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nstruction of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System for World Cultural Heritage

세계문화유산의 관리효과성 평가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Xu, Hu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 Yu, Wen-D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 Seok, Mi-Je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 Kang, Tai-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Gyeongju)
  • 서환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우문동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석미정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강태호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Received : 2013.05.02
  • Accepted : 2013.12.09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of 'how the listed World Cultural Heritage is being managed now?' the indicators of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were set up based on international principles on the basis of the preceding research. The weights and priorities of each evaluation indicators were worked out through the Analytic Network Process(ANP) Technique. Therefore, the evaluation system to evaluate the management status of the World Heritage Sites have been established. Also, through calculate the converted score of 100 points based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se evaluation indicators among the World Heritage Site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index for scoring and the score table was created. When evaluated for the management status of World Heritage Sites to set five rating of the final evaluation score: very deficiency, deficiency, general, good, excellen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follow-up study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등재된 세계문화유산은 지금 얼마나 잘 관리되고 있는가?'라는 물음에서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 성과를 기초하여 국제적 요구사항에 부응하면서 세계문화유산의 관리특성이 반영된 관리효과성 평가지표들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구조의 의사결정과정(ANP)을 통해 각 평가지표별 가중치와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세계문화유산의 관리현황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체계가 구축되었다. 또한 이러한 평가지표들 간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토대로 100점을 기준으로 변환점수 계산을 통하여 세계문화유산의 관리효과성 평가지표들에 대해 점수화하여 평가점수표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세계문화유산의 관리현황에 대해 평가할 때 최종 평가점수 등급은 매우 부족, 부족, 보통, 양호, 우수 등 5개 등급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후속연구를 전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성(1996). 교육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2. 김용진, 홍성조, 안건혁(2011). ANP를 활용한 지방중소도시구도심 활성화 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4(3): 89-108.
  3. 윤태권(2008). 계층적 분석방법에 의한 공동주택의 부동산 투자가치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전건욱(2003). ANP 기법을 적용한 군시설공사 PQ심사 가중치 판단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전원배, 김경숙(2001).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관광호텔 규제완화의 효과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16(2): 275-296.
  6. 정정길, 성규탁, 이장, 이윤식(2004). 정책평가, 이론과 적용. 서울: 법영사.
  7. 조근태, 조용곤, 강현수(2003). 계층분석적의사결정. 동현출판사.
  8. 황병춘(2007). 세계문화유산 관광자 가치추구연구: Laddering기법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허학영(2006). 자연환경 보호지역의 적응형 관리를 위한 관리효과성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Anderson, D.(1997). Strand of System, The Philosophy of C, Peirce, WestLafayette: Purdue University Press.
  11. Fan Wu(2010). Housing environment preference of young consumers in Guangzhou, China: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roperty Management. 28(3): 174-192. https://doi.org/10.1108/02637471011051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