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ld Heritage

검색결과 445건 처리시간 0.025초

세계유산 황산의 보호관리 특성 및 보전방안 (A Protection Management Characteristic and Preservation Plan of World Heritage Mt. Huangshan)

  • 신현실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0-128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자연 및 복합유산의 지속적인 보호관리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에 목적이 있으며, 세계복합유산으로 등재된 황산을 대상으로 세계유산협약에 따른 보호관리 현황 및 그 특성을 살펴보고 지속적 보전 가운데 활용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황산 관련 보호관리 법령 및 제도, 경계 설정, 정책의 변화와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황산은 1933년 황산 건설 위원회 성립을 시작으로 보호관리가 시작되었으며, 1982년 국가급 풍경명승구 지정 이후 중앙부처에서의 법률 제정, 지방정부의 조례를 통해 보호관리의 근거가 마련되면서 보호관리 및 활용과 관련한 다양한 사업들이 시행되었다. 둘째, 보호를 위한 경계의 설정은 행정구역 계획을 통해 황산의 경계를 재정비 하는 등 중앙정부의 적극적 개입이 이루어졌으며, 황산 일대 생태적, 경관적 가치뿐만 아니라 문화적 요소의 보호를 위해 풍경명승구 및 세계유산 지정구역 선정 등 보호구역을 설정하였다. 셋째, 황산의 보호관리 양상은 크게 네 가지 시기로 구분되었다. 제1기는 황산의 보호관리를 위한 행정조치가 시작된 시기로 구분하였으며, 제2기는 황산이 국가급 풍경명승구로 지정되면서 법령 및 관리계획이 시행되었다. 3기는 세계유산 등재 이후 국제기구의 권고사항에 따른 보호 중심의 사업이 이루어진 시기였으며, 제4기는 황산시의 지속적 보호 가운데 활용을 위한 관광산업 확대 이후 오늘날까지 유산을 중심으로 한 지역 활성화 정책과 지정구역 내 보전사업이 시행되고 있었다. 넷째, 황산의 보호관리 주체는 중앙정부와 성시정부로 이원화되어 있으며, 복합유산인 황산은 문화유산 관리부처와 자연유산 관리부처가 공동으로 관리하고 있다. 황산의 보호관리는 행정단위별 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유산 관련 업무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도모하였으며, 현단위 이상 지방정부가 지역 특성에 맞는 보호관리 정책을 시행하도록 권한을 위임받았다. 다섯째, 오늘날 황산은 산정을 중심으로 하는 개발정책으로 보호구역이 파괴되었다. 또한 난립하는 숙박시설 운영에 따라 오수와 쓰레기 방류, 관광객에 의한 환경오염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주변지역에 식재된 인공림에서 발생하는 병충해 피해와 케이블카 조성에 따른 생태계의 변화가 나타났다. 여섯째, 황산의 지속적 보호를 위해서는 숙박시설에 대한 신축 증축, 관리에 대한 엄격한 규제가 요구되며, 관람객 수용인원 제한 및 통제를 위한 시설물의 설치가 필요하다.

백두대간보호지역은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충분한 가치를 갖고 있는가? (Does Baekdu-daegan Mountain System Has Enough Values for World Heritage Inscription?)

  • 김성일;장진성;;박선주;이동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476-487
    • /
    • 2015
  • 이 연구는 세계자연유산으로서 백두대간보호지역의 가치와 경쟁력을 분석하기 위해 예비 타당성 검토를 실행하고, 향후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UNEP WCMC, IUCN 자료를 바탕으로 백두대간보호지역의 국제적 인지도, 기존 세계유산들과의 차이 분석,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기준을 바탕으로 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백두대간보호지역의 가치에 대한 국제적 인지도 및 세계자연유산으로서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및 최근 세계유산 동향을 고려하였을 때, 백두대간은 생태적 연결성, 생태 경관과 문화 사이의 상호작용, 국가적인 관리체계의 구축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으며, 이에 따라 연속성 세계유산, 복합유산, 초국경유산으로의 잠재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추가적인 연구와 데이터베이스 구축, 그리고 인식 제고 노력을 통해 백두대간의 가치 증진이 이뤄지고, 궁극적으로 남북이 연계된다면 세계유산 공동등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주 "양동마을"의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 연구 -QOL/TQOL index를 이용하여- (A Study on Effect of a Designation of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as World Cultural Heritage on Residents' QOL, and Its Sustainable Development)

  • 오정학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8권4호
    • /
    • pp.793-824
    • /
    • 2011
  • This study i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through identifying effect of its designation as a World Cultural Heritage on residents' quality of life.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achieved by empirical analysis. First, eight valuable factors of placeness were ident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about which residents were especially conscious in terms of "living condition", "cultural environment", "economic QOL",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sense of community", "cooperative facilities", "control over increasing population", "transport environment". Second, the importance -satisfaction scores of identified 8 factors were found very high in importance showing relatively low level of low level of satisfaction. Especially, what caused residents's low QOL was economic status-concerned factor showing the lowest QOL index, and other factors such as cooperative facilities and transport environment negatively impacted on resident's QOL as well. Also, it was revealed that residents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entering of their village into UNESCO world heritage sites with hope that it would improve their economic QOL.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sustainability of Yangdong Village and research limitations were discussed,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 was supposed.

세계유산 관점에서의 대순진리회 도장의 가치 (The Value of Daesoon Jinrihoe's Temple Complexes from the Perspective of UNESCO World Heritage)

  • 김진영
    • 대순사상논총
    • /
    • 제35집
    • /
    • pp.393-426
    • /
    • 2020
  • 과거에 성지는 주로 고고학적 규범에 근거하여 호명되면서 종종 단일의 고정된 정체성을 부여받았으나 최근의 추세는 좀 더 포괄적으로 역사적, 맥락적 해석과 연동하여 유연하게 접근하고 있다. 성지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다양한 변화를 경험해왔으며 권력과 권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내재한 다층적인 종교정체성을 드러낸다. 이런 관점에서 대순진리회 도장의 종교적 상징과 이미지, 그리고 공간구조에 내포되어 있는 다층적인 의미는 세계유산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의 재정립을 가능하게 한다. 이 연구는 성지의 역사적 가치만큼이나 순례와 같은 영적 추구 행위가 동등하게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지향하는 탁월한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통해 도장의 세계유산등재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기존 종교유산의 사례로 그리스 아토스수도원공동체와 네팔 룸비니를 소개하고 종교유산이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고찰하며, 최종적으로는 도장의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세계문화유산의 관리효과성 평가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of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System for World Cultural Heritage)

  • 서환;우문동;석미정;강태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1-61
    • /
    • 2013
  • 본 연구는 '등재된 세계문화유산은 지금 얼마나 잘 관리되고 있는가?'라는 물음에서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 성과를 기초하여 국제적 요구사항에 부응하면서 세계문화유산의 관리특성이 반영된 관리효과성 평가지표들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구조의 의사결정과정(ANP)을 통해 각 평가지표별 가중치와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세계문화유산의 관리현황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체계가 구축되었다. 또한 이러한 평가지표들 간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토대로 100점을 기준으로 변환점수 계산을 통하여 세계문화유산의 관리효과성 평가지표들에 대해 점수화하여 평가점수표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세계문화유산의 관리현황에 대해 평가할 때 최종 평가점수 등급은 매우 부족, 부족, 보통, 양호, 우수 등 5개 등급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후속연구를 전망하였다.

Digital Collaborative Network Architecture Model Supported by Knowledge Engineering in Heritage Sites

  • Marcio Crescencio;Alexandre Augusto Biz;Jose Leomar Todesco
    • Journal of Smart Tourism
    • /
    • 제4권1호
    • /
    • pp.19-29
    • /
    • 2024
  •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create a model of integrated management from the framework modeling of a digital collaborative network supported by knowledge engineering to make heritage site in the Brazil more effective. It is an exploratory and qualitative research with thematic analysis as technique of data analysis from the collaborative network, digital platform, world heritage, and tourism themes. The snowballing approach was chosen, and the mapping and classification of relevant studies was developed with the use of the spreadsheet tool and the Mendeley® software. The results show that the collaborative network model oriented towards strategic objectives should be supported by a digital platform that provides a technological environment that adds functionalities and digital platform services with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engineering techniques and tools, enabling the discovery and sharing of knowledge in the collaborative network.

프랑스 르아브르(Le Havre)시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문화유산의 활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of cultural heritages through the case of Le Havre, France)

  • 조효단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2호
    • /
    • pp.30-47
    • /
    • 2015
  • 국내외로 문화유산의 사회적, 경제적, 정체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문화유산이 보호와 보존의 대상을 넘어서 활용의 대상으로까지 간주되고 있다. 문화유산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면서 국내에서도 문화유산의 활용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오늘날 국내 문화유산의 활용은 물리적이거나 단편적인 이용에 치우쳐져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근대문화유산의 보전과 활용을 위해 만들어진 등록문화재 제도 하에서는 원형 유지나 보전을 기본으로 한 활용 방식이 아닌 활용을 위한 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는 활용의 개념이 더욱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선 문화유산의 '활용'을 '문화유산의 본연적, 부수적 가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모든 인위적 행위를 지칭하는 것'이라고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프랑스 르아브르(Le Havre)시의 사례 연구를 통해 본 개념에 대해 더욱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르아브르시는 '지역'의 근대유산을 '가치증진'이라는 목표 아래 '국가'의, 그리고 '세계'의 문화유산으로 그 유산적 가치를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정체적, 경제적, 사회적 가치도 발전시켰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문화유산의 '가치증진'을 위한 활용의 의미와 방안에 대해서 알아보고, 본 개념의 도입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제주 세계자연유산 등재와 생태관광 (The Inscription of Jeju World Natural Heritage and Ecotourism in Jeju)

  • 고선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15-225
    • /
    • 2009
  • 본 연구는 2007년 '제주화산섬과 용암동굴'의 UNESCO 세계자연유산 등재와 거문오름 국제트레킹대회의 추진이 제주의 생태관광에 주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세계자연유산 등재와 거문오름 국제트레킹대회의 추진은 참여주체와 활용방향이라는 측면에서 제주세계자연유산을 활용한 제주 생태관광에 의미있는 변화를 야기하였는데, 첫째 참여주체의 측면에서 소규모 자생단체 및 개별중심에서 제주특별자치도가 적극 참여하는 계기를 제공하여 확대 발전하였다. 둘째 단순 자연경관중심 관광에서 지리관광이라는 테마관광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의 지역발전에 대한 참여의지를 고양시켰음을 지적하고 구체적 참여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