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2초

X 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의 분류, 진단 및 치료의 최신 지견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Recent Advances in Classifica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 정을식;고아라;강훈철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71-83
    • /
    • 2016
  •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X-ALD) is caused by mutations in the ATP binding cassette subfamily D member 1 (ABCD1), a gene that encodes peroxisomal membrane located on ABC half-transporter named adrenoleukodystrophy protein (ALDP). X-ALD is characterized by a highly variable clinical spectrum, including progressive cerebral type, adrenomyeloneuropathy, and addison-only phenotype. No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 has been established. Thus, unidentified modifier genes and other co-factors are speculated to modulate the phenotypic variation and disease severity. Recent advanced sequencing methods and reprogramming technologies not only offer an affordable and applicable approach to investigate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of adrenoleukodystrophy, but also provide means to develop therapy. A causal therapy of X-ALD is lacking. Lorenzo's oil therapy is recommended for asymptomatic boys, but the longest study found that the oil was not beneficial at all to symptomatic X-ALD patients. Hematopoietic stem cell therapy has a relevant chance of success when performed during this early stage of cerebral type X-ALD. Recently, it has been insisted that lentiviral-mediated gene therapy of hematopoietic stem cells can provide clinical benefits in X-ALD. This review describes current knowledge on the clinical presentation, pathogenesis, diagnosis and management of X- ALD.

새로운 ABCD1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가지는 소아 대뇌형 부신백질이영양증 1례 (A Case of Childhood Cerebral Form Adrenoleukodystrophy with Novel Mutation in the ABCD1 Gene)

  • 신영림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9-53
    • /
    • 2012
  • X 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adrenoleukodystrophy, ALD)은 과산화소체베타산화과정(peroxisomal ${\beta}$-oxidation)의 장애로 매우긴사슬지방산(very long chain fatty acids, VLCFA)이 신경계의 백질과 부신피질 및 고환에 축척된다. 이 질환은 과산화소체막단백질(peroxisomal membrane protein)을 형성하는 Xq28에 위치하는 ATP-binding cassette, subfamily D, member 1 (ABCD1)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X 연관 ALD는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이는데 전형적인 소아대뇌형 부신백질이영양증은 10세 이전의 남아에서 대뇌백질에 빠르게 진행하는 탈수초현상을 보인다. 8세 된 남자 환아로 정상발달과정을 보이던 중 초등학교 입학 후에 집중장애와 산만한 모습으로 인해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로 진단받고 치료를 받았었다. 환아는 내원 8개월 전부터 말이 어눌해 지고 걸을 때 오른 발을 끌며 자주 넘어지는 모습을 보여 내원하였고 오른쪽 상, 하지의 근력이 떨어지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검사상 부신기능저하증 소견을 보였으며 혈청 지방산 분석검사에서는 C26:0, C42:0/C22:0, C26:0/C22:0가 증가하였다. 뇌 자기공명영상에서는 T2와 FLAIR 강조영상에서 양측의 두정후두부의 백질과 소뇌의 백질에서 대칭적으로 고신호강도를 보였다. 환아는 부신백질이영양증로 진단하였고 ABCD1 유전자 분석 검사에서 새로운 c.983delT (p.Met329CysfsX7) 돌연변이가 확인되었다. X 연관 ALD는 유전자형과 표현형에 연관성이 없으며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환자들마다 임상증상을 잘 관찰해야 하며 향후 유전자 기능을 좀 더 파악하고 임상증상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저나트륨혈증성 탈수증으로 진단된 소아 부신백질이영양증 1례 (A Case of Adrenoleukodystrophy Diagnosed as Hyponatremic Dehydration)

  • 이상헌;김형진;권영세;김순기;이지은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6-70
    • /
    • 2014
  •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ALD) is a uncommon metabolic disorder which derived by peroxismal ${\beta}$-oxidation and elevation of serum very long chain fatty acid (VLCFA). VLCFA is mainly accumulated in the myelin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adrenal cortex, by which the expressed symptoms of this disease are mainly neurologic and endocrinologic (such as adrenal insufficiency). The mutations in the ABCD1 gene causes X-linked ALD, nevertheless its phenotypes and genotypes are poorly coordinated. We report the case of a 12-year-old boy with X-linked ALD who developed vomiting, fatigue and poor oral intake. Severe dehydration and hyponatremia were found in initial physical examination and laboratory test, but his motor/sensory nerve function and mental status were completely normal. We diagnosed ALD with diffuse high-intensity signal in both parietotemporal cerebellar white matter in brain MRI and elevated serum VLCFA. Later, we confirmed a novel c.1635-1G>A (IVS6-1G>A) mutations of the ABCD1 gene. With the discrepancy between its phenotypes and genotypes, various phenotypes could be seen in X-ALD patient. Careful examination and further studies for these patients will be needed.

A Korean boy with atypical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confirmed by an unpublished mutation of ABCD1

  • Jwa, Hye Jeong;Lee, Keon Su;Kim, Gu Hwan;Yoo, Han Wook;Lim, Han Hyuk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7권9호
    • /
    • pp.416-419
    • /
    • 2014
  •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X-ALD) is a rare peroxisomal disorder, that is rapidly progressive, neurodegenerative, and recessive, and characteristically primary affects the central nervous system white matter and the adrenal cortex. X-ALD is diagnosed basaed on clinical, radiological, and ser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elevated plasma levels of very long chain fatty acids (VLCFA), such as C24:0 and C26:0, and high C24:0/C22:0 and C26:0/C22:0 ratios. These tests are complemented with genetic analyses. A 7.5-year-old boy was admitted to Department of Pediatric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ith progressive weakness of the bilateral lower extremities.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confirmed clinically suspected ALD. A low dose adrenocorticotropic hormone stimulation test revealed parital adrenal insufficiency. His fasting plasma levels of VLCFA showed that his C24:0/C22:0 and C26:0/C22:0 ratio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to 1.609 (normal, 0-1.390) and 0.075 (normal, 0-0.023), respectively.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peripheral whole blood samples collected from the patient and his family. All exons of ABCD1 gene were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using specific primers. Amplified PCR products were sequenced using the same primer pairs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We identified a missense mutation (p.Arg163Leu) in the ABCD1 gene of the proband caused by the nucleotide change 488G>T in exon 1. His asymptomatic mother carried the same mutation. We have reported an unpublished mutation in the ABCD1 gene in a patient with X-ALD, who showed increased ratio of C24:0/C22:0 and C26:0/C22:0, despite a normal VLCFA concentrations.

ABCD1 유전자 c.1252C>T의 돌연변이가 확인된 X-연관성 대뇌부신백질형성장애 1례 (A Case of Cerebral Adrenoleukodystrophy with c.1252C>T Mutation inABCD1 Gene)

  • 김유선;허림;권영희;이지은;조성윤;기창석;진동규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4-59
    • /
    • 2014
  • 부신백질형성장애는 성염색체-연관성 유전대사 질환으로 ABCD1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 이중 대뇌 부신백질형성장애는 부신백질형성장애의 한 표현형으로, 급격한 뇌백질의 탈수초화와 부신 기능 부전을 보인다. 9세 남아가 인지 및 신경 기능의 퇴행을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혈청 내 매우 긴 사슬 지방산이 증가되어 있었고 뇌 MRI에서 특징적인 양쪽 두정-후두엽 백질의 대칭적 고신호강도 소견을 보였으며 ABCD1 유전자에 돌연변이 c. 1252C>T (p.Arg418 Trp)가 발견되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An Incidentally Identified Sporadic Case with Adrenoleukodystrophy with the ABCD1 Mutation

  • Shin, Soon-Jung;Kim, Ja Hye;Kim, Yoo-Mi;Kim, Gu-Hwan;Lee, Beom Hee;Yoo, Han-Wook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0권1호
    • /
    • pp.43-46
    • /
    • 2013
  • Adrenoleukodystrophy (ALD) is an X-linked disorder which has diverse constellation of clinical pictures, ranging from the severe childhood cerebral form to adrenocortical insufficiency without neurological manifestations. This disorder is caused by the mutations in the ABCD1 gene encoding the adrenoleukodystrophy protein (ALDP), a transporter in the peroxisome membrane. ALD in most cases is inherited from one parent. Here, we report an incidentally identified sporadic case with ALD after traffic accident. He had adrenocortical insufficiency as well as abnormal findings in brain image. Genetic testing of ABCD1 gene revealed a previously reported mutation. With the description of clinical features of ALD in this patient, we discussed the difficulty in determining an appropriate therapeutic option for ALD patients with minimal neurological manifestation.

부신백질형성장애증 섬유모세포에서 발프로산의 항산화능 (Valproic Acid Reduces Reactive Oxygen Species in Fibroblast of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 강준원;전철구;장지호;강훈철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5-50
    • /
    • 2015
  • 목적: X-ALD는 Xq28에 위치한 ABCD1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긴사슬지방산이 신경 조직과 부신에 축적되어 일어나는 퇴행 뇌질환이며, 소아기 대뇌형의 경우 빠르고 심한 임상 경과를 보인다. 이 과정에서 산화스트레스도 조직 손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골수이식이나 로렌조 기름 등이 치료 방법으로 이용되나 치료의 위험성과 효과에서 한계를 보이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X-ALD 환자에게 채취한 섬유모세포를 이용하여, X-ALD의 치료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VPA의 효과를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X-ALD 환자의 피부에서 채취한 섬유모세포와 정상인의 피부에서 채취한 섬유모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양된 섬유모세포에 VPA를 처리한 후 RNA발현 정도를 통해 ABCD2 발현을 확인하고 유동세포계측법으로 활성산소종을 측정하였다. 결과: VPA을 처리한 후 정상과 X-ALD 섬유모세포 모두에서 ABCD2의 mRNA 발현이 증가하였다. 특히 X-ALD 섬유모세포에서 ABCD2 유전자 mRNA 발현이 2.22배로 정상의 1.76배보다 더 증가하였다. 유동세포계측법으로 활성산소종을 확인한 결과 대조군에서 13.7, VPA를 처리한 군에서는 각각 0.25 mM에서 8.67, 0.5 mM에서 9.37, 1 mM에서 5.83을 나타내었다. 결론: X-ALD 환자에서 VPA의 항산화능을 이용하여 신경손상을 막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를 실제 환자에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부신백질이영양증 환자의 치과치료를 위한 외래전신마취 -증례 보고- (Ambulatory Anesthesia Management of the Patient with Adrenoleukodystrophy for Dental Treatment -A Case Report-)

  • 서광석;박소연;신터전;김현정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5-49
    • /
    • 2010
  • Adrenoleukodystrophy (ALD) is a rare X-linked genetic disorder associated with various central nervous system problems and adrenal insufficiency. It is common in childhood and symptoms include loss of previously acquired neurological abilities, seizures, ataxia, Addison's disease as well as degeneration of visual and auditory function. These children frequently require anesthesia during imagining procedure such as MRI or during some surgical procedures like gastrostomy. There is special need for careful management because of numerous anesthetic challenges like difficulty in cooperation, seizure disorders, life-threatening airway obstruction, copious oral secretion and possibility of aspiration. In addition, adrenal involvement and hypofunction must be considered for safe anesthesia management. We report a successful anesthetic management in a patient with ALD for dental procedures.

X 염색체 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 환아들의 임상양상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in Childhood)

  • 유은정;김은영;국훈;우영종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3-43
    • /
    • 2005
  • 목적 : X 염색체 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은 과산화소체의 지방산 대사 장애로 인하여 포화 장쇄 지방산이 신경계의 수초와 부신 피질에 축적되어 여러 가지 신경학적 증상과 부신 기능 저하를 나타내는 드문 유전 질환이다. 증상의 발현 시기와 임상 경과에 따라 소아 대뇌형, 성인부신척수신경병형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나누어 지며 예후도 달라진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광주기독병원 소아과와 전남대병원 소아과에서 부신백질이영양증으로 진단받은 6명과 타병원에서 진단받고 골수 이식을 위해 내원한 7명, 총 13명의 남아들을 최소 1년 이상 추적 관찰하여 임상 경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1. 첫 신경학적 증상은 행동 장애, 청력 저하, 보행 장애, 시력 저하 및 사시 순이었고, 10명에서 ALD 가족력이 있었다. 2. 신경학적 증상의 발현시기, 증상의 진행 정도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소아 대뇌형이 10명, 청소년 대뇌형이 2명, 신경학적 증상과 MRI 병변은 없이 부신 기능의 저하만 있는 "Addison-only"가 1명이었다. 1) 소아 대뇌형의 경우 8명이 사망하였는데 첫 증상 발현 시기는 평균 7.02세, 자연 경과로 첫 증상으로부터 식물 인간 상태에 이르는 기간은 1.35년, 사망에 이르는 기간은 3.35년으로 빠르게 진행하였다. Lorenzo oil을 투여하였던 2명에서 증상은 진행하였고, 제대혈 이식을 시행했던 2례는 질환의 진행과 이식편 대 숙주반응에 의해 사망하였다. 2) 청소년 대뇌형의 첫 증상 발현시기는 11.5세로, 2명 모두 현재 19세, 26세로 생존해 있으나, 1례는 식물 인간 상태이다. 3) "Addison only" 1례는 Lorenzo oil과 steroid를 투여하면서 3년째 증상 없이 지내고 있다. 3. 뇌 MRI에서 양측 두정엽과 후두엽의 백질을 침범한 형태가 대부분(11명)이었고, 청소년대뇌형 1명에서만 내포, 대뇌각과 뇌교를 침범하였다. 4. 진단 당시 부신 기능 저하가 67%에서 있었으며, ACTH만 상승된 형태였다. 결론 : 소아기에 발현한 부신백질이영양증의 경우, 두정엽과 후두엽 백질을 침범한 소아 대뇌형이 대부분이었고, 첫 증상 이후 빠르게 진행하여 사망에 이르는 치명적인 경과를 보였다. 따라서 가족력이 있는 경우, 많은 구성원에서 장쇄지방산 검사를 시행하여 조기에 무증상 환자를 진단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