 참고 자료를 얻고서 1966년부터 1973년까지 8개년간 3개 작물시험장 및 각 도 농촌진흥원포장에서 실시한 수도 작황 시험성적을 재료로 하여 표준 편회귀분석법을 적용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도 수량에 미치는 수량 구성요소의 기여율은 보통기 재배에서는 수수가 가장 크고, 적파 만식재배 및 북부 지방에서의 보통기재배에서는 등숙비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2. 수량 구성요소의 년차 기여율은 수수가 가장 크고, 해에 따라서는 등숙비율과 현미 1,000립중이 컸으며 통일은 단위 면적당 경화수가 수량성립에 크게 영향하였다. 3. 수량 구성요소의 기여율을 적용하여 지역별 수량성립 유형을 1) 영양생장 의존형(V), 2) 편영양생장 의존형(P.V), 3) 중간형(M), 4) 편등숙 의존형 (P.R) 5) 등숙 의존형(R)으로 분류하였다. 대체로 남부지방에서는 단위 면적당 경화수 의존도가 크고 중북부에서는 등숙요소의 의존도가 컸다. 4. 수량에 대한 수량구성 4요소의 회귀식을 상승적인 식에서 대수변환하여 가산적인 식으로 작성하였던바 보통기 재배나 적파 만식재배에서 다같이 가산적인 식으로 계산하였을 때 정도높은 수량측정을 할 수 있었다. 5. 분약 각기의 경수와 수수와의 관계는 보통기재배에서나 만식 재배에서 이앙후 20일부터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인정할 수 있었다. 6. 수수는 이앙후 21∼30일의 기상요인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7. 각기상 요인들의 최고분약수에 미치는 기여율은 이앙후 31∼40일의 평균기온의 기여율이 가장 크고 일조시간의 기여율은 11∼30일의 컸으며 수온의 기영율은 대체로 적었다. 8. 수수의 조기 측정은 경수만의 단요인이나 기상 요인만을 조합한 것보다는 이앙후 20일경수와 이앙후 20∼40일의 최고기온, 기온교차 및 일조시간 등 복합 요인을 조합하므로서 정도 높은 추정식을 작성할 수 있었다. 9. 수당 경화수와 기상 요인과는 출수전 25∼34일에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었는데 중북부에서는 최고기온과 일조시간의 기여율이 컸고, 남부에서는 최저기온과 일조시간의 기여율이 컸으며 최저기온은 부치를 나타냈다. 10. 각 기상 요인들의 등숙비율에 미치는 기여율은 최고기온이 가장 크고 최저기온은 출수전이나 등숙 초기에 부치를 나타냈다. 11. 현미 1,000립중에 미치는 기상요인의 기여율은 최고기온이 등숙초기나 중기에 높고 최저기온은 등숙기간에 대체로 부치를 나타냈다.

  • PDF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First Lactation Monthly Test-day Milk Yields using Random Regression Test Day Model in Karan Fries Cattle

  • Singh, Ajay;Singh, Avtar;Singh, Manvendra;Prakash, Ved;Ambhore, G.S.;Sahoo, S.K.;Dash, Soumy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6호
    • /
    • pp.775-781
    • /
    • 2016
  • A single trait linear mixed random regression test-day model was applied for the first time for analyzing the first lactation monthly test-day milk yield records in Karan Fries cattle. The test-day milk yield data was modeled using a random regression model (RRM) considering different order of Legendre polynomial for the additive genetic effect (4th order) and the permanent environmental effect (5th order). Data pertaining to 1,583 lactation records spread over a period of 30 years were recorded and analyzed in the study. The variance component, heritability and genetic correlations among test-day milk yields were estimated using RRM. RRM heritability estimates of test-day milk yield varied from 0.11 to 0.22 in different test-day records. The estimates of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different test-day milk yields ranged 0.01 (test-day 1 [TD-1] and TD-11) to 0.99 (TD-4 and TD-5). The magnitudes of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test-day milk yields decreased as the interval between test-days increased and adjacent test-day had higher correlations. Additive genetic and permanent environment variances were higher for test-day milk yields at both ends of lactation. The residual variance was observed to be lower than the permanent environment variance for all the test-day milk yields.

Tall fescue 품종의 환경적응성 II. 가을철 건물생산의 품종간 차이와 수량구성요소 (Environmental Adaptation of Tall Fescue Varieties in Mountainous Pastures II. Varieties differences of dry matter production and yield components in growth period of Autumn)

  • 이주삼;한성윤;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8-85
    • /
    • 1993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elect for the varieties with high environmental adaptability in mountainous pastures of Taekwalyong area, and the evaluation was based on the data of varietal differences of dry matter production and yield components in Tall fescue cutting at various developmental stages in growth period of autum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varieties with high number of tillers per plant(NT) showed a high dry weight of plant(DW) in all autumn cuttings. These varieties(Barce1 and Fuego) may be more adaptable to mountainous pastures of Taekwalyon area than other varieties. 2. The number of tillers per plant(NT)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with dry weight of plant (DW), but dry weight of tiller(WT)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ry weight of plant(DW) in all autumn cuttings. 3. Th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of autumn cutting stages with mean dry weight of plant(DW) and number of tillers per plant(NT) can be used to estimate the cutting time to obtain maximum mean dry weight of plant(DW) and the highest number of tillers per plant(NT). The maximum mean dry weight of plant(DW) and the highest number of tillers per plant(NT) was estimated at the time of 21 Oct. and 26 Oct, respectively. 4. Dead leaves tended to increase greatly after the 2nd cutting(l4 Oct.) in growth period of autumn. 5. The number of tillers per plant(NT) was an important yield component before tiller density achieved equilibrium, but dry weight of tiller(WT, including dead leaves) was of most significant as a yield determinant after maximum tiller density reached in growth period of autum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