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a1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 수집 벼흰잎마름병균의 유전적 다양성 및 병원형 (Genetic Diversity and Pathotypes of Xanthomonas orzyae pv. oryzae Isolated in Korea)

  • 오창식;노은정;이승돈;나동수;허성기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24-231
    • /
    • 2010
  • 1999년부터 2004년 사이에 벼흰잎마름병의 원인균인 Xanthomonas oryzae pv. oryzae를 전국적으로 분리하여 Biolog와 지방산 분석법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한국의 벼 판별품종을 기준으로 분류한 결과 1999년도와 2002에 각각 분리된 벼흰잎마름병균은 모두 K1 레이스에 속하였다. 2003년도에 분리된 벼흰잎마름병균의 경우는 50% 이상이 K3 레이스에 속하였으며 대부분 전라도 지역에서 분리된 균주였다. 분리 년도 별로 단인자 벼 저항성 품종에 대한 균들의 반응을 보았을 때 많은 K1 레이스로 분류된 균주들이 단인자 저항성 품종에 대해 달리 반응을 보였다. Southern bolt 결과, 동일한 레이스에서도 다양한 비병원성 유전자들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하나의 레이스가 여러 개의 벼 저항성 유전자와 반응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전남과 전북에서 분리된 모든 K3 레이스들은 Xa3 단인자 저항성 품종을 침해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전남과 전북에 Xa3 저항성원을 지닌 벼 품종의 과다한 재배로 인하여 Xa3 침해 균주의 선별적 증식이 유도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다양한 비병원성 유전자 패턴 및 단인자 저항성 유전자에 대한 반응을 고려하여 국내 분리된 벼흰잎마름병균들을 19개의 병원형으로 분류하였다. 새롭게 분류된 병원형들은 국내의 새로운 저항성 품종을 육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 6개 벼 품종의 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 분석 (Gene Analysis of Resistance to Bacterial Blight,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in Korean Six Rice Cultivars)

  • 육진아;최춘환;강희경;최재을
    • 식물병연구
    • /
    • 제10권1호
    • /
    • pp.73-77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육성된 대안벼, 화선찰벼, 대진벼, 내풍벼, 화진벼, 수라벼의 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를 밝히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들 품종을 단일 저항성 유전자를 갖고 있는 준동질계통과 교배한 F$_1$ 개체와 F$_2$ 집단을 Kl race 균주와 일본의 race 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정품종은 모두 Xa1 저항성 유전자를 갖고 있는 IRBB101 계통과 대립관계를 나타냈고 Xa4와 xa-5 유전자를 갖고 있는 IRBB104와 IRBB105 계통과는 비대립 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대안벼, 화선찰벼, 대진벼, 내풍벼, 화진벼, 수라벼가 Xal 저항성 유전자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Effects of Xylazine or Acepromazine in dogs under constant rate infusion with alfaxalone

  • Yun, Sungho;Kwon, Young-Sam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93-99
    • /
    • 2016
  • The anesthetic depth and cardiovascular effect of alfaxalone constant rate infusion in dogs premedicated with xylazine or acepromazine were evaluated. Ten dog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2 groups. In group AA, dogs were premedicated with 0.02 mg/kg of intravenous acepromazine at 15 min before induction. In group XA 1.1 mg/kg of intravenous xylazine was premedicated at 5 min before induction. The anesthesia was maintained with 6 mg/kg/hr of alfaxalone after induction with 2 mg/kg alfaxalone in both groups. In both of groups, the qualities of induction were satisfactory without any adverse event, but adequate analgesia could not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withdrawal test. $PaO_2$ and $SaO_2$ implied a slight hypoxemia state in XA group, while those values of group AA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The acepromazine and alfaxalone combination induce mild tachycardia. The bispectral index sco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 XA, compared with that in group AA. The premedication of xylazine before alfaxalone constant rate infusion in this study could provide adequate analgesia during 30 min, while the premedication with acepromazine could not.

기원이 다른 저항성 유전자를 갖는 근동질 계통에서 Xanthomonas oryzae pv. oryzae의 증식과 이동 (Multiplication and Movement of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in Rice Leaves with Resistance Genes Derived from Different Origins)

  • 강선주;이성은;김민정;한진수;최재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06-311
    • /
    • 2010
  • 저항성원이 다른 7개이 근동질 저항성 계통과 감수성 품종인 Toyonishiki에서 X. oryzae pv. oryzae의 증식과 이동에 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접종 10일 후, NIL의 접종부위 잎의 세균밀도는 약 $10^5{\sim}10^6\;cfu/cm^2$이었으나 감수성 품종인 Toyonishiki에서는 약 $10^7\;cfu/cm^2$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감수성 품종에서의 세균 수는 급속히 증가하였으나 NIL에서는 점차적으로 증식하였다. IRBB 103과 Toyonishiki는 접종 25일 후에 접종부위로부터 20cm 위쪽에서 세균이 검출되었으나 다른 NIL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와같이 Xa1, Xa4, xa5, Xa7 저항성 유전자는 세균의 이동을 크게 억제하였다.

A Novel Expression System for Recombinant Marine Mussel Adhesive Protein Mefp1 Using a Truncated OmpA Signal Peptide

  • Lee, Sang Jun;Han, Yun Hee;Nam, Bo Hye;Kim, Young Ok;Reeves, Peter R.
    • Molecules and Cells
    • /
    • 제26권1호
    • /
    • pp.34-40
    • /
    • 2008
  • To express an increased level of recombinant Mefp1 (marine mussel adhesive protein) in soluble form, we constructed expression vectors encoding truncated OmpA signal peptide-Mefp1 fusion proteins. OmpA signal peptide (OmpASP) is the 21 residue peptide fragment of the 23 residue OmpA signal sequence cleavable by signal peptidase I. We successfully produced increased levels of soluble recombinant Mefp1 (rMefp1) with various deletions of OmpASP, and found that the increased expression was caused by the increased pI of the N-terminus of the fusion proteins (${\geq}10.55$). All the OmpA signal peptide segments of 3-21 amino acids in length had the same pI value (10.55).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pI value of the truncated OmpASP ($OmpASP_{tr}$) play an important role in directional signaling for the fusion protein, but we found no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a secretion enhancer in OmpASP. For practical applications, we increased the expression of soluble rMefp1 with $OmpASP_{tr}$ peptides as directional signals, and obtained rMefp1 with the native amino terminus (nN-rMefp1) using an $OmpASP_{tr}$ Xa leader sequence that contains the recognition site for Xa protease.

Inheritance of Resistance to Bacterial Blight in Tongil Type Rice Cultivar 'Changseongbyeo'

  • Shin, Mun-Sik;Noh, Tae-Hwan;Lee, Jae-Kil;Shin, Hyun-Tak;Cho, Soo-Ye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64-65
    • /
    • 1998
  • The inheritance of resistance to bacterial blight in a Tongil-type rice cultivar 'Changseongbyeo' was studied using a Korean isolate HB9101. which belongs to race $K_1$. The resistance of Changseongbyeo to the HB9101 was controlled by a single dominant gene. This gene was allelic with Xa-1 gene and linked to Ig gene on chromosome 4 with the recombination value of 7.5%.

  • PDF

벼 흰잎마름병 저항성 차이에 따른 병 발생정도와 수량 및 미질의 비교 (Disease Incidence, Yield and Quality Comparisons among Rice Varieties with Different Resistance to Bacterial Leaf Blight)

  • 노태환;김기영;이두구;심형권;강미형;박종철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171-175
    • /
    • 2008
  • 벼 흰잎마름병 발병 상습지인 전북 김제, 전남 영암, 장흥에서 감수성인 '남평벼', 저항성인 '강백벼'(xa5)와 '익산493호'(Xa3+xa5)에 대해 병 발생과 수량 및 미질의 피해 양상을 조사하였다. 벼 발생율은 김제지역이 병 발생이 가장 심한 반면 전남 두 지역은 초발병 시기가 늦어 비교적 낮은 발병율을 보였다. '남평벼'가 $98{\sim}23%$로 전 지역에서 파장 감수성을 보였다. 반면, '강백벼'와 '익산493호'는 각각 $2{\sim}15%$, $2{\sim}6%$의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쌀 수량은 발병율이 가장 높은 전북 김제지역에서만 발병정도에 따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감수성인 '남평벼'가 352 kg/10a인 반면 저항성인 '익산493호'는 540 kg/10a로 65%의 차이를 보였다. 쌀 미질은 발병정도에 관계 없이 완전립율과 심복백 비율등의 외관상 미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발병율이 낮았던 지역에서는 Xa3+xa5를 보유한 '익산493호'는 완전립율, 심복백 비율등이 xa5을 가진 '강백벼'에 비해서도 좋은 결과를 보였다. 특히 밥맛에 큰 영향을 주는 단백질 함량은 '남평벼'에서는 발병정도에 따라 불안정한 곁과를 보였으나 저항성 품종들에서는 $6.9{\sim}9.8%$로 균일하게 나타났다.

Generalized Inverses and Solutions to Equations in Rings with Involution

  • Yue Sui;Junchao Wei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64권1호
    • /
    • pp.15-30
    • /
    • 2024
  • In this paper, we focus on partial isometry elements and strongly EP elements on a ring. We construct characterizing equations such that an element which is both group invertible and MP-invertible, is a partial isometry element, or is strongly EP, exactly when these equations have a solution in a given set. In particular, an element a ∈ R# ∩ R is a partial isometry element if and only if the equation x = x(a)*a has at least one solution in {a, a#, a, a*, (a#)*, (a)*}. An element a ∈ R#∩R is a strongly EP element if and only if the equation (a)*xa = xaa has at least one solution in {a, a#, a, a*, (a#)*, (a)*}. These characterizations extend many well-known results.

Bleeding After Gastric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Focused on Management of Xa Inhibitors

  • Ono, Shoko;Ieko, Masahiro;Tanaka, Ikko;Shimoda, Yoshihiko;Ono, Masayoshi;Yamamoto, Keiko;Sakamoto, Naoya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2권1호
    • /
    • pp.47-55
    • /
    • 2022
  • Purpose: The use of direct oral Xa inhibitors (DXaIs) to prevent venothrombotic events is increasing. However, gastrointestinal bleeding, including that related to endoscopic resection, is a concern. In this study, we evaluated bleeding and coagulation times during the perioperative period of gastric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ho consecutively underwent gastric ESD from August 2016 to December 2018 were analyzed. Bleeding rates were compared among the 3 groups (antiplatelet, DXaIs, and control). DXaI administration was discontinued on the day of the procedure. Prothrombin time (P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nd the ratio of inhibited thrombin generation (RITG), which was based on dilute PT, were determined before and after ESD.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265 gastric ESDs were performed in 239 patients, where 23 and 50 patients received DXaIs and antiplatelets, respectively. Delayed bleeding occurred in 17 patients (7.4%) and 21 lesions (7.1%). The bleeding rate in the DXaI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groups (30.4%, P<0.01), and the adjusted odds ratio of bleeding was 5.7 (95% confidence interval, 1.4-23.7; P=0.016). In patients using DXaIs, there was a significant (P=0.046) difference in the median RITG between bleeding cases (18.6%) and non-bleeding cases (3.8%). Conclusions: A one-day cessation of DXaIs was related to a high incidence of bleeding after gastric ESD, and monitoring of residual coagulation activity at trough levels might enable the predicted risk of delayed bleeding in patients using DXaIs.

벼 중만생 고품질 흰잎마름병 신균계(K3a) 저항성 품종 "진백" (A Mid-late Maturing Rice Cultivar with High-Quality and Bacterial Blight Resistance "Jinbaek")

  • 김기영;신문식;김보경;고재권;노태환;하기용;고종철;김우재;남정권;백만기;노광일;박현수;백소현;신운철;모영준;정진일;김영두;강현중;김정곤;황흥구;김제규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14-318
    • /
    • 2009
  • "진백"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2008년도에 육성한 중만생 고품질 벼흰잎마름병 신균계, K3a 저항성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남서해안지, 호남 및 영남평야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18일로 남평벼보다 1일 늦은 중만생종이다. 2. 간장은 71 cm로 '남평벼'에 비해 8 cm 정도 작고 주당 수수는 남평벼와 비슷하며 수당립수는 적고 등숙비율이 다소 높은 중립종에 속한다. 3. 위조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숙기 하엽노화가 늦고 수발아는 남평벼보다 잘 안되는 편이다. 춘천 내냉성 검정 결과 '남평벼'에 비해 유묘기 내냉성은 비슷하나 출수가 6일 정도 지연되며 내냉성 임실율이 낮은 편이다. 4. 진백은 Xa3, xa5 저항성 유전자가 집적된 품종으로 벼흰잎마름병(K1~K3, K3a)에는 강한 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5. 입형은 현미장폭비가 1.76으로 단원형이며 심복백은 거의 없고 남평벼 수준으로 맑고 투명하다. 아밀로스 및 단백질 함량은 남평벼에 비해 낮고 밥맛은 양호하며 제현율, 현백율 및 도정율은 남평벼와 비슷하나 백미완전미율은 다소 낮다. 6. 쌀수량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5.30 MT/ha로 남평벼보다 5% 낮았으나 벼흰잎마름병 발병상습지에서는 이병성인 남평벼에 비해 높은 수량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