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rsinia enterocolitica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7초

Detection of Waterborne Pathogens by PCR-reverse Blot Hybridization

  • Choi, Yeon-Im;Lee, Gyu-Sang;Bang, Hye-Eun;Kim, Jong-Bae;Lee, Hye-You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18
    • /
    • 2010
  • The present study was set to develop comprehensive system for assessing the safety of drinking water using PCR-reverse blot hybridization assay (REBA). The REBA developed in this study can detect waterborne pathogens such as Shigella spp., Salmonella spp., Citrobacter spp., Enterobacter spp., Klebsiella spp., Yersinia spp., Mycobacterium spp., Listeria spp. at the genus level, and Escherichia coli, Citrobacter freundii, Klebsiella pneumoniae, Pseudomonas aeruginosa, Yersinia enterocolitica, Y. pseudotuberculosis, Mycobacterium avium complex, M. marinum, Enterococcus faecalis, and Staphylococcus aureus at the species level, and E. coli O157:H7 at the strain level.

국내산 무화과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

  • 정미란;차정단;이영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사단법인 창립총회
    • /
    • pp.96-96
    • /
    • 2003
  • 무화과의 성숙정도에 따른 항균활성을 검색하고자 메탄올과 용매계통분획물에 대하여 8종의 식중독균(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O157:H7, Yersinia enterocolitica,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를 검색하였다. 미숙, I, II기 및 성숙 무화과의 메탄올추출물은 10mg/mLshd도에서 L. monocytogenes, V. parahaemolyticus, E. coli O157:H7과 E. coli에 대해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중략)

  • PDF

이미지 엘립소미트리를 이용한 예시니아 검출용 바이오센서 개발 (Biosensor for Detection of Yersinia enterocolitica based on imaging ellipsometry)

  • Y. M. Bae;Park, K. W.;Park, J. W.;S. I. Cho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1-426
    • /
    • 2003
  • The Immunosensor based on antigen-antibody binding have been developed for detecting several analytes including antigen, small molecules, and cell. This method can be rapid and show very good detection limits. For Implementation of immunosensor, technologies for immobilization of antibody onto solid surface and detection of protein-protein binding must be developed. (an ellipsis)

  • PDF

현미 발효 슬러리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Efficiency in the Fermented Slurry of Unpolished Rice)

  • 최학준;곽경자;최다빈;박재영;정현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07-313
    • /
    • 2015
  • 현미는 도정한 백미보다 이로운 영양분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미를 이용하여 만든 현미 발효 슬러리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균활성에 대해 시험하였으며, 현미발효슬러리의 항균활성은 paper disc-agar diffusion 방법을 이용하여 6가지 병원성 균주(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es, Pseudomonas aeruginosa, Salmonella typhimurium and Yersinia enterocolitica)와 2가지 발효균주(Gluconacetobacter intermedius and Lodderomyces elongisporus)에 대해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Staphylococcus aureus, E. coli, Listeria monocytogenes, P. aeruginosa, Salmonella typhimurium, Y. enterocolitica 그리고 Lodderomyces elongisporus에 대해서는 시판 항생제인 카베니실린과 테트라사이클린보다 더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항산화활성은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대표되는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빅 산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현미발효슬러리의 발효중에 나타나는 균주를 동정하기 위해 TSB 고체배지와 YPD 고체배지에 현미발효슬러리를 도포하였을 때, 분리된 콜로니를 16S rDNA sequence 분석을 통하여, 네가지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phylogenic tree 분석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을 때, 각각 G. intermedi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plantarum 그리고 Acetobacter peroxydans와 유사하였다.

약수에서 분리한 Yersinia pseudotuberculosis의 병원성과 16S rDNA 분석에 의한 분자학적 분류 (Molecular Taxonomy based on 16S rDNA Analysis and Pathogenicity of Yersinia pseudotuberculosis Isolated from Spring Waters)

  • 이영기;최성민;오수경;이강문;염곤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14
    • /
    • 2001
  • 서울시내 25개 자치구에 산재한 약수터에서 5주의 Yersinia pseudotuberculosis를 분리하여 생화학적 특성, 병원성의 유무 및 16S rDNA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리된 Y. pseudotuberculosis는 모두 병원성 유전자인 inv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16S rDNA를 증폭한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NCBI Genbank에 등록된 다른 Yersinia 속 및 장내세균 등과 비교해 본 결과 Yersinia 속 등과는 97.5%에서 100%의 높은 상동성(Similarity)을 나타내었고, 다른 장내세균 등과는 93.0%에서 95.1%의 낮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165 rDNA 염기서열을 기초로 계통수를 작성한 결과 크게 3개의 cluster를 형성하였는데 특히 Y.enterocolitica (Z49830)은 Y.pseudotuberculasis (Z21939)와의 상동성(97.7%)보다 Y.intermedia (X75279)와의 상동성(97.9%)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E. coli (Z83205)는 Proteus vulgaris (AJ233425) 와의 상동성(93.2%)보다 Salmonella enteritidis (U90318)와의 상동성(97.7%)이 더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 PDF

Anti-Outer Membrane Protein 면역단백질을 이용한 Sandwich ELISA 방법에 의한 우유 내 Salmonella의 검출 (Detection of Salmonella in Milk by Sandwich ELISA using Anti-Outer Membrane Protein Immunoglobulins)

  • 최석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6-181
    • /
    • 2004
  • 우유내 Salmonella를 검출하기 위한 Sandwich ELISA의 특이성을 조사하였다. Sandwich ELISA에 사용한 항체들은 OMP 분획을 닭에 면역주사하여 얻은 IgY와 OMP 분획을 gel filtration하여 얻은 분자량 40,000의 OMP를 토끼에 면역 주사하여 얻은 토끼 IgG를 사용하였다. Immnoblot assay에서 IgY는 분자량 6,000의 OMP에 강하게 반응하였으며 토끼 IgG는 분자량 40,000, 35,000과 6,000의 OMP들에 강하게 반응하였다. IgY와 토끼 IgG는 Salmonella typhimurium의 다른 단백질에도 반응하였다. Competitive ELISA에서 IgY가 Salmonella의 두 개 균주에 대해 특이성을 나타냈으며 Eshcherchia coli와 Yersinia enterocolitica에 의하여서는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우유에 세균을 첨가하여 실시한 sandwich ELISA에서 Salmonella typhimurium 2균주가 가장 높은 흡광도를 보였다. Salmonella cholerasuis 균주들은 상대적으로 흡광도가 낮았으며 이루 일부 Salmonella cholerasuis 균주들은 비 Salmonella 균주들과 차이가 없었다.

개머루덩굴 추출물의 식품부패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Ampelopsis brevipedunculata Extracts On Food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

  • 최무영;임태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30-435
    • /
    • 2010
  • 본 연구는 천연 식품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한약 재료로 이용되고 있는 개머루덩굴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식품부패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은 식품부패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효과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Escherichia coli O157:H7 균에 대해 가장 높은 항균효과를 보였다. 또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almonella typhimurium, Yersinia enterocolitica,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O157:H7 균들의 배양액에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를 250, 500, 1,000, 2,000 mg/L 각 농도별로 첨가하여 생육을 조사한 결과 250 mg/L까지는 대조군과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500 mg/L 이상에서는 유의적인(p<0.05)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이 식중독을 유발시키는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개머루덩굴이 효과적인 천연보존료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서울지역 식육판매업소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A survey of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 in butcher's shops in Seoul, Korea)

  • 양윤모;손장원;최태석;박미애;김주영;이주형;신방우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03-208
    • /
    • 2013
  •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 of butcher's shops in Seoul, Korea. For microbial inspections, a total of 584 samples (146 cotton work gloves, 146 utensils and equipments, 154 beef samples, 138 pork samples) were collected from butcher's shops. E. coli and pathogenic bacteria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Yersinia enterocolitica,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and E. coli O157:H7 were tested in the samples. As a result, the level of aerobic plate count (APC) ranged ${\leq}10^4\;CFU/cm^2$ from utensils and equipments, $10^1{\sim}10^9$ CFU/glove from cotton work gloves and ${\leq}10^6$ CFU/g from meat. The APC level of E. coli ranged ${\leq}10^1\;CFU/cm^2$ from utensils and equipments, ${\leq}10^5$ CFU/glove from cotton work gloves, and ${\leq}10^3$ CFU/g from meat, respectively. Staphylococcus aureus was detected in 2 beef samples, 1 pork sample, and 10 used cotton work gloves. Yersinia enterocolitica was detected in 3 beef samples, 1 pork sample, and 3 used cotton work gloves. Listeria monocytogenes was detected in 2 used cotton work gloves. In order to improve the sanitation status of butcher's shops, application of 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or SSOP (Sanitatio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regular hygiene education, and continuous monitoring for microorganisms will be required.

Lactobacillus plantarum KU107이 생산하는 박테리토신의 특성 및 Staphylococcus aureus 억제 작용 (Chnracterization and Inhibitory Activity on Staphylococcus aureus of a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KU107)

  • 주관석;오세종;한경식;전우민;김세헌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1-86
    • /
    • 2002
  • 쇠고기 분쇄육으로부터 박테리오신 생산균주를 분리하여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 ssp. 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당발효성 실험결과 95%의 신뢰도로 L. plantarum으로 동정되어 L. plantarum KU107로 명명하였다. L. plantarum KU107이 생산하는 박테이로신은 trypsin과 pepsin의 처리에 의해 활성이 소실되었으며 pH 2와 12에서도 활력이 완전하게 소실되지 않는 pH 안정성과 열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 박테리오신은 Bacillus cereus, Listeria inoccua, Listeria mona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intermedius KCCM 11806, 그리고 Yersinia enterocolitica에 대해서도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S. aureus가 접종된 쇠고기 분쇄육에 박테리오신을 처리한 경우, 대조구와는 다르게 저장 7일째까지 접종된 S. aureus 초기균수와 유의적인 차이없이 성장을 지연시킴을 알 수 있었으며 저장 14일까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현저히 적은 균수를 나타내었다.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길경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Platycodon glandiforum A. De. candolle on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 김복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79-384
    • /
    • 2000
  • 길경중 물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을 5종의 식중독세균(Listeria monocytogenes ATCC 15313, Staphylococcus aureus 196E ATCC 13565,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43895,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3311, Yersinia enterocolitica)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검색한 결과 Gram양성균인 L. monocytogenes에 대하여 물 및 에탄을 추출물 모두 MIC가 60$\mu\textrm{g}$/ml으로 극히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여주었으며 항균효과가 높은 추출물의 열 안정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Listeria monocytogenes균 ATCC 15313, 19111 및 19113등 3종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길경 내 항균성물질은 121$^{\circ}C$ 에서 15분간 처리 시에도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보아 열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길경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항균효과를 실험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500$\mu\textrm{g}$/m1일 때 Listeria monocytogenes균 ATCC 15313, 19111 및 19113 균 모두에 거의 안정된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5313에 대하여 더욱 강한 항균효과를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