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123

검색결과 9,101건 처리시간 0.057초

Fabrication of a large grain YBCO bulk superconductor by homo-seeding melt growth method

  • Lee, Hee-Gyoun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35-40
    • /
    • 2022
  • To fabricate large grain YBCO bulk superconductors by melt process, Sm123 single crystal with a high melting point are mostly used as seeds. However, it also uses Y123 film deposited on MgO single crystal substrat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rowth behavior of the Y123 grain during a melt process when single grain YBCO bulk was used as a seed. Single grain Y123 bulk was grown when the seed size was small. When the seed size was relatively large, multiple grains were grown but the grains were still large. Y123 seed crystal was completely decomposed during high temperature anneal at 1040℃ and new Y123 crystals were nucleated during a slow cooling stage below a peritectic temperature. Thereafter, newly formed Y123 crystals from the seed area are thought to grow into the Y1.8 powder compact. The crystallographic orientations of newly nucleated Y123 grains are independent of the crystallographic orientation of Y123 seed. It is thought that the crystallographic orientation of newly nucleated Y123 crystal can be controlled by using Y211-free Y123 single crystal as a seed of homo-seeding melt growth.

Y-Ba-Cu-O계에서 $Y_1Ba_2Cu_3O_{7-\delta}$상의 성장에 미치는 $SnO_2$의 효과 (Effect of $SnO_2$ addition on the growth of $Y_1Ba_2Cu_3O_{7-\delta}$phase in Y-Ba-Cu-O system)

  • 임대호;송명엽;원동연;홍계원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428-438
    • /
    • 1994
  • Y-Ba-Cu-O 계에서 123상의 성장에 미치는 Sn의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Sn이 첨가된 123+Sn성형체와 Sn이 첨가되지 않은 123성형체와의 couple시편을 만들었다. $1100^{\circ}C$에서 24시간 유지한 후 $970^{\circ}C$에서 1시간 유지한 시편에서 123상은 Sn이 첨가된 123+Sn 성형체의 표면에서부터 생성되어 Sn이 첨가되지 않은 123성형체 내부쪽으로 성장하였다. $1100^{\circ}C$에서 48시간 유지한 후 $970^{\circ}C$에서 1시간 유지한 시편에서는 123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Y-Ba-Sn으로 구성된 결정립이 관찰되었다.

  • PDF

Y123와 Y211분말의 동시 합성과 YBCO 초전도 단결정 제조 (Method of simultaneous synthesize for Y123 and Y211 and fabrication of YBCO single crystal)

  • 안재원;최희락;한영희;한상철;정년호;성태현
    •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02년도 춘계 기술심포지움 논문집
    • /
    • pp.224-233
    • /
    • 2002
  • A common YBCO powder has been made from a mixture of Y123 and Y211 that hea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respectively. The synthesis temperature of Y211 is lower than Y123. If Y211 has been heated as a synthesis temperature of Y123, a particle size of it may be very coarse. It exist as one of main defects for superconductor. But We simultaneously synthesize a YBCO(its composition is (Y123+0.4Y211)+$lwt%CeO_2$) using polymeric complex method. In the YBCO, the Y123 is synthesized lower temperature than other methodes, and its crystal structure is orthorombic. For measurement of these superconducting properties, we fabricated a YBCO single crystal. The manufactured YBCO single crystal is measured a magnetic distribution device using 0.5Tesla magnet and trapped magnet fields in it are 0.2Tesla.

  • PDF

터보냉동기의 HCFC-123 누출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HCFC-123 Leak in Turbo Chiller by using CFD)

  • 서회경;송세욱;황양인;하현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85-90
    • /
    • 2014
  • 대용량의 공기조화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터보냉동기는 냉매로 HCFC-123 가스를 주로 사용하며, HCFC-123은 CFC계 프레온의 대체 냉매제로 독성은 낮으나 환기가 원활하지 않는 밀폐공간이나 작업공간에서 산소결핍으로 인한 질식재해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대형할인마트 기계실 내부 터보냉동기 냉매 누출로 인해 작업자 4명이 질식 등의 사유로 사망한 재해 사례를 대상으로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HCFC-123 누출에 따른 산소농도를 예측함으로써 프레온 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원인을 조사하고 대응책을 제시하여 동종 재해의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CGA 123'407 처리(處理)가 벼에서 Pretilachlor, Butachlor 및 Benthiocarb의 약해경감(藥害輕減)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GA 123'407 on Reducing Injury of Rice Plants to Pretilachlor, Butachlor and Benthiocarb)

  • 이현용;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79-185
    • /
    • 1987
  • 벼의 보온절충(保溫折衷)못자리와 담수직파재배(湛水直播栽培)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제초제에 대하여 약해경감(藥害輕減)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실험(實驗)의 일환으로 실내에서 벼의 발아과정 중 benthiocarb, butachlor 및 pretilachlor에 대한 해독제(解毒劑) CGA 123'407의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와 '강피'에 대한 살초력(殺草力)을 조사하였다. 1. Benthiocarb와 butachlor는 50 ppm 이상에서 생장이 현저하게 억제되기 시작하였으며, pretilachlor는 0.5 ppm 부터 생장이 점차적으로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2. CGA 123'407과 제초제를 혼합처리(混合處理)한 결과 benthiocarb와 butachlor 10 ppm에서는 CGA 123'407 0.1 ppm에서부터, pretilachlor 10 ppm에서는 CGA 123'407 0.25 ppm 이상에서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가 크게 증대되었다. 3. Benthiocarb, butachlor, pretilachlor 1, 5, 10, 20 ppm에 해독제(解毒劑) CGA 123'407을 20 : 1(0.05, 0.25, 0.5, 1 ppm)과 50 : 1 (0.02, 0.1, 0.2, 0.4 ppm) 비율로 혼합처리(混合處理)하였을때 각각 제초제의 살초율(殺草率)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벼에서 benthiocarb, butachlor, pretilachlor에 대한 CGA 123'407의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가 인정됨에 따라 앞으로 벼의 보온절충(保溫折衷)못자리와 직파재배(直播栽培) 조건에서도 적용실험을 실시하여 제초제의 선택성(選擇性)을 높이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은 바람직스럽다고 사료된다.

  • PDF

Y123 초전도체 및 Y124 초전도체에서 층과 사슬에 존재하는 구리 원자의 화학결합 (The Chemical Bond of Cu Atom in Layer and Chain for Y123 and Y124 Superconductors)

  • 손만식;백우현;이기학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77-484
    • /
    • 1992
  • Y123 초전도체 및 Y124 초전도체 결정 구조에서 사슬과 층에 존재하는 구리의 화학결합 및 전자 성질을 반경험적 분자 궤도론인 ASED-MO로 계산하여 VEP(valence electron population), DOS(density of state) 및 COOP(crystal orbital overlap population)로써 고찰하였다. 또한 구리 원자의 환경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전 덩어리 모델에 수소의 점전하가 있는 경우와 점전하가 없는 경우를 도입하였다. ASED-MO 계산 결과로 부터, Y123 초전도체 및 Y124 초전도체의 사슬에 존재하는 구리 원자는 전자 받게 역할을 하며, 층에 존재하는 구리 원자는 전자 주게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점전하가 없는 Y123 초전도체 및 Y124 초전도체의 사슬에 존재하는 구리의 산화 상태는 층에 존재하는 구리의 산화 상태보다도 더 크다. Y123 초전도체의 층에 존재하는 구리 원자의 산화 상태는 Y124 초전도체의 층에 존재하는 구리 원자의 산화 상태보다도 더 크다. 그리고 Y123 초전도체의 사슬과 층에 존재하는 구리 원자는 주위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Y124 초전도체의 사슬과 층에 존재하는 구리 원자의 경우 Y123 초전도체와 다르게 주위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u1-O4, Cu2-O4의 전자분포와 결합성은 Y123 초전도체와 Y124 초전도체가 다르게 나타났다.

  • PDF

I-123 표지 지방산의 체내 분포 및 대사(I) : [I-123]15-(p-iodophenyl)pentadecanoic acid(IPPA) (Biodistribution and Metabolism of I-123 Labelled Fatty Acid(I) : [I-123]15-(p-iodophenyl)pentadecanoic acid(IPPA))

  • 장영수;이동수;정재민;서용섭;정준기;이명철;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0-60
    • /
    • 1998
  • 국내에서 제조한 I-123-IPPA의 안정성 및 동물체내 분포와 대사, 그리고 SPECT 영상 분석 방법을 연구하였다. I-123-IPPA의 안정성을 보기 위하여 사람 및 랫트와 마우스 혈청과 반응시킨 후 1 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 I-123이 유리되지 않았다. 마우스에 I-123-IPPA 투여 후 장기를 적출 하여 본 체내 분포는 심장의 단위무게당 섭취는 5분에 14.5%ID/g 기관당 섭취는 1.9%ID/organ 이었다. 주사량 대비 심장 섭취율은 주사 60분에 처음의 1/4-1/6로 줄었다. 심근대 혈액 비와 심근 대 폐와 심근 대 간 섭취 비는 I-123-IPPA 투여 후 처음 5분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계속 감소하였다. 랫트에 I-123-IPPA를 투여한 후 혈액과 소변 크로마토그라피에는 I-123-IPPA가 15-20분 후에 혈액이나 소변 중에 I-123-IPPA는 거의 남지 않고 여러 중간 물질이 되었다. 심근경색 실험견에 경색을 만들기 전과 후에 시행한 심근 동적 SPECT에서 정상 심근은 I-123-IPPA가 섭취되었다가 제거되는 모습으로, 경색 부위는 I-123-IPPA의 섭취 결손으로 보였다. 심근의 I-123-IPPA SPECT에 보이는 결손은 Tc-99m-MIBI SPECT와 F-18-FDG PET에 보이는 결손과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원자력병원 싸이클로트론 응용 연구실에서 제조한 I-123-IPPA가 심근 질환의 대사를 평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PDF

에스트라디올 유도체의 합성, 표지 및 체내동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Labeling and Its Biodistribution of Estradiol Derivatives)

  • 김상욱;양승대;서용섭;전권수;안순혁;임수정;최창운;임상무;김영순;유국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03-409
    • /
    • 2000
  • 목적: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불균질 분포와 시간 변화에 따른 수용체 상태의 변화 때문에 조직검사를 통한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생화학적 측정은 유방암을 진단하기에 충분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을 개선하고 좀더 나은 유방암의 진단을 위하여 E-$[^{123}I]$IVE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의 영상을 얻기에 적합한 방사성 추적자를 개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여러 가지 에스트라디올 유도체 중에서 $17{\alpha}$-ethynyl estradiol로부터 $17{\alpha}-[^{123}I]$iodovinyl estradiol ($[^{123}I]$IVE)을 합성하였다. E-$[^{123}I]$IVE는 peracetic acid와 $[^{123}I]$NaI를 이용하여 합성하였고, Z-$[^{123}I]$IVE는 chloramine-T/HCl과 $[^{123}I]$NaI로 합성하였다. 표지수율은 TLC-scanner를 이용해 측정하였으며, 방사 화학적 순도는 HPLC로 측정하였다. E-$[^{123}I]$IVE의 체내 동태 연구는 immature female Fisher rate를 사용해 60분, 120분 그리고 300분에 측정하였다. 결과: E-$[^{123}I]$IVE와 Z-$[^{123}I]$IVE의 표지수율은 각각 92%와 94%이었고, 정제 후 방사 화학적 순도는 98% 이상이었다. E-$[^{123}I]$IVE의 최고섭취는 uterus에서 주사 120분 후에 관찰되었다(3.11%ID/g).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E-$[^{123}I]$IVE는 유방암환자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존재를 평가하는 진단시약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파킨슨병에서 $[^{123}I]{\beta}$-CIT SPECT를 이용한 도파민 운반체 영상 (SPECT Imaging of Dopamine Transporter with $[^{123}I]{\beta}$-CIT: A Potential Clinical Tool in Parkinson's Disease)

  • 김상은;이원용;지대윤;최연성;이경한;최용;오승준;김병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34
    • /
    • 1996
  • [ $[^{123}I]{\beta}$ ]-CIT [$2{\beta}$-carbomethoxy-$3{\beta}$-(4-iodophenyl)tropane]는 도파민 운반체 (dopamine transporter)에 특이결합하며 $[^{123}I]{\beta}$-CIT의 도파민 운반체 결합정도는 파킨슨병에서 도파민 뉴우런의 변성정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제안되어 왔다.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파킨슨병 환자에서 $[^{123}I]{\beta}$-CIT SPECT를 이용하여 측정된 $[^{123}I]{\beta}$-CIT의 선조체 결합지표들이 질병의 임상적 진행정도를 반영하는지를 검토하고, 간편화된 조직방사능비가 $[^{123}I]{\beta}$-CIT의 결합정도를 나타내는 정량적 지표로 이용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파킨슨병 환자 30명($59{\pm}9$세, 평균${\pm}$표준편차: Hoehn-Yahr stage 1-3)과 정상인 6명 ($58{\pm}5$세)을 대상으로 $[^{123}I]{\beta}$-CIT SPECT 영상을 얻었다. $[^{123}I]{\beta}$-CIT 선조체 결합의 정량적 지표로서 (선조체 방사능-소뇌방사능)/소뇌방사능 비(specific binding ratio, SBR)와 추적자역학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한 선조체 결합능(binding potential)($k_3/k_4$)을 구하였다. 파킨슨병 환자에서 $[^{123}I]{\beta}$-CIT의 선조체 결합역학은 정상인에 비하여 현저하게 느렸으며 그 결합지표들은 정상인에 비하여 뚜렷하게 낮았다. 한편, 편측파킨슨병 환자에서 $[^{123}I]{\beta}$-CIT 결합은 증상 반대쪽 선조체 뿐만 아니라 같은 쪽 선조체에서도 정상인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파킨슨병 환자에서 $[^{123}I]{\beta}$-CIT 투여 후 24시간의 선조체 SBR 및 최대 SBR, 선조체 결합능은 모두, 유병기간, Hoehn-Yahr stage, UPDRS(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총점, UPDRS 운동점수, UPDRS 일상활동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24시간 선조체 SBR과 최대 SBR은 선조체 결합능과 우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123}I]{\beta}$-CIT의 선조체 결합은 파킨슨병의 진행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 또 $[^{123}I]{\beta}$-CIT 투여 후 24시간 영상으로부터 얻은 간편화된 조직방사능 비는 $[^{123}I]{\beta}$-CIT의 결합정도를 정량적으로 반영한다. $[^{123}I]{\beta}$-CIT SPECT는 파킨슨병의 조기진단 및 진행 추적에 임상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e-124 Target로 생산된 I-123 SPECT 영상에서의 조준기 선택 (Collimator Selection in Nuclear Medicine Imaging Using I-123 Generated by Te-124 Reaction)

  • 김희중;손혜경;봉정균;남기표;이희경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72-378
    • /
    • 1996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Te-124 반응으로 생산된 I-123을 이용하여 표지된 방사의약품을 이용할 때 저에너지용 조준기와 중에너지용 조준기가 SPECT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 I-123을 채운 선선원을 이용 선선원과 조준기 사이에 풀렉시 유리판을 넣고 조준기로부터 선선원까지의 거리 5cm, 10cm, 15cm에서 영상을 얻었다. 비슷한 방법으로 I-123을 채운 패트리 접시, 2차원 호프만 모형, 3차원 제젝 모형, 3차원 호프만 모형을 영상화하였다. 서로 다른 조준기에서의 장단점을 보기 위해 공간해상도, 예민도, 산란성등의 특성이 비교되었다. 결과 : LEUHRP와 MEGP 대한 FWHM, FWTM, 그리고 예민도는 각각 (9.27mm, 61.27mm, $129CPM/{\mu}Ci$) 그리고 (10.53mm, 23.17mm, $105CPM/{\mu}Ci$)였다. 2차원 호프만 뇌 모형의 영상질은 LEUHRP가 MEGP보다 우수하였다. 그러나 3차원 제젝모형과 호프만 모형에서의 영상질은 MEGP가 LEUHRP보다 우수하였으며 그 이유는 3차원 영상 조건에서의 산란영향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보아 [I-123]MIBG, [I-123]${\beta}$-CIT, 또는 [I-123]IPT의 3차원 영상 검사를 위하여 MEGP가 LEUHRP보다 우수한 영상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