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onsan-Ogy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5초

MS 마커를 활용한 지역별 오계 유전자원의 다양성 및 유연관계 분석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 of Ogye Population in Korea Using 25 Microsatellite Markers)

  • 노희종;김관우;이진욱;전다연;김승창;전익수;고응규;이준헌;김성희;백준종;오동엽;한재용;이승숙;조창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29-236
    • /
    • 2018
  • 본 연구는 연산오계(천연기념물 제265호)와 이를 기원으로 하는 5개 지역별 오계 집단의 유전적 특성 및 차별성을 분석하기 위해 25개의 초위성체(MS) 마커를 이용하여 총 9개 집단 243수를 대상으로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마커별 다형성 분석 결과, 총 153개의 대립유전자가 확인되었으며, $H_{\exp}$와 PIC의 경우 MCW0145에서 각각 0.640, 0.570으로 가장 높았고, $H_{obs}$는 MCW0252에서 0.607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반면, LEI0166에서 $H_{\exp}$, $H_{obs}$, PIC가 각각 0.248, 0.204, 0.202로 가장 낮았다. 집단간 유전거리 분석 결과로는 9개 집단중 YSO 집단과 SUO 집단이 가장 가까운(0.073) 반면, LG 집단과 CBO 집단 사이에서 가장 먼(0.937) 것으로 확인되었다. 집단의 실제 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집단별 균일도를 분석한 결과, 공시된 9개의 집단은 3개의 집단으로 구분했을 때 최적의 K값(7.96)을 얻을 수 있었으며, 5개의 오계 집단(YSO, ARO, CBO, CNO, SUO) 및 LG 집단과 CN RIR 집단은 각각 1, 2, 3번 군집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GBO 집단의 경우 1번과 3번 클러스터에 걸쳐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사육과정에서 타집단과의 교잡이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추후 오계 유전자원에 대한 국가 수준의 유전적 특성평가 및 관리의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계통 재래종 닭고기의 화학적 특성 및 면역활성 (Comparison of Chemical Composition and Immune-enhancing Activity of the Four Lines of Korean Native Chickens)

  • 이규철;임강현;김명규;김혜경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35-142
    • /
    • 2016
  • 본 연구는 4종의 재래닭인 연산오계, 현인흑계, 횡성약닭, 황봉의 일반성분, 카르노신, 안세린 함량 및 면역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고, 대조구로 백색 레그혼을 사용하였다. 시험용 닭을 모두 동일한 조건에서 13주간 사육하여 도계한 후 화학적 성분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에서는 4종의 재래닭이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조지방 함량이 높았으며, 콜레스테롤 함량은 현인흑계가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았고 횡성약닭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면역증진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는 재래닭 4종의 가슴육에서만 대식세포 증식 및 NO 억제 효능이 있었다. 대식세포 탐식작용은 현인흑계와 횡성약닭가슴육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고,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IL-4, IL-10, $IFN-{\gamma}$) 유전자 발현은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4종의 재래닭에서 억제효과가 컸다. 결론적으로 4종류의 재래닭이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면역증진 효능이 높았으며, 특히 가슴육에서 효능이 있었다. 재래닭 품종 간에도 일반성분 및 면역조절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 Enzyme Activity, Free Iron Content and Lipid Oxidation in Four Lines of Korean Native Chicken Meat

  • Utama, Dicky Tri;Lee, Seung Gyu;Baek, Ki Ho;Kim, Hye-Kyung;Cho, Chang-Yeon;Lee, Cheol-Koo;Lee, Sung 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4-50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association between antioxidant enzyme activity, free iron content and lipid oxidation of Korean native chicken (KNC) mea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Four lines of KNC (Yeonsan ogye, Hyunin black, Hoengseong yakdak and Hwangbong) were raised under similar conditions. A total of 16 roosters were randomly sampled and slaughtered at the age of 12 mon. The breast and thigh meats were stored aerobically for 10 d at 4℃. Although thigh meat had higher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t was more susceptible to lipid oxidation and released more iron during storage than breast meat. Aerobic refrigerated storage for 10 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and increased the amount of free iron and malondialdehyde.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lipid oxidation, whereas that of catalase was not. The amount of free ir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lipid oxidation. We concluded that chicken line did not affect strongly on antioxidant enzyme activity and lipid oxidation in breast meat of KNC. However, the thigh meat of Hwangbong and Hyunin black had higher SOD and GSH-Px activity, respectively, and lower malondialdehyde contents than that of other chickens. SOD, GSH-Px and free iron play significant roles in meat lipid oxidation during refrigerated storage.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for the free amino acid and nucleotide components of breast meat in an F2 crossbred chicken population

  • Minjun Kim;Eunjin Cho;Jean Pierre Munyaneza;Thisarani Kalhari Ediriweera;Jihye Cha;Daehyeok Jin;Sunghyun Cho;Jun Heon Le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1호
    • /
    • pp.57-68
    • /
    • 2023
  • Flavor is an important sensory trait of chicken meat. The free amino acid (FAA) and nucleotide (NT) components of meat are major factors affecting meat flavor during the cooking process. As a genetic approach to improve meat flavor, we performed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to identify the potential candidate genes related to the FAA and NT components of chicken breast meat. Measurements of FAA and NT components were recorded at the age of 10 weeks from 764 and 767 birds, respectively, using a White leghorn and Yeonsan ogye crossbred F2 chicken population. For genotyping, we used 60K Illumina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SNP) chips. We found a total of nine significant SNPs for five FAA traits (arginine, glycine, lysine, threonine content, and the essential FAAs and one NT trait (inosine content), and six significant genomic regions were identified, including three regions shared among the essential FAAs, arginine, and inosine content traits. A list of potential candidate genes in significant genomic regions was detected, including the KCNRG, KCNIP4, HOXA3, THSD7B, and MMUT genes. The essential FAAs had significant gene regions the same as arginine. The genes related to arginine content were involved in nitric oxide metabolism, while the inosine content was possibly affected by insulin activity. Moreover, the threonine content could be related to methylmalonyl-CoA mutase. The genes and SNPs identified in this study might be useful markers in chicken selection and breeding for chicken meat flavor.

4계통 재래종 닭고기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eat in Four Lines of Korean Native Chickens)

  • 이승규;;백기호;박영현;한재용;이성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35-345
    • /
    • 2015
  • 본 연구는 4종의 재래닭인 연산오계, 현인흑계, 횡성약닭, 황봉의 육량과 육질을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고, 대조구로 백색 레그혼을 사용하였다. 시험용 닭을 모두 동일한 조건에서 56주간 사육하여 도계한 후 48시간에 이화학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4종의 재래닭은 모두 부위와 상관없이 백색레그혼에 비해 전단력이 높았다. 또한 4종류의 재래닭의 가슴육은 백색레그혼보다 n6/n3 지방산 비율과 보수력이 낮고 가열감량이 높았다(p<0.05). 생체중과 도체중은 황봉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맛과 관련이 있는 올레산 함량은 횡성약닭의 가슴육이 39.6%로 유의적으로 높았고, n6/n3 비율도 횡성약닭의 가슴육이 8.93, 다리육이 12.57로 다른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연산오계는 가슴육과 다리육 모두에서 지방함량이 높았고, 품종 특성 때문에 $L^*$, $a^*$, $b^*$가 낮아 어두운 경향을 보였다(p<0.05). 조직감을 보면 황봉의 가슴육과 다리육에서 전단력, 응집성, 검성, 씹힘성이 높았다(p<0.05).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향기는 황봉의 가슴육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종합기호도에서 황봉과 횡성약닭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결론적으로 4종류의 재래닭이 백색레그혼에 비해 공통적으로 조직이 단단하고 보수력이 낮은 특징을 보였고, 재래종간에도 조직감, 지방산 조성(n6/n3 비율), 육색, 관능검사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계통 재래종 닭고기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Four Lines of Korean Native Chickens)

  • 이규철;이성기;김혜경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9-128
    • /
    • 2016
  • 본 연구는 4종의 재래닭인 연산오계, 현인흑계, 횡성약닭, 황봉의 무기성분, 비타민, 아미노산,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관련 물질 함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고, 대조구로 백색 레그혼을 사용하였다. 시험용 닭은 품종별 3수씩 총 15수를 동일한 조건에서 53주간 사육하여 도계한 후 화학적 성분조사를 실시하였다. 재래닭의 Fe과 K 함량 특히 황봉 가슴육, 현인흑계 및 횡성약닭의 다리육이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높았고, Na 함량은 모든 부위에서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낮았다(p<0.05). 비타민 A 함량은 다리육에서 백색레그혼과 현인흑계가 높았고, 비타민 $B_1$은 횡성약닭이 낮았으며, 비타민 $B_3$는 가슴육의 경우는 4종의 재래닭이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높았고, 다리육은 횡성약닭이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높았다. 4종류의 재래닭 가슴육 총 아미노산 함량은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재래닭 4종의 함량이 현저히 높았으며(p<0.05), 다리육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좋은 맛을 내는 아미노산 합계에 대한 좋지 않은 맛을 내는 아미노산 합계의 비율을 조사한 결과, 다리육의 비율이 가슴육에 비하여 모든 품종에서 높았다. 가슴육은 횡성약닭이 가장 높았고, 다리육은 현인흑계가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높았지만, 연산오계, 횡성약닭 및 황봉은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낮았다. IMP 함량은 현인흑계와 백색레그혼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가슴육과 다리육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AMP 함량은 가슴육과 다리육 모두에서 백색레그혼과 현인흑계가 다른 품종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GMP 함량은 황봉과 횡성약닭의 가슴육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고, 다리육의 경우는 백색레그혼, 황봉과 횡성약닭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았다(p<0.05). 결론적으로 4종류의 재래닭이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무기질, 비타민 및 총 아미노산 함량이 우수하였고, 닭고기의 맛에 관여하는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관련 물질 함량도 품종별 차이는 있었지만,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재래닭이 우수함을 나타내고 있다.

K-Means Clustering으로 분류한 닭 깃털색 표현형의 분석 (Analysis of Chicken Feather Color Phenotypes Classified by K-Means Clustering using Reciprocal F2 Chicken Populations)

  • 박종호;허선영;김민준;조은진;차지혜;진대혁;고영준;이승환;이준헌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57-165
    • /
    • 2022
  • RGB 조건에서 하나의 픽셀은 255의 세제곱 개 이상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컴퓨터 비전 연구는 조류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깃털색 표현형에 대해 세밀히 분석하여 종을 구분하였지만, GWAS에 이용될 목적을 위해 다양하게 유전되는 색상을 단순화하지 못하였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연산오계(YO)와 백색레그혼(WL) 상호역교배 F2 집단을 이용하였으며 이미지 양자화를 통하여 이미지의 크기를 줄이고 저장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깃털색의 원인 유전자 탐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육안으로 결정하였던 다양한 깃털색을 단순화하였다. 특히, GWAS 연구에 필요한 수치화된 표현형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for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eat in an F2 crossbred chicken population

  • Eunjin Cho;Minjun Kim;Sunghyun Cho;Hee-Jin So;Ki-Teak Lee;Jihye Cha;Daehyeok Jin;Jun Heon Le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4호
    • /
    • pp.735-747
    • /
    • 2023
  •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determines the flavor and quality of meat. Flavor compounds are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by the decomposition of volatile fatty acids via lipid oxidation. A number of research on candidate genes related to fatty acid content in livestock species have been published. The majority of these studies focused on pigs and cattle; the association between fatty acid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in chickens has rarely been report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candidate genes associated with fatty acid composition in chickens.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was performed on 767 individuals from an F2 crossbred population of Yeonsan Ogye and White Leghorn chickens. The Illumina chicken 60K significant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SNP) genotype data and 30 fatty acids (%) in the breast meat of animals slaughtered at 10 weeks of age were analyzed. SNP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in 15 traits: C10:0, C14:0, C18:0, C18:1n-7, C18:1n-9, C18:2n-6, C20:0, C20:2, C20:3n-6, C20:4n-6, C20:5n-3, C24:0, C24:1n-9,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These SNPs were mostly located on chromosome 10 and around the following genes: ACSS3, BTG1, MCEE, PPARGC1A, ACSL4, ELOVL4, CYB5R4, ME1, and TRPM1. Both oleic acid and arachidonic acid contained the candidate genes: MCEE and TRPM1. These two fatty acids are antagonistic to each other and have been identified as traits that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volatile fatty acid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genetic mechanisms through which fatty acids in chicken affect the meat flav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