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 classification system

검색결과 477건 처리시간 0.029초

인터넷기반 공동주택 하자분류 및 관리 시스템 구축에 사례기반 추론기법을 활용한 연구 (Defect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CBR technique Based Internet in Apartment Housing Project)

  • 김광희;신한우;서덕석;윤지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3-70
    • /
    • 2008
  • Management process of apartment buildings construction has increased because the after service of construction company meet the needs of customers. Many defect data, which was inspected by construction company or customers before moving into a new apartment house, were classified by field engineers and then communicated to corresponding subcontractors. The classification process needs to be performed by an expert engineer because there is so much data, it is unfeasible to complete in a short period of time. For this classification process, an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using case base reasoning (CBR) should be considered. This research proposed a defect management system with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using CBR. This constructed defect management system consists of cyber after service system for tenants and the whole defect management process of construction,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apartment buildings. This system could improve the efficiency of expert work in terms of time and accuracy, as well as helping laymen users to conduct defect classification work as experts do.

철도터널의 유지관리 DB 프로그램 개발 및 특성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Database Program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Railway Tunnel)

  • 이송;구자갑;심민보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139-146
    • /
    • 2000
  • Recently, many kinds of research have been actively developing for a standardization and information to the field of design, construction, supervis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on facilities.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on tunnel facilities and inspection data is most important among the things to have a efficiently maintenance and management. This paper suggests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on tunnel facilities and inspection data, and, on the basis of that, code work with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and input work was practis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kind of statistics data and investigate a characteristics of inspection using statistic data on railway tunnel.

  • PDF

사례분석을 통한 모듈러 건축의 현장 안전관리 분류체계(안) 도출 (Deriv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Modular Construction through Case Study)

  • 전영훈;김균태;전은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73-174
    • /
    • 2020
  • In modular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s requir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risk factors such as lifting work and high place work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e,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safety management of modular construc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modular construction derived by analyz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existing cas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afety management classification system will be used in future research to derive safety management factors in modular construction.

  • PDF

옹벽 구조물의 표준 DB화 방안 및 유지관리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aintenance and Standarization Plan Concerned with DB of Retainging Wall)

  • 이송;심민보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129-140
    • /
    • 2000
  • Retaining wall is a constructed structure in order to construct road, rail, building for effective use and obtainments of the limited ground. Recently, many kinds of research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for a standardization and information to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bridge, tunnel, road. With the works of database construction of that, many kinds of data with respect to statistics is cumulated. Database work of retaining wall is wholly lacking and lagged behind in the works of database construction. This paper suggests classification system on inspection data. On the basis of that, code work with classification system was practised and DB program of inspection data of retaining wall was developed. And input work for a data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was practis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kind of statistics data and investigate a characteristics of inspection using statistic data on retaining wall.

  • PDF

사례분석을 통한 모듈러 건축의 현장 작업자 안전관리 체크리스트의 분류 체계 제안 (Proposal of a Classification System of Checklists for Safety Management of On-Site Workers in Modular Construction)

  • 전영훈;김균태;전은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120-130
    • /
    • 2021
  • 최근 정부는 건설재해 예방을 위하여 건설공사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며, 예방적 차원의 작업자 안전관리 방안이 중요한 실정이다. 한편 모듈러 건축은 중고층 건축물 등으로 점차 확대 적용될 예정이나, 작업환경이 열악하고 안전관리가 미흡한 중소규모 건설현장이 많아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국내 모듈러 건축의 안전관리 방안은 작업자의 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치나 시공오차, 하자 등 구조안전과 관련한 요소를 관리하는 품질관리에 집중되어 있어, 작업자의 안전보건을 관리하여 재해를 예방하는 작업자 안전관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연구 개발된 사례들을 분석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도출된 모듈러 건축의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체크리스트의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분류체계는 공장제작, 운송, 현장시공을 대분류로 구성하였으며, 하위체계는 현장시공의 6가지의 중분류 중 모듈러 골조설치 공사의 세부작업인 양중작업과 조립작업을 중심으로, 12가지의 단위작업을 구분하였다. 그리고 안전관리를 위한 관리요소에 따른 단위작업별 작업내용을 정의하고 분류체계에 최종적으로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모듈러 건축의 건설현장에서 효율적인 안전관리를 수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중소기업용 스마트팩토리 보안 취약점 분류체계 개발: 산업제어시스템 중심으로 (Developing a Classification of Vulnerabilities for Smart Factory in SMEs: Focused on Industrial Control Systems)

  • 정재훈;김태성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5-79
    • /
    • 2022
  • The smart factory has spread to small and mid-size enterprises (SMEs) under the leadership of the government. Smart factory consists of a work area, an operation management area, and an industrial control system (ICS) area. However, each site is combined with the IT system for reasons such as the convenience of work. As a result, various breaches could occur due to the weakness of the IT system. This study seeks to discover the items and vulnerabilities that SMEs who have difficulties in information security due to technology limitations, human resources, and budget should first diagnose and check. First, to compare the existing domestic and foreign smart factory vulnerability classification systems and improve the current classification system, the latest smart factory vulnerability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NVD, CISA, and OWASP. Then, significant keywords are extracted from pre-processing,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is perform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keyword and vulnerability is discovered. Finally, the improvement points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are derived by mapping it to the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 Therefore, configuration and maintenance, communication and network, and software development were the items to be diagnosed and checked first, and vulnerabilities were denial of service (DoS), lack of integrity checking for communications, inadequate authentication, privileges, and access control in software in descending order of importance.

NATM 터널 공정리스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리스크 분류체계 개발 (Establishment of Risk Database and Development of Risk Classification System for NATM Tunnel)

  • 김현비;바타갈래 위누리 키만디가 가루나라내;김병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32-41
    • /
    • 2024
  • 건설산업은 안전사고뿐 아니라 공기지연, 원가상승, 환경오염 등의 여러 복합적인 리스크가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관리기술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 프로젝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정리스크의 관리는 그 중요성에 비해 관련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각 프로젝트마다 상이한 분류체계 사용으로 인한 리스크 정보검색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MATM 터널 공정리스크분류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리스크수집은 기존 문헌검토와 Experience Mining 기법을 사용하였고 DB구축은 자연어처리 개념을 활용하였다. 분류체계의 구조는 자료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기존 WBS 구조를 채택하였고, WBS의 공종과 연결된 RBS를 구축하였다. 연구결과 공종별 리스크를 쉽게 파악하고 리스크에 연결된 리스크특성과 리스크요인이 직관적으로 드러나는 리스크분류체계가 완성되었다. 구축된 분류체계의 활용성 검증결과 사용자의 키워드 입력으로 공종별 리스크와 리스크요인이 쉽게 식별되어 분류체계는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NATM터널 계획 및 설계 시 작업공종에 따르는 리스크를 미리 식별하고 그 요인에 맞는 대응방안을 수립하여 비용과 공사기간의 증가를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새로운 매트릭스분류체제에 의한 전력 IT용어 제정에 관한 연구 (New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Standardization of Power IT Terminologies)

  • 김정훈;황유모;원종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360-362
    • /
    • 2008
  • Based on classification systems of power and IT standard dictionarie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standard, SPARK, power IT fields of IEC and organization units of corporations, we propose a new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standardization of power of terminologies. The classification system consists of a hierarchical structure with general classification, application fields and specific technologies while keeping the conventional matrix-type classification system. Interpretation work of the power of terminologies confirms that the proposed classification system is efficient.

  • PDF

하이테크 공장의 효율적 건설 사업비 분석 및 예측을 위한 WBS·CBS 기반 건설정보 분류체계 구축 (Establishment of WBS·CBS-based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for Efficient Construction Cost Analysis and Prediction of High-tech Facilities)

  • 최성훈;김진철;권순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356-366
    • /
    • 2021
  • 국가 경제를 이끌고 있는 하이테크 산업은 일반 건축물에 비해 투자비 규모가 크고 공사 기간이 짧으며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 특성으로 인하여 정확한 공사비 예측과 빠른 의사결정은 효율적인 비용 및 공정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국외의 경우, 1980년부터 건설정보 분류체계 표준화를 시행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어, 체계적으로 프로젝트 전 생애 주기 정보를 수집·활용하는 등 건설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반면, 국내의 건설 현장에서는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표준화를 위한 시도들이 있었으나, 표준화 주체의 부재, 건설사별 비용 및 공정관리 방식의 차이로 인한 지속적인 표준화 및 체계화가 이루어지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하이테크 산업의 경우, 큰 규모, 수많은 공종, 복잡한 공사, 보안 등의 문제로 인하여 하이테크 공장 건설을 위한 건설정보 분류체계 표준화·체계화 수준이 매우 낮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건설된 관련 프로젝트 데이터를 수집·분류·분석을 통하여 하이테크 공장 건설에 적합한 건설정보 분류체계를 구성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분류·분석된 WBS(Work Breakdown Structure)·CBS(Cost Breakdown Structure)를 기반으로 계층적 구분을 통한 코드체계를 제안하였고, WBS와 CBS를 연계를 통한 건축물의 비용 모델을 입체화 및 활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일반적인 건설정보 구분 체계인 일 방향의 트리구조를 벗어나 상호 관계성을 기반으로 한 정보 분류체계가 가능하여, 공사 기간 단축 및 비용 절감 등 효과를 극대할 수 있을 것이다.

시공단계의 건설정보 통합을 위한 분류체계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Classification for Integration of Construction Information in Construction Phase)

  • 김진영;김용구;한충희;김선국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450-455
    • /
    • 2002
  • 21세기 정보화시대에 접어들면서 모든 산업은 정보화와 지식화의 변화 속에서 변화와 발전을 모색하고 있으며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우리나라도 국가경영전략으로 정보화와 지식화를 채택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건설업은 그 특성상 프로젝트의 생애주기 동안 다수의 참여주체들에 의해 수많은 양의 정보가 발생되며 이러한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는 것이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기준인 분류체계의 부재로 인해 많은 정보들이 사라지거나 중복됨으로써 업무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저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 제시된 건설교통부의 통합건설분류체계와 수량산출기준서, 기타 관련분류체계를 근간으로 시공단계의 건설정보에 적용해 봄으로써 분류체계의 활용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