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형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2초

동심환형관에서 난류특성에 미치는 조도위치의 효과 (Effect of Roughness Posi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urbulence in Concentric Annuli)

  • 안수환;이우재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1-69
    • /
    • 1997
  • 본 연구는 동심환형관에서 거칠기가 없이 매끈한 경우, 내측벽에 만, 외측벽에 만, 그리고 양측 모두에 거칠기가 있는 4경우에 대해 직경비가 0.26, 0.39, 그리고 0.56일 때 벽면에 설치된 거칠기 위치들이 난류유동장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적으로 조사하고자 한다. 최대속도와 전단응력이 0인 지점들, 시간평균속도의 구배들, 그리고 와확산계수들을 X형 열선풍속계와 이중 피토튜브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동심환형관에 설치된 거칠기들이 난류유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정량적자료를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고리형 내부 보강재를 가진 X형 관이음부의 축방향 강도 평가 (Axial Strength Evaluation for Tubular X-Joints with Internal Ring Stiffener)

  • 조현만;류연선;김정태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2-169
    • /
    • 2001
  • Tubular joints are usually reinforced using thicker can section or ring stiffeners to increase the load carrying capacity. In this paper, a numerical study has been performed for evaluation of axial strength for X-joints with internal ring stiffener, The finite element analysis software was used for nonlinear strength analysis. According to variation of ring geometries, the effect of ring stiffener for X-joints are investigated. Internal ring stiffener is found to be efficient improving ultimate strength of tubular joints. Relations of thickness of ring and axial strength are observed considering geometric parameters of ring stiffeners.

  • PDF

내부 환보강 X형 및 T형 관이음부의 강도산정과 최적설계 (Strength Prediction and Optimum Design of Internally Ring-Stiffened Tubular X-and T-Joints)

  • 조현만;류연선;이현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7년도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5-320
    • /
    • 2007
  • An effective reinforcement method for steel tubular joints having a large chord diameter is the use of internal ring stiffeners.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numerical study on the static strength of internally ring-stiffened tubular X- and T-joints subjected to brace axial compression loading.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es are used to compute the joint strength. The influence of geometrical parameters has been studied and the maximum reinforcement effect of a ring stiffener has been evaluated. A strength ratio is defined. by the ratio of ring-stiffened joint strength to unstiffened joint strength, and an equation for this strength ratio is derived by regression analysis. Design optimization for ring stiffener of tubular joints is carried out using metropolis genetic algorithm.

  • PDF

폴리이미드/제올라이트 막의 기체투과 특성 (The Gas Permeation Properties of Polyimide/Zeolite Membrane)

  • 최익창;김건중;남세종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8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46-48
    • /
    • 1998
  • 1. 서론 : 최근에 기체분리막의 재료로 많이 연구가 되고 있는 폴리이미드는 열,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고분자재료이다. 그동안 본 연구실에서는 폴리이미드를 직접 합성하여 플라즈마처리, UV 처리등과 같은 고분자막수식에 의한 방법과, 무기재료와 폴리이미드를 이용하는 복합막 제조 등으로 폴리이미드의 투과특성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해 왔다. 본 실험에서는 고분자재료로 폴리이미드 계열 중 가장 산소투과계수가 높은 6FDA-p-TeMPD 폴리이미드와 산소투과계수는 작고 선택도가 높은 6FDA-m-TeMPD 폴리이미드를 사용하였고, 무기재료는 surface pore size가 7.3${\AA}$, super cage가 13${\AA}$인 다공성 물질로 흡착력이 뛰어난 NaX형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였다. (생략)

  • PDF

Optical property and the Origin of the Zodiacal light

  • Yang, Hongu;Ishiguro, Masateru
    • 천문학회보
    • /
    • 제39권1호
    • /
    • pp.68.2-68.2
    • /
    • 2014
  • 내행성계의 행성간 공간에는 행성간 티끌이 편재하고 있다. 이 행성간 티끌의 산란이나 열복사로 인하여 황도광이 관측된다. 그러나 빛에 의한 끌림힘이나 행성의 중력적 섭동으로 인하여 행성간 공간의 티끌은 수백만 ~ 수천만 년 이내에 사라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행성간 공간에 티끌을 공급하는 티끌의 공급원이 지속적으로, 또는 최근에 존재하였음이 확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행성간 티끌의 공급원을 밝히기 위하여 황도광의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였다. 우리는 혜성, C형 소행성, S형 소행성, X형 소행성의 반사도와 스펙트럼을 합성하여 $4600{\AA}$에서 측정된 황도광의 반사도, 연속 스펙트럼과 비교하였다. 큰 비중의 티끌이 혜성에서 기인하고 나머지가 C형 소행성과 S형 소행성에서 기인한 모형을 통하여 황도광의 광학적 특성을 설명할 수 있었다. 우리의 모형은 독립적으로 측정된 기존의 황도광 분광 관측 결과와 상합한다.

  • PDF

해양구조물의 원통형 조인트에 대한 퐈괴역학적 피로 수명 산출방법 (Establishment of Ffracture Mechanics Fatigue Life Nnalysis Procedures for Offshore Tubular Joints part I :The Behabvior of Stress Intersity Factors of Weld Toe Surface Flow)

  • ;이희종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6-124
    • /
    • 1988
  • 해양구조물의 원통조인트에 대한 피로 수명 산출이 전통적으로 실험적 방법에만 의존해 왔음은,원통조인트의 구조가 복잡하여 용접부위 균열의 응력확대 계수 계산이 거의 불가능 했든 것이 주 원인이었다. 최근에 유한요소 3차원 모델을 이용한 계산방법이 개발되어 심히 구조적으로 복잡한 표면 균열의 응력확대계수 산출이 용이하게 되었다. 해양 구조물의 원통조인트에 대한 피로 수명 산출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속되는 3부작의 제1부로서 본 논문은 X형 원통 조인트 용접주위 표면 균열의 응력확대 계수 거동을 분석하고 있다.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응력확대계수를 엄격한 방법에 의해 계산하였다. 계산된 응력확대계수를 구조적인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다.

  • PDF

내부 환보강 X형 관이음부의 강도산정식 (Strength Evaluation Formulae for Ring-Stiffened Tubular X-Joints)

  • 조현만;류연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1-68
    • /
    • 2002
  • Tubular members have been applied in a wide range of frame structures including offshore structures. For the efficient load flow in tubular-member structures, the joints of tubular members are usually reinforced using internal ring stiffener for the steel tubular joint having a large diameter.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numerically assess the behavior of X-joints with an internal ring stiffener, and to evaluate the reinforcement effect of a ring stiffener, and to establish the strength formulae.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is used to compute the static strength of axially loaded tubular joints. From the numerical results, internal ring stiffener is found to be efficient in improving static strength of tubular X-joints. Maximum strength ratios are calculated as 1.5~3.5, and the effective dimensions of ring stiffener are found. Regression analyses are performed considering practical size of ring stiffener and strength estimation formulae are proposed.

  • PDF

남성의 동체부 체형 분류(제l보) - 인체의 형태에 의한 정면 체형의 분류 - (Classification of Men's Somatotype According to Body Shape and Size(Part I) -Classification of Front View According to Body Shape-)

  • 정재은;이순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1026-1035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he front view of trunk of adult males into several kinds of shape and to provide the characteristics and silhouette of each group which has same shape. As the sample, subjects were l290 males of 20 to 54 year-old. The procedure and results were follows; l.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used to obtain the shape factor of the front of the trunk 8 factors in the front which explained 86.8% of total variance were extracted. 2. As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of factor scores, the font of body was classified in 4 types. 4 types were named X, A, Y and H type in the fro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터너 증후군에서 신기형의 발생에 미치는 레닌-안지오텐신계 유전자 다형성의 영향 (Impact and Prevalence of Renin-angiotensin System Gene Polymorphism of Renal Anomalies in Turner Syndrome)

  • 박지경;정영희;이정녀;정우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7권1호
    • /
    • pp.52-59
    • /
    • 2003
  • 목적 : 레닌-안지오텐신계는 신장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안지오텐신 II는 신장형성기 동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저자들은 터너 증후군 환자에서 신기형의 발생빈도를 조사하고, 신기형이 동반된 군과 동반되지 않은 군으로 분류하여 양군 사이에 레닌-안지오텐신계 유전자의 분포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방법 : 말초혈액의 임파구를 사용하여 세포분 석학적 방법으로 진단된 33명의 터너 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신요로계의 기형여부를 초음파검사와 경정맥 요로 조영 검사, DMSA scan으로 진단하고, 더불어 안지오텐신전환효소의 유전자형, 안지오텐시노겐 유전자형, 안지오텐신 수용체유전자형의 분포를 핵산증폭법을 사용해 조사하였다. 결과 : 33명의 터너 증후군 환자 중 12명에서 신기형이 동반되어 전체적으로 36.4%의 빈도를 나타내었다. 핵형에 따른 신기형의 빈도를 살펴보면 전형적인 45,X형의 경우는 18명 중 8명에서 관찰되어 44.4%의 빈도를 나타내었고, 모자이시즘과 X 염색체구조상의 이상인 경우에는 15명 중 4명에서 관찰되어 26.7%의 빈도를 나타내어, 전형적인 45,X형의 경우에서 발생빈도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5). ACE 유전자형의 분포는 신기형 동반군에서 DD형이 0%, ID형이 73%, 그리고 II형이 27%이었으며, 신기형이 동반되지 않은 군에서는 DD형이 11%, ID형이 56%, II형이 33%로 양군 사이에는 ACE 유전자형의 분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GT M235T 유전자형의 분포는 신기형 동반군에서 MM형이 82%, MT형이 8%, 그리고 TT형이 0%이었으며, 신기형이 동반되지 않은 군에서는 MM형이 56%, MT형이 33%, TT형이 11%로 양군 사이에는 AGT M235T 유전자형의 분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TR 1 유전자형의 분포는 신기형 동반군에서 AA형이 91%, AC형이 9%, 그리고 CC형이 0%이었으며, 신기형이 동반되지 않은 군에서는 AA형이 94%, AC형이 6%, CC형이 0%로 양군 사이에는 ATR 1 유전자형의 분포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터너증후군 환자에서 신기형의 동반율은 36.4%였으며, 45,X형에서 발생빈도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신기형이 동반된 군과 동반되지 않은 군 사이에는 레닌-안지오텐신계 유전자의 분포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알았다.

  • PDF

발육중인 생쥐 하악 과두에서 연골 및 골의 특이 유전자 발현 (Expression of mRNAs characteristic of cartilage and bone in the developing mandibular condyle of mice)

  • 지국섭;윤영주;박주철;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3-152
    • /
    • 2004
  • 하악과두 연골이 발생하고 분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내는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발생 16, 18일과 출생 1일, 5일, 10일, 20일 및 30일 후의 ICR생쥐의 하악과두를 형태학적으로 분석하고, 생쥐 I형, II형, X형 교원질, Indian hedgehog (IHH) 및 BMP-4 등의 mRNA 발현을 in-situ hybridization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1. 생쥐 I형 및 II형 교원질 mRNA는 하악과두의 발생 및 성장과정에서 모두 발현되었다. I형 교원질 mRNA는 휴지층과 증식층의 상부에서 관찰된 반면 II형 교원질은 휴지층과 증식층 그리고 비대연골층의 상부에서 관찰되었다. 2. 하악과두 연골은 성장에 따라 비대연골층이 계속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으며, 비대 연골층의 세포들은 특징적으로 X형 교원질 mRNA의 발현을 보였다. 3. BMP-4 mRNA는 하악과두 연골 원기와 골화중인 하악골체에서 모두 발현되었다. 4. IHH mRNA는 하악과두의 발생과정에서 증식 연골층의 하부와 비대연골층의 상부에서 선택적으로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