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ylanase

검색결과 463건 처리시간 0.029초

Paenibacillus sp. DG-22로부터 xylanase 생산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Xylanase Production from Paenibacillus sp. DG-22)

  • Lee, Yong-Eok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18-625
    • /
    • 2003
  • 목재 저장소의 토양에서 분리된 호열성 세균인 Paenibacillus sp. DG-22로부터 xylanase를 생산하기 위한 배양조건을 최적화시키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Xylanase생산은 세포의 생장과 연관된 양상을 나타내었다. Xylanase 활성은 배양상청액에서만 발견된 반면 $\beta-xylosidase$활성은 주로 세포와 결합되어 있었다. Xylanase활성의 형성은 자일란에 의해 유도되었고 포도당과 자일로스에 의해서 억제되었다. 여러 상업적 자일란을 이용하여 xylanase의 생산양상을 조사한 결과 0.1-0.5%의 birchwood xylan에서 가장 높은 생산율을 나타내었다. 조사된 여러 질소 원들 중 효모추출물이 xylanase생산을 위하여 최적이었다. xylanase의 활성은 $Co^{2+},\; Cu^{2+},\; Fe^{3+},\; Hg^{2+}\;$$\; Mn^{2+}$ 이온들에 의하여 억제된 반면 $Ca^{2+},\; Mg^{2+},\; Ni^{2+},\; Zn^{2+}$ 이온들과 DTT에 의해서는 촉진되었다. 수은은 5 mM의 농도에서 xylanase 활성을 완전히 파괴하였다. 자일란 가수분해의 주된 산물은 자일로바이오스, 자일로트라이오스 그리고 자일로 올리고당이었고 이것은 이 효소가 endoxylanase라는 것을 나타낸다.

C/D, P 및 Z단계 표백시 Xylanase처리에 의한 펄프성질의 변화 (Variation of Oak Kraft Pulp Properties by Xylanase Treatment in C/D, P and Z Stage)

  • 김동호;백기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100-109
    • /
    • 199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decrease pollutions of bleaching effluent and was to enhanced brightness of non-chlorine bleached pulps by xylanase treatments. Xylanase cloned Esherichacoli(E. coli) capable of each of endo, exo-xylanase and acetyl-esterase were obtained from Bacillus stearothermophillus. These xylanase was maintained high activity in alkali and high temperature. Especially endo-xylanase would be more active in $60^{\circ}C$ and pH 11. Xylanase pretreatment(X) of unbleached pulp increased brightness, and decreased the degree of delignification. The degree of increase in brightness of pulp due to xylanase pretreatment was similar to non-enzyme treated pulp, regardless of the amount of enzyme added. Therefore, the addition of xylanase of 2 unit was recommended when considering costs of enzyme. The pulp bleached XO sequence had higher brightness and lower Kappa no, than O bleached pulp, while pulp bleached XP sequence had similar brightness and Kappa no. with P bleached pulp. In XOC/D, XOZ and XOP bleaching sequences, brightness and degree of delignification were improved. The C/D and Z stage bleached pulp was good effect on rate of raise in brightness and Kappa no., but P stage bleached pulp had similar level in non-enzyme treated bleaching sequence.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Xylanase from a Novel Strain, Penicillium menonorum SP10

  • Thi Thu Huong Luong;Supattra Poeaim ;Narumon Tangthirasunun
    • Mycobiology
    • /
    • 제51권4호
    • /
    • pp.239-245
    • /
    • 2023
  • Xylanase has been applied in various sectors, such as biomass conversion, paper, pulp, textiles,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This study aimed to isolate and screen potential xylanase-producing fungi from the soil of Suphan Buri Province, Thailand. Fifteen fungi were isolated, and their xylanase activities were tested by the qualitative method. The result showed that isolate SP3, SP10 and SP15 gave high xylanase activity with potency index (PI) of 2.32, 2.01 and 1.82, respectively. These fungi were selected for the xylanase quantitative test, isolate SP10 performed the highest xylanase activity with 0.535 U/mL. Through molecular methods using the 𝛽-tubulin gene, isolate SP10 was identified as Penicillium menonorum. The xylanase characteristics from P. menonorum SP10 were determined, including the xylanase isoforms and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The xylanase isoforms on SDS-PAGE indicated that P. menonorum SP10 produced two xylanases (45 and 54 kDa). Moreover, its xylanase worked optimally at pH 6 and 55 ℃ while reaching 61% activity at 65 ℃. These results proposed P. menonorum SP10 as a good candidate for industrial uses, especially in poultry feed and pulp industries, to improve yield and economic efficiency under slightly acidic and high-temperature conditions.

Xylanase와 Mannanase를 생산하는 Aspergillus niger의 분리와 동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Xylanase and Mannanase Producing Aspergillus niger)

  • 김병석;조진국;송진욱;이학교;황성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5호
    • /
    • pp.427-43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xylanase, mannanase를 생산하는 미생물균주를 분리하기 위해 1차로 토양 및 낙엽 등에서 곰팡이 균주를 약 50여주 분리하였으며, 1차 선발된 균주로부터 xylanase, mannanase를 생산하는 미생물 분리를 위해 xylanase 생성균주 선별배지, mannanase 생성균주 선별배지에 single colony를 접종한 후 clear zone이 생기는 15종의 균주를 2차 선발하였다. 2차 선발된 균주를 개별적으로 배양하여, DNS 방법을 활용하여 xylanase, mannanase 효소활성을 측정하여 6종의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별된 균주는 액상배양에서 생산한 xylanase, mannanase 효소활성이 각각 0.9~1.6 unit/mL, 0.2~0.4 unit/mL 범위로 나타났다. 이 중 결과가 좋은 3종을 선정하여 고상배양으로 배양한 균주의 xylanase, mannanase 효소활성은 각각 103.7~220.0 unit/g, 20.1~40.3 unit/g으로 분석되었다. 선별된 3종의 균주중 xylanase, mannanase 효소활성이 각각 197.3 unit/g, 39.9 unit/g으로 가장 높은 E-3 균주를 최종적으로 선발하였다. 최종으로 분리한 E-3 균주는 형태학적 특징과 DNA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Aspergillus niger와 99% 일치하였다.

Endo-xylanase, Exo-xylanase 몇 Acetyl-esterase 효소 처리한 펄프의 특성 변화 (The Character Variation of Wood-Pulp treated Three Enzyme ; Endo-xylanase, Exo-xylanase and Acetyl-esterase)

  • 김병현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28
    • /
    • 2008
  • The wood-pulp is treated with the three enzymes; Endo-xylanase, exo-xylanase and acetyl-esterase. The maximum value of relative activity appeared 0.95 in acetyl-esterase at $40^{\circ}C$, 0.9 in exo-xylanase at $40^{\circ}C$, and 0.8 in endo-xylanase at $50^{\circ}C$, respectively. And it has measured 0.8 in endo-xylanase, 0.95 in acetyl-esterase at pH 6 and 0.9 in exo-xylanase at pH 5, while the maximum value of relative activity does not rely on reaction time for three enzymes treatment, and the value was about 0.9, respectively. We have watched that decreased Kappa number and increased brightness. And it turned out that the three enzyme produced a lot of reducing sugar with wood-pulp treatment.

  • PDF

고온성 사상균의 효소에 관한 연구 -(제4보) 고온성 사상균의 Xylanase 와 Laminaranase- (Stiudies on Enzyme of the Thermophilic Mold -(Part 4) Xylanase and Laminaranase from Thermophilic Mold-)

  • 정동효;이계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5권3호
    • /
    • pp.207-211
    • /
    • 1972
  • 1. 고온성 사상균인 Myriococcum albomyces의 밀기울 액체배양액에는 xylanase 와 laminaranase활성이 있었다. 2. Xylanase와 laminaranase의 최적 pH는 각각 5.0과 6.0이었다. 그리고 xylanase의 pH안 전범위는 $pH\;4.0{\sim}pH\;7.0$ 이었다. 3. Xylanase의 최적온도는 $55^{\cicr}C$이고 laminaranase의 척적온도는 $65^{\cicr}C$ 였다. 4. Xylanase의 열안전성은 $65^{\cicr}C$65에서 55분간, laminaranase 는 70 분간 안전하였다.

  • PDF

Bacillus sp. A-6의 Xylanase의 정제와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Xylanase from Bacillus sp. A-6)

  • 최석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7-152
    • /
    • 2009
  • Bacillus sp. A-6의 배양액의 상등액으로부터 한외여과와 5 mM sodium acetate, pH 5.0 용액으로 평형화된 SP-Sepharose column을 사용한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xylanase를 정제하였다. Column에 흡착된 xylanase는 0.05 M NaCl 이하의 농도에서 용출되었다. 용출된 xylanase가 SDS-PAGE에서 단일 펩티드 밴드로 분리되어 순수함을 확인하였으며 oat spelt xylan을 기질로한 zymogram에서 xylan을 분해하는 밴드로 나타났다. Xylanase의 분자량은 SDS-PAGE에서 15,000이었고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에서 14,100 이었다. 박층막 크로마토그래피에서 xylanase가 oat spelt xylan을 xylobiose와 xylooligosaccharide로 분해함을 보였다. Xylanase를 가열할 때에 상대활성도가 $40^{\circ}C$에서 7시간 후에 80%로 감소하였으며 $60^{\circ}C$에서는 1시간 후에 40% 이하로 감소하였다.

Exo-xylanase 생산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Exo-xylanase Producing Microorganism)

  • 하재석;이영남;임재윤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19
    • /
    • 1992
  • 부패한 나무, 퇴비, 제지공장의 폐지 및 폐수 등으로부터 분리한 300여 종류의 섬유소 분해균 중 xylanase 활성이 다른 균주에 비해 비교적 높았던 33번 균주를 균의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과, 균체 지방산 조성에 의하여 Pseudomonas sp.로 동정하였다. Xylanase 활성의 최적 온도외 최적 pH는 각각 $50^{\circ}C$와 5.5이었고, 효소의 안정성은 $45^{\circ}C$ 이하의 온도와 pH 5.0에서 7.0 사이에서 유지되었다. 이 균주가 생산하는 xylanase는 효소반응분해물의 paper chromatography에 의하여 주로 exo-type의 xylanase임이 밝혀졌다.

  • PDF

Xylan과 Xylan 가수분해물에 의한 Bacillus safensis 분리균의 Xylanase 생산 (Xylanase Production from Bacillus safensis Isolate by Xylan or Xylan Hydrolyzed Products)

  • 진현경;윤기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24-332
    • /
    • 2016
  • 왕겨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증균 배양을 실시함으로써 국내 사찰에서 제조된 된장으로부터 xylan 분해능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균 YB-1301은 DNA gyrase subunit B 유전자(gyrB)의 염기서열에 근거하여 Bacillus safensis로 동정되었다. B. safensis YB-1301을 밀기울 또는 여러 종류의 xylan들이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xylanase의 생산성이 급격하게 증가되었다. 특히 birchwood xylan이 첨가된 LB 배지에서 플라스크 배양을 하였을 때 최대 340 U/ml 이상의 xylanase 생산성을 보였다. Xylan이 첨가되지 않은 LB 배지에서는 매우 소량의 xylanase가 균의 성장과 연계되어 항시적으로 생산되지만, xylan이 첨가된 배지에서는 정지기 생육단계에서 xylanase의 생산이 크게 유도되었다. 더구나 xylanase 생합성은 가수분해되지 않은 xylan 보다 xylan의 효소적 가수분해 산물에 의해 더 빠르게 유도되었다. 또한 B. safensis YB-1301의 배양상등액에 존재하는 xylanase는 55℃와 pH 6.5−7.0의 반응조건에서 최대활성을 나타냈다.

고온, 알칼리성 Bacillus K17이 생성하는 Xylan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Xylanases from Produced Thermophilic Alkalophilic Bacillus K17)

  • Kang, In-Soo;Sung, Nack-Kie;Chun, Hyo-Kon;Teruhiko Akiba;Koki Horikoshi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447-453
    • /
    • 1986
  • 고온, 알칼리성 Bacillus K17이 생성하는 extracellular xylanase를 각종 resin으로 정제하여 비흡착 분획에서 xylanase I과 흡착 분획에서 xylanase II를 분리정제하였고,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에 의하여 분자량을 측정하였던바 xylanase I은 23,000, xylanase II는 47,000으로 추정되었다. Xylanase I 및 II는 최적온도, 최적 pH, 열 안정성, pH 안정성, 기질 친화력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Cu$^{++}$, Ag$^+$, Fe$^{++}$, Hg$^{++}$에 의해 다같이 저해되었다. Xylanase I은 xylan을 Xylobiose, xylotriose, xylotetraose로 분해시키며 그 분해율이 22%로 나타났다. 그리고 xylanase II xylose, xylobiose, xylotriose로 분해시키며 그 분해율이 30%이었다. 효소적 분석은 효소가 갖는 기질특이성으로 인해 다성분계의 분석재료로부터 측정한 성분만을 정량 가능하므로 생체성분의 분석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