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llow sea

검색결과 1,321건 처리시간 0.025초

황해와 광양만에서 채집된 홈꽃갯지렁이 속 Euchone (Polychaeta, Sabellidae)의 두 미기록종 (Two species of Euchone (Polychaeta, Sabellidae) from the Yellow Sea and Kwang-yang Bay, Korea)

  • 정래홍;홍재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4호
    • /
    • pp.305-312
    • /
    • 1996
  • 본 연구는 한.중 황해 국제 공동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1992년 9월 17일부터 10월 2일 사이에 황해의 49개 정점에서 채집된 저서다모류와 남해에 위치한 광양만에서 채집된 시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꽃갯지렁이 과(Sabellidae)에 속하는 홈꽃갯지렁이 속(Euchone)의 두 종, 핸콕홈꽃갯지렁이(Euchone hancocki Banse, 1970)와 무색홈꽃갯지렁이(Euchone incolor Hartman, 1965)를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 PDF

양식산 참조기 및 수조기 미성어의 계절별 성장 경향과 저수온 내성 특성 (Growth and Cold Temperature Tolerance of Cultured Juvenil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and Yellow Drum, $Nibea$ $albiflora$)

  • 강희웅;강덕영;한현섭;조기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1-47
    • /
    • 2012
  • 본 연구는 조기류(참조기, 수조기)의 양식생물학적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육상수조에서의 성장 특성 및 저수온 노출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1년 사육기간동안 수조기가 참조기에 비해 성장이 빨랐고, CF는 모두 9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DFI는 모두 9~10월에 최대값을 보인 후 낮아졌다. 사료계수는 참조기가 2.20, 수조기가 1.34였다. 완만한 수온 하강에 대한 영향은 참조기와 수조기 미성어 모두 $4.7^{\circ}C$ 이하에서 폐사가 발생하였으며, 조기류 월동의 임계수온은 $9^{\circ}C$로 나타났다.

동지나해, 황해의 참조기 어장분포와 해황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Oceanographic Condition and Fishing Ground Distribution of Yellow Croaker in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 양성기;조규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6-34
    • /
    • 1982
  • 동지나해,황해에 있어서 최근 10 개년간($1970\sim1979$) 안강망에 의한 참조기 어획통계자료로부터 어장의 평균분포와 해황과의 관계 및 계절만화를 제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조기의 중요어장은 제주도 서-남서방 $40\sim150$마일 해역의 9개 해구이며, 이 어장에 있어서의 어획양 영동계수는 $0.8\sim2.1$로서 크나, 년 평균어획양의 약 $70\%$가 여기에 집중되고, 그 면적은 어획이 있었던 전어장면적의 겨우 $11\%$에 지나지 않으며, 또 CPUE의 평균(27kg/hau1)이 비교적 컸다. 참조기의 어획양과 CPUE는 비슷한 계절변화를 하며, 주어기는 춘추 양어기가 있으며, 춘계($13\sim5$월)쪽이 추절 ($9\sim10$월)쪽 보다 어획양 및 CPUE가 크다. 어업의 중심은 주년 제주도 서-북서방에 집중하고 있다. 어장의 분산은 동서방향보다 남북방향이 크며, $10^{\circ}C$등온선이 남하하면 작아지고, 북상할 때 커지는 경상을 나타내어 황해저층냉수의 지표인 $10^{\circ}C$ 등온선의 소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 PDF

한국해역의 식물플랭크톤의 연구. IV. 동해, 남해 및 서해해역의 식물플랭크톤 (Phytoplankton Studies in Korean Waters. IV. Phytoplankton in the Adjacent Seas of Korea)

  • 최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49-67
    • /
    • 1969
  • A quantitative phytoplankton study in Korean waters was commenced in 1964 as a part of the primary production studies of Koreans seas, and it was continued with the cruises for Cooperative Studies of the Kuroshio(C.S.K) in 1965-1968. Phytoplankton samples were taken by dipping about 500ml of sea water from the surface, and then fixed by ading neutralized formlin. This report deals with the results obtained during 1965-1966. I examined a total of 298 samples of surface phytoplankton collected in the wate neighboring Korea in the above-mentioned period, and detected 147 species of diatoms and 22 species of dinoflagellates. Among them 123 species of diatoms and 18 species of dinoflagellates occured in the Japan Sea region, 133 species of diatoms and 11 species of dinoflagellates occured in the Korea Strait region, and 49 species of diatom and 8 species of dinoflagellates occured in the Yellow Sea region. And thd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are dept in a fair abundance in the Japan Sea area all the year round, and are poor in the Yellow Sea area. The seas surrounding Korea are divided into seven regions by the planktological characteristics; northern and southern parts of the Japan Sea, eastern, western and southern parts of the Korea Strait, southern and northern parts of the Yellow Sea. The representative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each sea region is generalized as follows; northern part of the Japan Sea is dominant with Chaetoceros group, southern part of the Japan Sea is dominant with Chaetoceros group and Skeletonema costaum, eastern part of the Korea Strait is dominant with Chaetoceros group and Pleurosigma sp., southern part of the Korea Strait is dominant with Chaetoceros group and Rizosolenia group, western part of the Korea Strait is most poor in phytoplankton, southern part of the Yellow Sea is dominant with Pleurosigma sp. and Coscinodiscus group, and northern part of the Yellow Sea is dominant with Pleurosigma sp. and Eucampia zoodiacus. Chaetoceros curvisetus, Leptocylindrus danicus, Pleurosigma normanii, Thalassionema nitzschioides, Thalassiothrix flauenfeldii appeared all the year round in the neighboring sea of Korea. There were 24 species (18 species of diatoms and 6 species of dinoflagellates) of the pecuriar phytoplankton in the Japan Sea, 27 species (25 species of diatoms and 2 species of dinoflagellates) of that in the Korea, and 7 species (5 species of diatoms and 2 species of dinoflagellates) of that in the Yellow Sea, respectively.

  • PDF

SeaWiFS 자료를 이용한 황해와 동해의 생물광학 특성 비교 (Comparison of Bio-Optical Properties of the Yellow Sea and the East Sea using SeaWiFS Data)

  • 정종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8-4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동해와 황해에서 $36_{\circ}$ N과 $124_{\circ}$ E, $132_{\circ}$ E의 3개 라인으로부터 Lwn(normalized water leaving radiances)을 추출하였다. 이들 자료에 의해 OCTS 알고리듬과 SeaWiFS의 OC-2 알고리듬을 비교하였고, OCTS 알고리듬이 OC-2 알고리듬에 비해 엽록소 농도를 과대평가하고 있음을 알았다. 해색센서에 의해 동해와 황해의 해양환경변화를 장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황해의 부유사 영향을 제거할 수 있는 대기보정 방법이 제안되어야 하며, 용존유기물과 부유사 영향을 고려한 생물광학 알고리듬의 적용이 요구된다.

  • PDF

1999-2001년 오터트롤에 채집된 황해 동부해역의 어류상 (Fish Fauna Collected by an Otter Trawl in the Eastern Yellow Sea over the Period 1999-2001)

  • 임양재;황학진;이재봉;손명호;연인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9-306
    • /
    • 2009
  • Fish fauna in the eastern Yellow Sea was determined using sampl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from September 1999 to November 2001. The fish consisted of 97 species belonging to 80 genera and 50 families. The major taxa were the Perciformes (40 spp.), Pleuronectiformes (17 spp.), Scorpaeniformes (11 spp.) and Clupeiformes (10 spp.). Larimichthys polyactis, Engraulis japonicus, Liparis tanakai, Pampus echinogaster, Lophius lituron and Collichthys niveatus were predominated in abundance in the study area. The composition of the fish fauna has changed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Species Composi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Euphausiids of the Yellow Sea and Relationships with Environmental Factors

  • Yoon, Won-Duk;Yang, Joon-Yong;Lim, Dong-Hyun;Cho, Sung-Hwan;Park, Gyung-Soo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1권1호
    • /
    • pp.11-29
    • /
    • 2006
  • We investigated species composi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euphausiid community in the Yellow Sea and identified the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factors (temperature, salinity, chlorophyll $\alpha$, nitrate, phosphate, and silicate) using bimonthly data from June, 1997 to April, 1998. The environment varied during the sampling period. In warm seasons, thermocline was well developed rendering lower temperature and higher salinit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the bottom layer. During cold seasons the water column was well mixed and no such vertical stratification was noted. Horizontal distribution of temperature, however, differed slightly between near-coast and offshore areas because of the shallow depth of the Yellow Sea, and between southern and northern areas because of the intrusion of water masses such as Yellow Sea Warm Current and Changjiang River Diluted Water. Four euphausiid species were identified: Euphausia pacifica, E. sanzoi, Pseudeuphausia sp. and Stylocheron affine. E. sanzoi and S. affine were collected, just one juvenile each, from the southern area in June and December, respectively. Pseudeuphausia sp. were collected in the eastern area all the year round except June. E. pacifica occurred at the whole study area and were the predominant species, representing at least 97.6% of the euphausiid abundance. Further,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pecies was varied in regards to developmental stages (adult, furcilia, calyptopis, egg). From spring to fall, E. pacifica adults were abundant in the central area where the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prevailed. Furcilia and calyptopis extended their distribution into nearly all the study area during the same period. From late fall to winter, adults were found at the near-coastal are a with similar pattern for furcilia and calyptopis. The distribution pattern of E. pacifica was consistent regarding temperature, salinity, and three nutrients during the sampling period, whereas chlorophyll $\alpha$ showed a different patter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The nutrients should indirectly affect via chlorophyll $\alpha$ and phytoplankton concentration. With respect to these results, we presented a scenario about how the environmental factors along with the water current affect the distribution of E. pacifica in the Yellow Sea.

해양오염의 진단을 위한 생화학적 오염지표에 관한 연구 II. 황해산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산소라디칼 및 제거효소의 변화 (Study on Biochemical Pollutant Markers for Diagnosis of Marine Pollution II. Changes in Oxygen Radicals and Their Scavenger Enzymes of the Flounder(Paralichthys olivaceus) in the Yellow Sea)

  • 문영실;김동우;최진호;박청길;양동범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16
    • /
    • 1997
  • 해양오염의 진단을 위한 생화학적 오염지표 설정의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오염이 심각한 서해(또는 황해)산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혈액 및 뇌중의 활성산소종 및 그들의 제거효소의 활성을 분석 평가하였다. 이들 넙치의 혈청중의 단백질의 함량은 해역이나 양식산의 자연산사이에는 뚜렷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지만, 서해안 양식산 넙치의 뇌 및 근육중의 단백질 함량이 동해안의 포항의 자연산 넙치(대조군)의 단백질 함량에 비해 각각 30-45%(brain) 및 25-45%(muscle)나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서해안의 양식 및 자연산 넙치의 혈청중의 과산화지질(MDA)의 량은 대조굼으로 사용한 동해안 포항의 자연산 넙치 대비 각각 30-80% 및 125-145%나 현저히 높았다. 서해안의 양식산 넙치의 혈청중의 히드록시 라디칼의 생성량은 동해안 포항의 자연산 넙치 대비 각각15-30%정도나 오히려 낮았을 뿐만 아니라 서해안의 자연산 넙치도 격포를 제외하고 영광의 자연산 넙치의 히 시 라디칼의 생설양도 약 20%나 낮았다. 서해안의 양식산 넙치의 혈청중의 SOD의 활성은 동해안 포항의 자연산 넙치 대비 15-35%정도나 오히려 낮았을 뿐만 아니라 서해안의 자연산 넙치도 영광은 35%나 낮았지만, 단지 격포만이 SOD의 활성이 35% 정도 높았을 뿐이다. 서해안의 양식산 넙치의 혈청중의 GSHPx의 활성은 동해안 포항의 자연산 넙치 대비 15-25%정도나 유의적으로 높았지만, 서해안의 자연산 넙치의 GSGPx의 활성은 어느 곳이나 낮았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볼 때 뇌나 근육중의 단백질의 함량이나 뇌중의 GSHPx의 활상, 그리고 혈청중의 과산회지질의 함량이 넙치의 오염지표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