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iongnu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고고학으로 본 흉노(匈奴)의 발생과 분포 (The Contemporary Researches of the Xiongnu Archaeology)

  • 강인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6권
    • /
    • pp.105-156
    • /
    • 2003
  • Archaeological research on the Xiongnu began in the late 19th century by a Russian archaeologist Talko-Grinchevich. The Xiongnu culture has been reported in the northern steppe of China and eastern part of Eurasian steppe. Mainly, Xiongnu sites, dated from the late 2nd century B.C. to the 1st century A.D., are reported on the east side of Baikal Lake(Zabaikal), east Mongolia, and the Inner Mongolia of China. Based on the historical records and the archaeological remains, the North Xiongnu culture is defined to be the remains of Zabaikal, and the South Xiongnu culture the archaeological remains of Nothern China. The expelled North Xiongnu, while fleeing to the western part of Eurasia, left traces of their own archaeological remains in the Southern Kazakhstan, Xinjiang of China, Altai, and finally appeared in the Europe as Huns. The most characteristic archaeological materials of the Xiongnu are bronze plaques and ceramics made by handicraft, and highly developed iron weapons. After the power of the Xiongnu was dissolved in 1st c. A.D., previously subordinated peoples such as Xianbi, Wuhuan, Wusun rised in the Eurasia steppes and opened medieval age in Eurasia. The "northern type" materials found in Korea are dated to the period of Xiongnu or slightly later,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contemporary Xiongnu. research.

고고학 자료로 본 흉노의 철기문화 -중국 중원계 철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New Perspectives on the Xiongnu Iron Works based on Archaeological Study)

  • 문재범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4호
    • /
    • pp.64-77
    • /
    • 2013
  • 현재의 몽고와 바이칼(Baikal) 호 서부, 투바(Tuva), 카자흐스탄(Kazakhstan), 중국 황하 상류 지구 및 신강(新疆) 등 광대한 지역에 분포했던 흉노의 철기문화는 전체적으로 유목문화의 특징을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철기제조기술 발생 이후 농업경제 위주의 중국 중원지구에서는 식량생산량의 증가가 명백하게 일어났다. 이것은 철제 농공구가 청동제 농공구에 비하여 내마모성과 인장강도가 강하며 파손 시 수리가 용이한 점 등 농경에 더욱 적합한 기계적 성능을 지녔기 때문이다. 때문에 농경지구에서는 다양한 철제 농경도구가 생산되었다. 그러나 흉노는 유목경제에 기초하고 있었기 때문에 철제생산도구의 사용이 유발하는 식량 생산력의 증가와 생산구조의 변화 정도가 높지 않았다. 다만, 군사 무기 방면에서의 변화는 비교적 컸다. 철기제작기술 보급 이후 원사무기(遠射武器) 위주의 흉노 무기 체계의 위력이 눈에 띄게 강해졌다. 게다가 이 시기에 흉노가 말 위에서 활을 쏘며 돌격하는 기사전술(騎射戰術)을 적극 활용하면서 흉노의 철제무기의 위력은 더욱 배가되었다. 이처럼 철기가 생산도구의 생산성 향상에 미친 영향보다 전쟁무기의 성능 향상에 미친 영향이 더욱 컸던 것이 유목경제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흉노 철기문화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비록 중국 중원계 철기문화의 영향력이 강하기는 하나 두 지역의 자연환경과 경제구조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철기문화가 발생한 이후 중원지역과 흉노지역은 사회 발전 방향의 차이가 발생했으며, 이러한 점은 철기문화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난다. 철기제작기술이 전래된 뒤에도 흉노는 자신들의 경제방식을 계속 유지하였다. 때문에 그들이 사용했던 철제 생산도구는 앞선 시기의 청동제 생산도구와 형태상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흉노의 영역 내에서 철기문화의 공통성은 광범위하게 유지되었다.

흉노(匈奴)의 복식문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stume Culture of Xiongnu)

  • 김용문
    • 복식
    • /
    • 제63권3호
    • /
    • pp.1-16
    • /
    • 2013
  • Xiognu people were the first of the Central-Asian nomads to establish a nation in 209 B.C. They always moved around looking for places to breed their animals and fertile grounds, so they wore clothes made of fur and leather and covered their tents with felt from the livestock. This research studies on the literatures, costumes and the achievement of archaeological excavation. Furthermore, to investigate on costumes excavated of Xiongnu, we visited the Mongolian National Museum and the Hermitage Museum. A corn-hat made of felt, a felt hat with ear flaps and a golden crown with a bird on the top were unearthed from a tomb of Xiongnu in Inner mongolia. Women usually wore pigtails, and men wore pigtails or ponytails but they cut their hair short when holding a funeral. Many pigtails discovered in Noyon uul tombs can be considered as their funeral customs. The Xiongnu wore a round or v-neck caftan attached straight sleeves reaching knees in the left folded style, and because they always rode horses, having the length of the caftan not go past their buttocks would have made it more convenient for them. During the period of Western Han, Ho refered to Xiongnu and it became a common name for northern races. They used leather belts and an animal-designed buckle was found. Women commonly rouged their cheeks for a vivid and cute look, and many ornaments were excavated including bracelets, rings and decorations made of gold, silver, copper and jade, among which there were hair ornaments used to identify one's class. A horse pattern with wings and a horn of Golmod T20 was substitution for the Schythian use of deer. Patterns or shape of unearthed articles present in the Xiongnu culture in Noyon uul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Altaic, Greek and Persian cultures. The Xiongnu clothing was made of animals' skin and fur, woolen textiles and felt. It was folded to the left for upper garments, and the pants were adjusted using a belt and shoes were made of leather, which was very suitable for protection against the cold and horse riding. Mobilit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ir clothing.

Xiongnu Carpeting Traditions and Pattern Designs

  • Munkhtsetseg BAYANZUL
    • Acta Via Serica
    • /
    • 제8권1호
    • /
    • pp.71-86
    • /
    • 2023
  • This article aims to reveal the history of traditional Mongolian carpeting techniques and thei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based on archeological findings as well as related research from field researchers. Furthermore, the article highlights some of the ancient traditions in modern carpet decorative motifs and pattern designs. The paper focuses on traditional carpeting techniques, decoration motifs, pattern designs, and representations of embroidered felt carpets from Xiongnu Dynasty (209 BCE - 48 CE) elite burials. Main themes for this research are: 1. Traditional materials and techniques for making Xiongnu carpets. 2. Xiongnu embroidered felt carpet pattern designs, decoration motifs, and representations. 3. The development of modern Mongolian carpet decoration motifs and pattern designs. This research considers archeological evidence and socio-cultural factors together to hypothesize that traditional Xiongnu embroidered felt carpet techniques, main featured motifs, and pattern designs are widely used in modern Mongolian carpet design an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its development.

몽골 도르릭나르스 흉노 무덤 2~4호분 출토 청동 및 금제 유물 분석 (Analysis of Bronze Artifacts and Gold Ornaments Excavated from Xiongnu Tombs No. 2~4 at Duurlig Nars in Mongolia)

  • 유혜선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5-184
    • /
    • 2012
  • 본 연구는 몽골 도르릭나르스 유적 2호, 3호 및 4호분에서 출토된 청동제 및 금제 유물에 대한 과학적 분석 결과로부터 각 유적 출토품의 특징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몽골의 흉노무덤인 도르릭나르스 유적 2호, 3호 및 4호분은 비교적 소형이고, 도굴 된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유물이 다양하게 출토되었다. 특히 출토 유물에는 중국계 유물과 북방계 유물이 공존하고 있어 매우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먼저 청동 용기류의 경우 중국제인 한경이나 일산살 꼭지의 성분 조성과는 달리 주석에 비하여 납의 함유량이 높은 특징을 보였는데, 특히 2호의 청동쟁반, 청동등잔 그리고 4호의 청동솥의 경우는 주석이 1wt% 정도로 적게 함유되어 있어 Cu-Pb의 2원계 합금 조성을 보였다. 금제품의 경우는 2호분 장식품의 제작에 비교적 높은 순도의 금이 사용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금제 누금 장식의 금 알갱이의 접합에는 금과 구리를 합금한 금땜이 사용되었거나 확산접합(말라카이트나 산화구리 화합물 가루를 사용함)에 의하여 접합했을 가능성이 높았다. 향후 몽골지역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의 흉노 무덤 출토품에 대한 과학적 조사 및 분석이 더 많이 진행된다면 흉노 문화에 대한 더 많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