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llow Croaker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6초

경북 성주지역 장수 노인의 식행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Eating Behavior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Kyungpook Sung-Ju)

  • 이혜성;김자현;구보경;김규종;백지원;이연경;이성국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19-23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eating behaviors of the long-lived elderly in order to offer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dietary guidelines for a long and healthy life for the general population. The subjects were three-hundred elderly people over age 85 living in Kyungpook Sung-ju who have no problems in daily liv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s, meal patterns, and food preferences of the subjects were surveyed by individual intervies. The levels of the nutrition knowledge of the subjects were very low(average score ; 4.3)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ir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 score was also low(r=0.323, p=0.000). Most of the subjects(93%) had a regular meal pattern consuming three meals a day. The major staple food was rice mixed with other grains(75%) and the number of side dishes was mostly under four(99%). A majority(73%) had no habit of overeating and 51% of the subjects were taking snacks besides regular meals. Thirty one percent of the subjects had drinking habits and 80% of the drinking subjects had over 40 years of drinking history. The most common frequencies for intakes of various food groups were ; more than once a day(95%) for vegetables ; 2∼3 times a week(74%) for green and orange color vegetables ; 2∼3 times a week(72%) for fruits ; once a day(70%) for fish, eggs and legumes ; 2∼3 times a week(49%) for milk ; 2∼3 times a week(72%) for fruits ; once a day(70%) for fish, eggs and legumes ; 2-3 times a week(49%) for milk ; 2-3 times a week(85%) for seaweeds and 2-3 times a week(81%) for foods cooked with oil. The most preferred foods by the subjects were white rice(staple foods), soybean paste soup(soups), beef and eggs(meats and eggs), yellow croaker and hair tail(fish and shellfish), yoghurt(milk and milk products), all vegetables except carrot(vegetables), and watermelon(fruits). The popular food preparation methods included mixing with seasonings and the most preferred taste was swee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ating pattern of long-lived elderly was characterized by regularity, simplicity, and no overeating.

  • PDF

굴비의 지방산 조성과 지방산화에 마늘과 양파즙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and Onion Juice on Fatty Acid Compositions and Lipid Oxidation in Gulbi (salted and semi-dried Yellow croaker))

  • 신미진;김정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37-1342
    • /
    • 2004
  • 현재 대부분의 굴비는 마른간법을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마른간법은 제조 과정인 섞기에 있어서 조기의 상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품질이 균일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물간법을 이용하여 굴비를 가공할 때 상승효과를 위해서 10% 양파즙, 10% 마늘즙, 또는 양파즙과 마늘즙을 동량혼합한 것을 10% 첨가하고 12일간 상온에서 저장하면서 TVB-N, TBARS, TMA, 총균수변화를 관찰하였다. 분석 결과 마늘과 양파 혼합즙액으로 처리한 제품에서의 TVB-N 값은 88.2 mg/100 g, TMA와 TBARS는 각각 14.13 mg/100 g과 3.1$\mu$mol/kg으로 여러 처리구 중 가장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굴비의 지방산 조성은 30일간 저 장하면서 생조기, 염장조기, 마늘과 양파 혼합즙액을 처리한 염장조기에 대하여 지방산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생조기와 굴비 모두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32∼35%로 나타났으며, 포화지방산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palmitic acid로 21∼23%였다. 불포화지방산 중 이중결합이 1개인 monoenes의 비율은 39∼45%범위로 oleic acid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생조기는 14%였으나 5일 건조한 것은 15∼19%로 나타났다. 저장 30일째 $\omega$-3계 지방산인 docosahexaenoic acid, eicosapentaenoic acid에 있어서 염장 않은 굴비는 7.37%와 3.71%를 보여 주었으나, 물간법에 의한 굴비는 9.46%와4.08%, 마늘 양파 혼합즙액이 함유된 물간법으로 제조된 굴비에서는 9.91%와 4.25%로 높게 나타났다.

식품 중 indicator PCBs의 분포와 노출평가 (Distribution and exposure assessment of indicator PCBs in Food)

  • 오금순;서정혁;백옥진;박성수;나영준;안영순;김미혜;이광호
    • 분석과학
    • /
    • 제23권3호
    • /
    • pp.312-321
    • /
    • 2010
  • 7개 indicator PCBs (IUPAC nos 28, 52, 101, 118, 138, 153, 180)는 2006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인의 대표식품을 중심으로 곡류(백미), 육류, 알류, 우유와 유가공품, 수산물 및 그 가공품을 대상으로 동위원소희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식품들 중 어류(평균 39.8 ng/g)에서 가장 높게 검출되었고, 그 다음으로 우유 및 유가공품 (1.4 ng/g), 육류 (0.9 ng/g)이였다. 어류 중 갈치 15.4 ng/g, 삼치 5.4 ng/g, 조기 4.5 ng/g 및 고등어 4.4 ng/g가 검출되었다. 모든 식품에서 indicator PCBs의 비율은 PCB-153 35.8%, PCB-138 16.2%, PCB-101 16.1%, PCB-118 13.4%, PCB-180 8.8%, PCB-52 6.9% 및 PCB-28 2.9% 이었다. PCB-153과 138은 hexa-CB로서 분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penta-CB인 PCB-101과 118 이었다. 식품을 통한 indicator PCBs에 의한 인체의 평균 및 극단 노출량은 수산물 및 그 가공품이 50%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이 수준은 한국인의 건강에 위해를 끼치지 않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The Ability to Identify the Imported Foods among Housewives in Cheongju Area

  • Kim Kinam;Park Eunjin;Cho Jinsuk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7권2호
    • /
    • pp.85-92
    • /
    • 2005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get some information about the educational program for consumers in the community. For this, the author investigated the ability to identify the imported foods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to be taugh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83 housewives living in Cheongju city,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 1 to March 15, 2003. A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sking general matters regarding the subject, attitude when purchasing foods, the ability to identify the imported foods, educational contents to be taught, and the identification ability between the domestic and the imported foods. The data was analyzed for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s using SAS program, and was also examined with Chi-square or ANOVA. $92.3\%$ of housewives checked the label to distinguish between the domestic food and the imported one, among which $99.5\%$ preferred to buy the domestic brand. For major reasons of this preference, $46.3\%$ of them reported that the imported foods had many harmful substances. $66.1\%$ of the subjects, however, replied that they did not have the ability to discer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as received from 'TV or radio program', which $61.7\%$ of the subjects reported as such. $61.5\%$ of the subjects were inclined to receive education about the imported foods.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75.4\%$ wanted to learn 'the method to identify the imported foods'.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test on the imported foods, they got 13.6 points on the average out of 40 points, which was quite low. The highest correct answer was for pteridium aquilinum ($63.7\%$), sesame ($49.2\%$), and yellow croaker ($45.6\%$), while the highest incorrect answer was for red pepper powder ($40.4\%$), chestnut ($40.6\%$), and dried pepper ($32.2\%$). The results suggeste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had negative attitudes towards the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but their identification ability was quite po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and publicity work in relation to the identification methods for the imported foods so that consumers may have less risk from the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사상체질(四象體質)에 따른 식이(食餌)습관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Diet Style According to the Sasang Constitution)

  • 김판준;임화재;김종원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9-74
    • /
    • 2001
  • In oriental medicine, food are regarded as important one like medicine. Especially Sasang medicine put emphasis on diet, it regarded food as a important one by taking food according to their own constitution in the point of improving health condition and preventing diseases. In this report, the author try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preference and each suitable food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by using survey data. The results are like this. 1. In constitutional distribution patterns among 203 person(male : 118 person, female : 85 person) reveal Soyang Group 58person(28.6%), Taeum Group 61(30%) and Soeum Group 84(41.4%). And their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height in all group according to gender.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When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on body weight and BMI, Taeum Group indicate significantly high body weight and BMI(Body Mass Index) in both gender. 2. Taeum Group show significantly high smoking rate. But alcohol drinking rates reveal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groups. 3. In the Survey about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rice, Soju, watermelon show significantly high preference in case of suitable food to each group. But perilla seeds, coffee, ginger tea show insignificant results. 4. In the survey about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and sex, welsh onion, crab preserved with soysauce, beer show significantly high preference in case of suitable food to each group. But glutinous rice, cooked barley, water dropwort muchim, lettuce, dog meat, egg, yellow croaker, coffee, ginger tea, and Soju show insignificant results. 5. In the survey about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and age, rice, watermelon, onion, garlic, salt and Soju show significantly high preference in case of suitable food to each group. But sugar and perilla seeds show insignificant results. 6. In the survey about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constitution, sex and age, glutinous rice, soybean milk, banana, crab preserved with soysauce, sea cucumber, sea mustard, Soju, beer, onion, garlic, salt show high preference in case of suitable food to each group. But cooked barley, sugar, water dropwort muchim, dog meat, puffer soup and perilla seeds show insignificant results.

  • PDF

한국 근해 참조기의 자원평가 및 관리방안 (Stock Assessment and Management Implications of Small Yellow Croker in Korean Waters)

  • 강창익;김수암;윤성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2-290
    • /
    • 1992
  • 한국근해 참조기의 지난 20여년 동안의 어획자료를 사용하여 잉여생산량 모델에 의해 추정된 MSY를 비교하여 보면, Shaefer와 Fox 모델에 의하여 추정된 값들은 각각 37,000mt와 33,450mt였고, Zhang 모델에 의하여 자원량과 순간어획사망계수를 적용시킨 MSY는 45,328mt, 자원량과 어획량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40,160mt로 각각 추정되었다 이 현상은 이 모델들이 각기 독립된 다른 자료를 이용하여 MSY를 추정하였으나, 추정된 값은 거의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참조기자원을 가입당생산량 모델에 적용시킨 결과를 사용하여 자원관리 방안을 모색해 보면, 가능한 최대 가입당 생산량이 43g임에 비하여 현재의 $t_c=0.604, F=1.11$에서의 가입당생산량은 약 20g정도에 불과하다 여기서 $t_c$를 현재 상태로 고정시킨 후. 가입당생산량을 높이는 방안을 생각해 보면, F를 현재의 1.11에서 0.4 정도로 낮추어야 하나, 가입당생산량의 큰 증가는 없다. 즉, 현재의 20g에서 25g밖에 증가되지 않는다. 그러나, 현재의 어획강도(F)를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t_c$를 현재의 0.604세에서 3세 부근으로 조정하면 최대의 가입당생산량(43g)을 얻을 수 있고, 이 $t_c$ 값은 역시 $F_{0.1}$, 방법에서 추정된 적정어획체장을 연령으로 환산한 결과와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Zhang모델을 이용한 자원의 회복 방안에서 참조기 자원의 최대생산가능 자원량$(B^*_{MSY})$를 유지시키려면 F를 약 0.5 수준으로 낮추어야 하고. 이 수준에서 약 8년 뒤에는 자원량이 적정 수준에 거의 접근하게 된다.-저층의 경우, 난류성 종인 E. russelli와 E. plana가 출현하며 수온이 $12^{\circ}C$이상인 제주도 서북방 해역이 난류의 영향을 받는 해역으로 나타났으며, 저온성 종인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진도 이북 해역이 황해 냉수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계 0-20m층의 진도부관 해역 및 20m- 저층의 진도 이북 해역에서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냉수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H와 온도에 대해서 복상어의 trypsin은 고등어의 두 trypsin보다 알칼리성측과 고온에 대해 안정하였으며, 저해제에 의하여서는 복상어 trypsin이 보다 예민하게 나타났다. 또한 BA-p-NA 합성기질에 대한 친화성에 있어서는 고등어의 두 trypsin이 복상어의 trypsin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5. 아미노산 조성은 세 효소 모두 비슷하였으나, 고등어 trypsin B의 경우 arginine의 함량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산성아미노산과 염기성아미노산의 비는 복상어 trypsin이 3.57, 고등어 trypsin A는 3.36, 그리고 고등어 trypsin B는 2.23이었다./TEX>에 의하여 저해를 받았으며, 그 저해의 정도는 고등어 trypsin-A와 B가 보다 심하게 받았다. 또 이들 효소들은 antipain, leupeptin, TLCK(to-syllysine chloromethyl ketone) 및 SBTI(soybean trypsin inhibitor)에 의하여 현저한 저해를 받았고, PMSF(phenylmethane sulfonylfluoride), DFP(diisopropyl fluorophosphate) 및 benzamidine에 의하여 어느정도 저해를 보여 모두 serine-계의

  • PDF

다소비 수산식품 중 총수은 및 메틸수은 모니터링 (Monitoring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in Commonly Consumed Aquatic Foods)

  • 주현진;노미정;유지헌;장영미;박종석;강명희;김미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69-276
    • /
    • 2010
  • 국내 유통되는 어류, 연체동물(두족류, 패류), 갑각류, 해조류에서 총 15종, 231건의 수산식품을 수거하여 총수은 및 메틸수은 오염량을 모니터링하고 조사대상 수산식품의 위해도를 평가하였다. 총수은 분석법(총수은분석기 사용)을 검토한 결과, 직선성($R^2$)은 0.999 이상이었고 검출 및 정량한계는 각각 $0.017\;{\mu}g/kg$, $0.051\;{\mu}g/kg$이었으며 표준인증물질 분석에 대한 정확도는 98% 이상이었다. 메틸수은 분석법(GC-ECD 사용)을 검토한 결과, 직선성($R^2$)은 0.990 이상이었고 회수율은 평균 70% 이상이었으며 검출 및 정량한계는 각각 0.003, 0.010 mg/kg이었다. 모니터링 결과, 수산식품 중 총수은 평균(단위: mg/kg)은 고등어 0.088, 갈치 0.061, 조기 0.030, 명태 0.032, 메기 0.059, 가물치 0.110, 오징어 0.030, 낙지 0.026, 꽃게 0.035, 굴 0.009, 바지락 0.011, 홍합 0.008, 미역 0.018, 김 0.007, 다시마 0.019 이었다. 메틸수은 평균(단위: mg/kg)은 고등어 0.034, 갈치 0.016, 조기 0.005, 명태 0.008, 메기 0.023, 가물치 0.045, 오징어 0.011, 낙지 0.009, 꽃게 0.008이었으며 굴, 바지락, 홍합, 미역, 김, 다시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수산식품별 총수은 및 메틸수은의 오염량 평균과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일일식품섭취량을 근거로 하여 15종의 수산식품에서 섭취되는 총수은과 메틸수은의 총 주간추정섭취량(total estimated weekly intake)을 각각 산출하였다. 이를 JECFA의 PTWI(총수은: $5\;{\mu}g/kg$ b.w./week, 메틸수은: $1.6\;{\mu}g/kg$ b.w./week)와 비교했을 때 각각 3.57, 3.34% 수준으로서, 15종의 수산식품 섭취에 의한 수은 노출량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수은 섭취에 주로 기여하는 식품군이 수산식품이며 조사대상 수산식품 15종의 섭취량은 전체 수산식품 섭취량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 수은 오염에 대한 국내 유통 수산식품의 위해도는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경북 성주지역 장수노인의 계절별 식품섭취 상태 (Seasonal Food Intake Statu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Kyungpook Sung-Ju)

  • 백지원;구보경;김규종;이성국;이혜성;이연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91-700
    • /
    • 200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장수노인들의 식품섭취상태를 분석 평가 하고 건강한 장수를 위한 식생활 지침의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상북도 성주군에 거주하는 85세 이상 고령노인 중에서 일상생활에 무제가 없는 224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반복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1년간 4회의 계절별 식품 섭취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계절별 식품군별 섭취량에 있어서 남자노인은 감자류의 섭취량이 여름철에 유의적으로 높고, 버섯류의 섭취량이 가을철에 유 의하게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식품군의 섭취량에 있어 계절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 다. 여자노인의 경우 곡류, 당류, 두류, 채소류, 과일류, 조미로류, 음료 및 주류, 육류, 우유 류, 어패류의 섭취량이 겨울철에 유의하게 높았으며, 종실류, 해조류, 난류의 섭취량은 계절 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조사 대상자들의 연평균 1일 총 식품 섭취량은 594.4$\pm$186.1 g 이었 으며 이 중에서 513.5$\pm$161.2 g(86.4%)는 식물성 식품군으로부터 섭취하였고 79.3$\pm$56.7 g(13.3%)는 동물성 식품군으로부터 섭취하였다. 섭취량이 가장 높았던 식품군은 곡류였으며 그 다음이 채소류, 과일류, 어패류, 음료 및 주류, 조미료류, 두류, 육류, 우유류, 감자류, 등 의 순이었다. 장수 노인 대상자들의 음식별 섭취빈도는 밥류에 있어서는 쌀밥의 섭취비율이 80.1~89.2%로 가장 높았으며 국과 찌개류에서는 쇠고기국, 된장국, 된장찌개의 섭취 비율이 높았다. 어육류 식품의 경우 조기구이의 섭취비율(9.4~12.7%)이 높았으며, 해조류 식품의 경우 김구이의 섭취비율(7.4~20.5)이 높았고, 각 계절마다 계절식품의 섭취비율이 높았다. 김치류의 경우 배추김치의 섭취비율이 4계절 모두 7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품요리 류는 손쉽게 조리할 수 있는 라면과 국수의 섭취비율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경북 성주지역 장수 노인들의 계절별 식품 섭취량에 있어 겨울철의 식품 섭취량이 다른 계절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자노인보다는 여자노인이 식품섭취에 계절에 의한 영향을 더욱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수 노인들은 가공식품보다는 계절마다 제철에 생산 되는 자연 식품의 섭취비율이 높았다. 전반적으로 장수노인들은 소식의 경향을 보였으며 이 와 같은 소식습관과 신선한 식물성 식품들의 일상 섭취가 건강한 장수에 영향을 미쳤을 가 능성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종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동물성 식품원료의 진위 판별법 개발 (Development of Species-Specific PCR to Determine the Animal Raw Material)

  • 김규헌;이호연;김용상;김미라;정유경;이재황;장혜숙;박용춘;김상엽;최장덕;장영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47-35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식품 중 동물성 사용원료의 진위 판별을 위하여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한 시험법을 개발하였다. 동물성 식품원료의 종 판별을 위한 유전자로는 미토콘드리아 DNA에 존재하는 COI, Cytb, 및 16S rRNA 유전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가공식품에 적용하기 위하여 PCR 산물의 크기는 200 bp 내외가 되도록 종 특이 프라이머를 설계하였다. 대상종으로는 가축류 2종, 가금류 6종, 민물어류 2종, 해양어류 13종 및 갑각류 1종, 총 24종을 선정하였으며 종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예상되는 PCR 산물의 생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PCR을 수행한 결과 토끼, 여우, 꿩, 집비둘기, 멧비둘기, 메추리, 참새, 제비, 메기, 쏘가리, 날치, 열빙어, 청어, 까나리, 멸치, 참조기, 넙치, 조피볼락, 홍어, 가오리, 말쥐치, 농어, 성게 및 바닷가재에 대하여 각각 156, 204, 152, 160, 113, 163, 167, 152, 165, 121, 136, 151, 178, 178, 146, 188, 177, 166, 179, 218, 188, 185, 127 및 172 bp에서 PCR 증폭 산물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프라이머 별로 비교종에서는 비특이적 PCR 산물(non-specific PCR product)은 생성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전자 분석법을 이용하여 동물성 식품원료가 사용된 식품 원료 및 가공식품의 진위 판별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불량식품 근절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