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형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1초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전단변형형 강가새 구조물의 탄소성 거동에 관한 연구 (Elasto-Plastic Behavior of Shear-Deformed Steel Braced Frame Using Finite Difference Method)

  • 박일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445-454
    • /
    • 2001
  • 본 연구는 전단변형형 강가새 골조의 탄소성 거동에 관한 연구로서 강가새 골조의 종류로는 X형 및 K형이며, 각 종류별 주 변수는 세장비로 되어있다. 재료의 응력도-변형도 관계는 변형경화현상을 고려한 Tri-linear형 모델을 사용하였다. 또한, 하중-변위 관계는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하중-변위관계에 관하여 탄성구배 및 최대하중에 관하여 해석결과치와 실험결과치를 비교하였고, 그 비는 약 10%내외의 오차를 보임에 따라 본 논문에서 제안한 해석법은 합리적임을 나타내었다.

  • PDF

교차도파관 방향성결합기의 방향성 성능 개선 (Directivity compensation of crossed waveguide directional coupler)

  • 김동현;양두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4권9호
    • /
    • pp.63-69
    • /
    • 2007
  • 교차도파관 방향성결합기는 결합도가 증가함에 따라 방향성이 감소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차도파관 방향성결합기의 방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X형 슬롯 쌍의 구조 변수를 수정하고, 그에 따른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K밴드 주파수 대역에서 그 관계식을 토대로 설계된 교차도파관 방향성결합기는 WR42 도파관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측정한 결과 WR42 주파수 대역인 $18GHz{\sim}26.5GHz$에서 평균 결합도는 21.05dB, 방향성은 최소 23.9dB로 나타났다.

Gun식 가스버너의 연소실내 난류 선회유동장 고찰 (Investigation on the Turbulent Swirling Flow Field within the Combustion Chamber of a Gun-Type Gas Burner)

  • 김장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3권9호
    • /
    • pp.666-673
    • /
    • 2009
  • The turbulent swirling flow field characteristics of a gun-type gas burner with a combustion chamber were investigated under the cold flow condition. The velocities and turbulent quantities were measured by hot-wire anemometer system with an X-type probe. The turbulent swirling flow field in the edge of a jet seems to cause a recirculation flow from downstream to upstream due to the unbalance of static pressure between a main jet flow and a chamber wall. Moreover, because the recirculation flow seems to expand the main jet flow to the radial and to shorten it to the axial, the turbulent swirling flow field with a chamber increases a radial momentum but decreases an axial as compared with the case without a chamber from the range of about X/R=1.5. As a result, these phenomena can be seen through all mean velocities, turbulent kinetic energy and turbulent shear stresses. All physical quantities obtained around the slits, however, show the similar magnitude and profiles as the case without a chamber within the range of about X/R=1.0.

한양대학교 중형 아음속 풍동의 공력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anyang Low Speed Wind Tunnel)

  • 고광철;정현성;김동화;조진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2-98
    • /
    • 2003
  • 한양대학교 중형 아음속 풍동의 설계요구사항에 따라 균일도 증가 및 난류도 감소를 위한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신뢰성 있는 풍동실험을 위해 먼저 풍동 시험부의 균일도와 난류강도 특성이 먼저 파악되어야 한다. 한양대학교 중형 아음속 풍동의 비균일도와 난류강도는 세 부분의 속도영역에서 피토관과 X형 열선프로브로 각각 측정되었다. 풍동 시험부의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비균일도가 작아졌으나 시험부의 측정단면이 확산부에 가까워질수록 비균일도가 크게 나타났다. 난류강도는 시험부 중앙에서 설계 요구조건에 비해 약간 높게 측정되었다.

3중 열선 프로브를 이용한 Gun식 가스버너의 3차원 유동장 측정 (Measurement of the Three-Dimensional Flow Fields of a Gun-Type Gas Burner Using Triple Hot-Wire Probe)

  • 김장권;정규조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3-31
    • /
    • 2006
  • Mean velocities and turbulent characteristics in the three-dimensional flow fields of a gun-type gas burner were measured by using triple hot-wire probe (T-probe) in order to compare them with the results already presented by X-type hot-wire probe (X-probe). Vectors obtained by the measurement of two kinds of probes in the horizontal plane and in the cross section respectively show more or less difference in magnitude each other, but comparatively similar shape in overall distribution. Axial mean velocity component along the centerline shows that the value by T-probe is about ten times smaller than that by X-probe above the range of X/R=3. Also, the axial component of turbulent intensity along the centerline appear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two probes. Moreover, axial mean velocity component, axial turbulent intensity component and rotational along the Y-directional distance show a big difference between slits and swirl vanes. On the whole, the values by T-probe appear smaller than those by X-probe.

  • PDF

KRISO 3600TEU 콘테이너 모형선 주위 유동의 난류구조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urbulent Structure of Flow around KRISO 3600TEU Container Double-deck Model)

  • 김학록;이상준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8-14
    • /
    • 1999
  • KRISO 3600TEU 콘테이너 이중모형선 주위 유동의 평균속도와 난류성분들을 풍동실험을 통해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선미와 후류의 여러 단면에서의 속도분포를 x형의 열선 프로우브로 측정하여 평균속도와 레이놀즈 응력, 그리고 난류 운동에너지 등을 구하였다. 선미영역과 후류영역에서의 유동은 매우 복잡한 3차원 유동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측정 결과로부터 주유동 방향의 와 구조의 형성과 이러한 와 유동이 후류의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으며, 하류로 나아감에 따라 전단층 영역이 점차 확장되어짐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선체주위 유동의 난류 성분들의 측정은 향후 수치계산 및 정확한 난류모델의 개발에 비교자료로 사용되어질 것이다.

  • PDF

주기하중을 받는 세장한 이중강판합성벽의 비선형해석 (Nonlinear Analysis of Slender Double Skin Composite Walls Subjected to Cyclic Loading)

  • 엄태성;박홍근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05-517
    • /
    • 2008
  • 휨지배 거동을 나타내는 세장한 이중강판합성벽의 비탄성 거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비선형 수치해석 모델이 연구되었다. 수치해석의 편리를 위하여, 제안된 모델은 비교적 단순한 모델을 가지고 비탄성 거동을 근사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거시적 모델로 개발되었다. 휨지배 거동을 나타내는 벽체에 대해서는 다중평행요소 모델이 사용되었으며, 깊은 연결보의 전단거동을 위하여 X형 대각요소 모델이 사용되었다. 각 요소의 주기거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및 강판 요소에 대한 간략화된 일축의 주기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해석모델은 1자형 및 T형 단일벽과 병렬벽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기존의 실험결과와 비교되었다.

덕트의 유무에 따른 Gun식 가스버너의 난류유동장 특성 고찰 (Investigation on the Turbulent Flow Field Characteristics of a Gun-Type Gas Burner with and without a Duct)

  • 김장권;정규조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7-24
    • /
    • 2006
  • The turbulent flow field characteristics of a gun-type gas burner with and without a duct were investigated under the isothermal condition of non-combustion. Vectors and mean velocities were measured by hot-wire anemometer system with an X-type hot-wire probe in this paper. The turbulent flow field with a duct seems to cause a counter-clockwise recirculation flow from downstream to upstream due to the unbalance of static pressure between a main jet flow and a duct wall. Moreover, the recirculation flow seems to expand the main jet flow to the radial and to shorten it to the axial. Therefore, the turbulent flow field with a duct increases a radial momentum but decreases a axial momentum. As a result, an axial mean velocity component with a duct above the downstream range of about X/R=1.5 forms a smaller magnitude than that without a duct in the inner part of a burner, but it shows the opposite trend in the outer part.

  • PDF

다이아프램 형상 및 간격에 따른 곡선 강박스거더의 거동해석 (A Behavioral Analysis of Curved Steel Box Bridge Associated with Diaphragm's Shape and Spacing)

  • 김연태;김상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205-215
    • /
    • 2006
  • 본 연구는 3차원 쉘요소를 이용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다이아프램으로 보강된 곡선 강박스거더교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매개변수연구를 통해 기존의 제안식과 비교함으로써 모델링의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뒤틀림 응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중심내각, 지간길이, 다이아프램간격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이아프램의 간격, 개구율, 형상을 변수로 하여 해석한 결과에서는 지간이 30m, 곡률 반경이 40m인 해석모델에 대한 적정 다이아프램간격은 5m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아프램의 형상 효과에 대해서는 라멘식 다이아프램의 경우가 개구율 0.4~0.6의 범위에서 개구부가 없는 충복판식 다이아프램보다 휨과 뒤틀림의 응력비가 낮아 거동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복판식 다이아프램과 X형 트러스 방식의 다이아프램 비교에서는 동일한 강성을 가지더라도 충복판식 다이아프램이 뒤틀림응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하였다.

비선형 동적 해석을 통한 X형 가새골조 내 가새 부재의 에너지 소산 (Energy Dissipation Demand of Braces Using Non-linear Dynamic Analyses of X-Braced Frame)

  • 이강민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통권65호
    • /
    • pp.379-388
    • /
    • 2003
  • 철골가새골조 내 가새 부재의 에너지 소산 등의 이력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비선형 구조해석 프로그램인 DRAIN-2DX를 이용한 단층 구조물의 동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가새 부재의 세장비(KL/r) 및 구조물 반응 수정 계수(R)을 변수로 15개의 가새 부재가 설계되었고 인공지진을 포함 6개의 지진기록을 사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총 90개의 동적 해석 및 해석결과 비교 분석을 통하여 다음의 사실을 알 수 있었다. (1) 큰 반응 수정 계수(R)로 설계된 철골가새골조 내의 가새 부재가 구조물이 우수한 연성 거동을 통하여 큰 축적된 에너지 비$({\Sigma}E_C/E_T)$를 갖게 되리라 예상과는 달리 해석 결과 큰 R값으로 설계된 가새 부재가 좌굴 이후 심한 강도 저하를 보이고 작은 가새 부재력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오히려 축적된 에너지 비$({\Sigma}E_C/E_T)$가 작았다. (2) 해석 결과 Lee and Bruneau (2002)에 의해 수집된 실험 결과들을 근거로한 실험 자료, 모두 세장한 가새 부재가 대부분의 경우 더 큰 연성을 갖기는 하지만 작은 축적된 에너지 비$({\Sigma}E_C/E_T)$를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